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옥사” 에 대한 검색결과 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감옥의 일을 맡아보던 향직(鄕職). [내용] 983년(성종 2) 주ㆍ부ㆍ군ㆍ현(州府郡縣)의 이직(吏職)을 개정하여 지방세력을 상대적으로 격하시키면서 향리(鄕吏)의 기원을 보게 되었다. 그 뒤 1018년(현종 9...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역대 정부에서 감옥 운영 및 행정을 관장하던 관청
    정의중국 역대 정부에서 감옥 운영 및 행정을 관장하던 관청 | 문광부표기Saoksa | MR표기Saok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식록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것은 제단사(諸壇史 : 後壇史로 되어 있는 것은 제단사의 잘못임)로 통칭되는 공수사(公須史)ㆍ식록사ㆍ객사사(客舍史)ㆍ약점사(藥店史)ㆍ() 등 사급(史級)의 말단이직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향리의 기능이 전대에 비해 분화되었음을 나타내는...
  • 부사옥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의 향리직(鄕吏職). [내용] 구체적인 설치연대는 알 수 없으나, 983년(성종 2)의 향리직 개편에서는 보이지 않고 1018년(현종 9)의 향리정원규정에는 ()가 나타나 있으므로 그 사이의 어느 때로 추정된다.
  • 조야기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논의)ㆍ기묘사화ㆍ복성군옥사(福城君獄事)ㆍ을ㆍ벽서옥사(壁書獄事)ㆍ기축옥사ㆍ임진병사(壬辰兵事)ㆍ이릉사실(二陵事實 : 임진왜란 때, 왜병이 성종의 능과 중종의 능을 파헤친 사실)ㆍ장릉추숭(章陵追崇)ㆍ병자호란ㆍ정릉복의(貞陵復議)ㆍ문묘승출(文廟陞黜 : 성균관 대성전에 이름...

고서·고문서(13)

  • 恣意偸弄, 數爲千包, 以待詳覆, 何如? 判付啓, 邊禁至嚴, 無容更議爲良如敎。 又啓目, 粘連慶山囚結案罪人朴沙邑段, 右議政李秉模以爲, 禁葬於法外, 情無可恕, 承款於毆?, 法無可貸云, 臣等以爲, 似此獄情, 無容更議, 以待詳覆, 何如? 判付啓, 爭端雖起於移葬母墳近處之說,...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 第三統統首朴以彩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慶州率子慶根年拾參癸卯率婢玉今壹所生婢士玉今故同婢壹所生婢順 牙今故同婢壹所生奴再白貳所生奴吾作只等貳口時居梁山大堤面金上柱戶在婢所生婢莫乃年貳拾 壹乙未婢自化肆所生婢小己奴哲發等貳口前逃亡婢六女咸興居金上興處放賣壬子戶口相准 第二戶 鹽浦來黃山道驛吏金戒奉年陸拾肆壬子本金海父良人愛先祖納粟...
    연도_면이름1735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十一施禮里
  • 情理之恕 四 【謂父行淫,其子雪恥,根由奸淫,實因被打】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元犯,冀使不至究竟,此固天理ㆍ人情之所當然。【是去乙】 漫詞納供,自處以略略加功者,不亦愚乎?何乃朴厚之俗,有此悖戾之習?太郁 【乙良】減死定配,其子聖一等,並 【只】嚴刑一次放送,婢孟春,仍本役絶島爲婢。 臣議曰 鄕村富民,例失人心,旣失人心,例誣以淫,必欲破其家,誅其人,散其田產,以享其波及...
    권차명欽欽新書 卷八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추안급국안 : 병술년(1706, 숙종 32) 임부(林溥) 등 신문기록(1)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問目內辭緣隱諱 除良從實現告亦推考敎事臥乎在亦辛時矣身以問事之任 連參鞫坐歲月稍久雖不得一一詳記而第伊日罪人尹順命訊問之 時適値夜深神氣困倦乍退于西廳房仍爲入睡矣當其推鞫姑 罷之際同任呂必重出來于矣身所在之處與諸郞廳諸都事同坐 言及罪人何以納招云爾則必理答以罪人順命訊問時以爲希載諺書 中極言其...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2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家乘遺事 【亦名〈繩繩錄〉】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與李ㆍ安諸公,爲耆英會,飮酒賦詩,【見本集】 風流文采,舂容逸宕,而交際澹泊,久而不渝,想公襟韻,有若厚德而已。然其沈謀敏畧,炳幾燭微,則一時士流,莫有企及者。當燕山荒湎,託爲淸矇,削跡杜門,捫鏡摸牀,以終其世,雖禍薦紳流血,而公超然也。方其託矇時,公之嬖妾,溲剝不避,事多瞞,而夫人敬,相待如...
    권차명文集 卷十七 | 문체傳記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신문·잡지(1)

  • 兩倅失錯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라북도 금졔군슈 리시씨 안군고소에 복검관으로 검험에 속으로 상야 쥭은쟈의실인을 락가되야 쥭은것으로 집뎡고 젼라남도 남군슈 리용우씨 군김치운 옥에 쵸검관으로 옥안을심샤에 그옥의간연죄인을 법국션교의 말을억졔치못야 앗긴지라 법부에셔
    게재일1906년 7월 2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감옥의 일을 맡아보던 향직. 1018년(현종 9) 주·부·군·현의 정수에 따라 정원을 책정, 1,000정 이상에는 4인, 500정 이상과 300정 이상에 각 2인, 동서제방어사·진장·현령관이 파견된 곳은 1,000정 이상 및 100정 이상에 각 2인, 1천정

  • 조야기문 / 朝野記聞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서문중이 지은 기사본말체의 책. 30권 23책. 서문에 1626년(인조 4)까지의 국조기사년과 총기, 국조대사기, 본편에 종계변무·개역·서변정토·을해옥사와 이시애의 토평, 무오사화·윤비폐의·폐신비의·복소릉의·기묘사화·복성군옥사·을·벽서옥사·기축

  • 관아 / 官衙 [예술·체육/건축]

    우가 내려 평지에 괸 물이 서너자나 되어 관가와 민가가 파괴되고 산이 열세 군데나 무너졌다(夏四月 大雨浹旬 平地水三四尺 漂沒官 山崩十三所).”라 하였으니, 여기에서 관(官)는 관아와 민가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기단은 장대석으로 높게 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