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예” 에 대한 검색결과 4,1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64)

사전(1,47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성균관의 정4품 관직. [내용] 고려 후기인 1275년(충렬왕 1)에 국자감(國子監)이 국학(國學)으로 개칭되면서 사업(司業, 종4품)이 로 고쳐졌으나 23년 뒤에 사업으로 환원되었다. 뒤에 악정(樂正, 종4품)이 ...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절에 소속된 노비
    정의절에 소속된 노비 | 문광부표기saye | MR표기sa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E2_D_0207 관직 官號, 禮部舍知 景德王 羅史 D_10_02_02 대동운부군옥 10권 2장 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2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E2_D_0387 관직 官制, 例作府 新羅 史註 D_14_02_105 대동운부군옥 14권 2장 10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2장 10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R1_D_0413 동물 大蛇, 遺蛻, 石磧上, 長數十尺 寧越, 大淵 D_14_02_80 대동운부군옥 14권 2장 8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2장 8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1)

  • 영조 비빈 자료집 1-의궤, 등록, 기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정해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1.02.28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御製表義錄》 《綏慶園新》 《綏慶園誌錄》 영조 비빈 관련 자료의 내용과 특징 영조 비빈의 역할과 정치적 의미 육상궁, 선희궁, 경우궁의 조성과 궁방전

고서·고문서(2,073)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680 周易四箋 卷四 ITKC_MP_0597A_0680_040_0040 祭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周易四箋 卷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行初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980 喪儀節要 卷二 ITKC_MP_0597A_0980_040_0090 行初。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
    권차명喪儀節要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行亞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980 喪儀節要 卷二 ITKC_MP_0597A_0980_040_0100 行亞。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
    권차명喪儀節要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行三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980 喪儀節要 卷二 ITKC_MP_0597A_0980_040_0110 行三。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
    권차명喪儀節要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江臯鄕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20 文集 卷十二 ITKC_MP_0597A_0120_070_0120 江臯鄕序 정약용(丁若鏞) 序跋類|序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
    권차명文集 卷十二 | 문체序跋類|序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12)

  • 산, 명판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지혜 뛰어난 아이 이야기 다음에 해 주었다. 조사자가 어떤 이야기를 해 달 <page id="101"></page> 라고 요청을 한 것도 아닌데 지혜 뛰어난 아이 이야기와 대조되는 데가 있어 생각이 난 모양이었다. 이야기의 분위기는 점점 고조되어 자연스러워져서...
    조사일시1979-04-01 | 조사장소제주도 북제주군 구좌면 | 제보자안용인
  • 하였다. 가난한 형님은 식절을 몰라서 매제가 하는 대로 따라 했다. 그러다 잘못 보고 다슬기의 껍질까지 먹고, 사탕수수의 껍질 등까지 먹게 되었다. 그 모습을 본 매제는 미수어라는 음식을 먹다가 웃어서 면이 코로 나와 버렸다. 가난한 형님은 부자들이 먹는 방법을 이
    국가캄보디아 | 제보자씨앙리티아(이민희) [캄보디아, 여, 1986년생, 결혼이주 7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신라 장수를 위한 진혼제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 [조사자: 진린 장군이래요?] 네, 한자가 (검색한 이름을 보여주며) 이거예요. [조사자: 처음 들어보는 이름이에요.] 일본에서 그쪽에 가구라(神楽)가구라(神樂)는 본래 신좌(神座)를 의미하는데, 신을 가구라에 초대해서 행하는 제능을 널리 가구라라고 부른다.라는
    국가일본 | 제보자마츠다 타마미 [일본, 여, 1976년생, 결혼이주 7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만리장성에서 운 맹강녀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 뭐, 암튼 이 고사에 관련된 구절들이 몇 개 이렇게 나와서, [조사자1: 그럼 이게 하나의 고요?] 네네. 그래서 뭐지? 그, 사랑에 관련되었었던 노래였던 거 같아요. 좀, 응. 중국에는 패턴이 좀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현대적인 감각들의 노래하고. 좀 고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김설화 [중국(한국계), 여, 1983년생, 유학 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자장가 메유건(엄마는 아들을 사랑해)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같이 나라 지킬 거예요. 그런 뜻이에요?] 네. 힘든 상황에서 엄마 다 참았어요. 아들 키우고 있으면서 마음속에서 기원했어요. 그렇게요. [조사자1: 정말 좋은 가요.] 네.
    국가베트남 | 제보자호민두 [베트남, 남, 1997년생, 유학 1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38)

  • 元代 白話碑 一般特徵과 特異 考察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영록, 게재일 : 2011
    36186 박영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문학회 2011 元代 白話碑 一般特徵과 特異 考察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國朝五禮儀에 규정된 大夫・士・庶人의에 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동우, 게재일 : 2013
    53433 장동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연구소 2013 國朝五禮儀에 규정된 大夫・士・庶人의에 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19世紀 王室財政의 危機狀況과 轉嫁實態: 壽進宮 財政의 分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영준, 게재일 : 2008
    07072 조영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제사학회 2008 19世紀 王室財政의 危機狀況과 轉嫁實態: 壽進宮 財政의 分析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專攻글쓰기 能力 啓發을 위한 WAC 협력 과정 -哲學 授業 를 中心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남미, 게재일 : 2013
    54509 김남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專攻글쓰기 能力 啓發을 위한 WAC 협력 과정 -哲學 授業 를 中心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의사결정트리를 활용한 황보의 경제적 가치 분석-의약품 재고관리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기광, 게재일 : 2014
    60325 이기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14 의사결정트리를 활용한 황보의 경제적 가치 분석-의약품 재고관리문제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06)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각디방 군슈 판소 판 례겸기로 결뎡이되야 법부대신 이상 쥬하다더라
    게재일1906년 1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米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미국공 련씨가 갈니고 그 모간씨가 피임말은 이왕긔 엿거니와 련씨가 본월구일에 귀국지라 부인을 동야 소친각대관을 심방야 작별얏다더라
    게재일1905년 6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각부부에 예비쥬 일인식 더두엇다가 궐나로 뎐츙기로 마련 엿다더라
    게재일1903년 6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쥬쳥공 박졔슌씨 이하 참셔관이 하직 폐현로 작일에 예 궐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9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영국의 외보를 거즉 영국에 한사이 년일을 미리 말엿는데 년에는 젼과 괴질이 류야 횡는쟈가 만을터요 쳥국에는 젼이 잇스리라 엿더라
    게재일1902년 10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355)

  • (전통예절) 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전통예절) 인절 (전통예절) 인절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권정석 | 사료철명교육경남
  • (권두논단) 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권두논단) 교찬 (권두논단) 교찬 (卷頭論壇) 敎讚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신용준 | 사료철명교육제주
  • 발해사가 사례()에 참석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발해사가 사례()에 참석하다. 교역물품 779년(己未/신라 혜공왕 15/발해 문왕 大興 43/唐 代宗 大曆 14/日本 光仁天皇 寶龜 10) 발해 ...
    대표표제어발해사가 사례(射禮)에 참석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79년(己未/신라 혜공왕 15/발해 문왕 大興 43/唐 代宗 大曆 14/日本 光仁天皇 寶龜 10)
  • 발해사가 사례()에 참석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발해사가 사례()에 참석하다. 교류담당 779년(己未/신라 혜공왕 15/발해 문왕 43, 大興 43/唐 大曆 14/日本 寶龜 10) 발해 발해→일...
    대표표제어발해사가 사례(射禮)에 참석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79년(己未/신라 혜공왕 15/발해 문왕 43, 大興 43/唐 大曆 14/日本 寶龜 10)
  • (교찬) 이름 없는 교사를 예찬함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찬) 이름 없는 교사를 예찬함 (교찬) 이름 없는 교사를 예찬함 (敎讚) 이름 없는 敎師를 禮讚함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후란 | 사료철명수도교육

주제어사전(79)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성균관의 정4품 관직. 고려 후기인 1275년(충렬왕 1)에 국자감이 국학으로 개칭되면서 사업(종4품)이 로 변경, 뒤에 악정(종4품)이 로, 1356년(공민왕 5)에 사업으로, 6년 뒤에 다시 로 고쳐졌다. 조선 건국 직후 악정 2인이 정4품으

  • 사례 / [사회/가족]

    유교적 원리에 바탕을 둔 관례·혼례·상례·제례 등의 네 가지 의례. 관혼상제(冠婚喪祭) 또는 가례(家禮)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의례를 인류학이나 민속학에서는 통과의례(通過儀禮) 또는 통과제의(通過祭儀)라고도 한다. 내용을 더욱 한정시켜 평생의례(平生儀禮)라고 한다.

  • 대사례 / 大 [종교·철학/유학]

    국가에 행사가 있을 때 임금과 신하가 한자리에 모여서 활을 쏘아 그 예의 도수[禮數]를 살피는 의례. 사례에는 대사례와 향사례(鄕)의 두 가지가 있다. 주관하는 곳에 따라 임금이 주관하면 대사례, 대부나 지방관이 주관하면 향사례라 하였다. 향사와 대사는 중국에서는

  • 사례고증 / 考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안진석이 사례를 고증한 편서. 1933년 안진석의 7대손 안재극 등이 보완하여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소락의 서문과 1725년(영조 1) 편자의 형인 호군 안기석이 쓴 서문·인용서목록·범례가 있고, 권말에 권상규와 안재극의 발문이 있다. 5권 2책. 석

  • 사례절략 / 節略 [사회/가족]

    이재(李縡)의 『사례편람(便覽)』을 축소시킨 예서(禮書). 관혼상제례에 대하여는 『사례편람』을 초록하면서 개장례(改葬禮)를 붙이고 있으며, 우리나라 여러 학자들의 예설을 덧붙이기도 하였다. 엮은이가 불확실하지만 『사례편람』의 일상행용을 위한 간단한 초록으로 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