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액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1)
사전(116)
- 사액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국가의 인재양성과 교화정책(敎化政策)에 깊이 연관되어, 조정에서 특별히 서원의 명칭을 부여한 현판과 그에 따른 서적‧노비 등을 내린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특전을 부여받은 국가공인의 서원을 사액서원이라 하며 비사액서원과는 격을 달리하였다. 1550년 풍기군수...
- 사액서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국왕으로부터 편액(扁額) 등을 하사받아 그 권위를 인정받은 서원.정의조선시대 국왕으로부터 편액(扁額) 등을 하사받아 그 권위를 인정받은 서원.[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saaek seowon | MR표기saaek sŏw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사액서원(賜額書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사액서원 사액서원 賜額書院 서원(書院) 반서(頒書),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 사액전(賜額田), 사액치제(賜額致祭), 사제(賜祭), 사편액(賜扁額), 첩향(疊享), 청액소(請額疏) 교육 출판교육기관/서원 법제 정책 대한민국...상위어서원(書院) | 관련어반서(頒書),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 사액전(賜額田), 사액치제(賜額致祭), 사제(賜祭), 사편액(賜扁額), 첩향(疊享), 청액소(請額疏)
- 대계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거듭되었으니, 1691년(숙종 17)에 안방준사우에 대한 훼철이 결정되어 이듬해 능주의 도산사(道山祠)와 함께 훼철되었으며, 그 뒤 1695년(숙종 21)에 이르러 복설되었다. 1704년(숙종 30) ‘大溪(대계)’라고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
- 도천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된 뒤 복원되지 못하였다. 서원의 문헌과 재산은 향교로 귀속되었고, 지금은 서원터만 남아 있다. 『전고대방(典故大方)...
고서·고문서(30)
- 1690년 존양서원(存養書院) 청금록(靑衿錄)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690년(숙종16) 8월 18일에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교동리에 있는 존양서원에서 작성한 청금록이다. 존양서원은 녹동서원이 사액서원으로 지정되기 이전의 명칭이며 청금록은 서원에 적을 두고 있는 유림들의 명단이다.내용분류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현소장처영암 합경재
- 1690년 존양서원(存養書院) 청금록(靑衿錄)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690년(숙종16) 8월에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교동리에 있는 존양서원에서 작성한 청금록이다. 존양서원은 녹동서원이 사액서원으로 지정되기 이전의 명칭이며 청금록은 서원에 적을 두고 있는 유림들의 명단이다.내용분류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현소장처영암 합경재
- 1695년 존양서원(存養書院) 청금록(靑衿錄)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695년(숙종21) 3월 16일에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교동리에 있는 존양서원에서 작성한 청금록이다. 존양서원은 녹동서원이 사액서원으로 지정되기 이전의 명칭이며 청금록은 서원에 적을 두고 있는 유림들의 명단이다.내용분류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현소장처영암 합경재
- 1607년 태산서원(泰山書院) 심원록(尋院錄)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성서원이 사액서원으로 지정되기 이전의 명칭이다.내용분류교육/문화-서원/향교-심원록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참사록 | 현소장처정읍 무성서원
- 1618년 태산서원(泰山書院) 태산서원유생안(泰山書院儒生案)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618년에 전라도 태인현 고현내면에 있는 태산서원에서 작성한 유생안이다. 태산서원은 무성서원이 사액서원으로 지정되기 이전의 명칭이며 유생안은 서원에 적을 두고 있는 유림들의 명단이다. 무성서원이 위치한 태인현 고현내면 원촌리는 여러차례의 행정구역내용분류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현소장처정읍 무성서원
멀티미디어(5)
- 시기별 사액서원 지리 제도 근현대 문화 사묘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0 19세기 중반 사액/비사액 없음 시계열 통합 사단법인 한국서원연합회;민족문화대백과사전;두산백과;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현지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시계열 통합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정조 이후 사액서원(1801-1843) 지리 제도 근현대 문화 사묘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0 1801-1843 사액/비사액 없음 시계열 통합 사단법인 한국서원연합회;민족문화대백과사전;두산백과;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시계열 통합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숙종 이전 사액서원(1550-1673) 지리 제도 근현대 문화 사묘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0 1550-1673 사액/비사액 없음 시계열 통합 사단법인 한국서원연합회;민족문화대백과사전;두산백과;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시계열 통합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숙종 연간 사액서원(1674-1720) 지리 제도 근현대 문화 사묘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0 1674-1720 사액/비사액 없음 시계열 통합 사단법인 한국서원연합회;민족문화대백과사전;두산백과;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시계열 통합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영조·정조 연간 사액서원(1724-1800) 지리 제도 근현대 문화 사묘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0 1724-1800 사액/비사액 없음 시계열 통합 사단법인 한국서원연합회;민족문화대백과사전;두산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시계열 통합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주제어사전(32)
-
사액서원 / 賜額書院 [교육/교육]
연관되어, 조정에서 특별히 서원의 명칭을 부여한 현판과 그에 따른 서적·노비 등을 내린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특전을 부여받은 국가공인의 서원을 사액서원이라 하며 비사액서원과는 격을 달리하였다.
-
누암서원 / 樓巖書院 [교육/교육]
‘누암(樓巖)’이라고 사액되어 사액서원(賜額書院)으로 승격하였다. 1724년(경조 4) 사액이 취소되었다가 1725년(영조 1) 회복되기도 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어 건물만 보전되어왔
-
학전 / 學田 [경제·산업/경제]
고려·조선시대 유학을 가르쳤던 각 교육 기관의 경비에 충당하기 위해 지급된 토지. 조선시대 성균관과 4학, 그리고 지방 향교 및 사액서원에 토지를 지급하였다. ≪속대전≫에 의하면 최고 학부인 성균관에 400결(結), 주(州)·부(府)의 향교에 각각 7결, 군·현의
-
서원전 / 書院田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서원의 경영·유지에 필요한 경비를 조달하기 위해 설정된 토지. 서원전은 보통 유림에서 거둔 기부나 피제사자의 후손이 낸 갹금(醵金)으로 설정되는 것이 상례지만, 사액서원과 같은 저명한 큰 서원에 대해서는 선유를 존숭하고 교화를 장려하는 뜻에서 국가나 국왕이
-
논산돈암서원 / 論山遯巖書院 [교육/교육]
경회당(慶會堂)이 있어 문풍(文風)이 크게 진작되었고, 김장생은 양성당(養性堂)을 세워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이에 1634년 양성당과 경회당을 중심으로 서원이 건립하게 되었고, 1660년(현종 1)에 ‘돈암(遯巖)’이라고 사액되어 사액서원(賜額書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