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79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57)
사전(1,105)
- 사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사회상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사안
- 사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액정서(掖庭署)에 소속된 정7품의 잡직. [내용] 가례(嘉禮)ㆍ빈례(賓禮) 등 궁궐내의 의식에 설치되는 향안(香案)ㆍ표안(表案) 등에 관한 일을 맡아보았다. 정원은 2인이다. 체아직으로, 대전(大殿)의 서방색(書房色)이나 왕비전의...
- 사안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사인의 아들로, 자는 보국이다. 수려한 용모와 뛰어난 재주를 지녀 부모의 사랑을 받는다. 8세 때 아버지를 따라 평생 길흉화복을 점치고자 병주 땅의 도인을 찾아가 15세 안에 큰 액을 당한다는 예언을 듣는다. 13세 때 액운을 피하기 위해 충직한 하인 기린과 함께 집을...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사안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역사를 이해하는 안목.정의역사를 이해하는 안목.[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saan | MR표기sa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沙岸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0_D_0199 沙岸 지리(기타) 白沙汀, 堆積成岸 長淵 D_15_05_19 대동운부군옥 15권 5장 19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5권 5장 1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논문(2)
- 朝鲜通信使眼中的日本器物形象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朴在玉(延邊大學), 徐东日(延邊大學:교신저자) | 게재정보 : 동강학간 , 게재일 : 2012.4조선통신사 眼中的일본기물형상 (박재옥, 서동일) 본 논문은 조선 사신들이 무역을 통해 생성하는 일본기물형상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조선이 주체적으로 일본의 선진적인 생산기술과 공예수법을 들여와 조선의 생산효율을 제고하였음을 분석하고 있...유형논문
- 東北亞權力結構的變動下南、北韓軍事安全對峙與外交角力 [대만의 한국학 활성화와 한・대만 양국 관계 발전의 상호관계 | 國立高雄大學]저자 : 하범식 | 게재정보 : 政治學報
고서·고문서(2,080)
- 김사안묘(金思安墓)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2458 B032458 김사안묘 金思安墓 사회교육 京畿道邑誌 喬洞郡邑誌 喬洞郡 塚墓 총묘大司諫金思安墓[在府北二十里乭串里鹽川洞]. 習讀官金俔墓[在華蓋山北牛洞]. 大司諫金鸞祥墓[在大牛洞]. 英陵參奉金鳳祥墓 ...출처전거京畿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조선호적령사안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다. 이 자료와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는 자료는 <조선호적령안>인데 국립중앙도서관에 함께 소장되어 있다. <조선호적령사안>, <조선호적령안> 등은 1922년에 제정 공포된 조선호적령의 초안(草案)으로 조선총독부의 입법과정을 상세히 파악할 수 있다.분류법/관습법 | 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출판사발행처불명
- 군사 정치적 사안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군사 정치적 사안 귈러 해군청 차관 1900. 1. 24 1900. 2. 24 도쿄 베를린 해군청 B. No. 13 ...대표표제어군사 정치적 사안 | 발신자귈러 | 수신자해군청 차관 | 발신지도쿄 | 수신지베를린 해군청
- 임자년에 작성된 임사안(任仕案)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작성연대 간지에 대한 기록으로 1801년으로 추정되는 임사안이다. 제명은 ‘봉 성교통동 임사안’으로 되어 있으며, 임사안이지만 형식은 《통록향안》과 같은 체제로 이름과 출생 간지와 자가 차례대로 기입되어 있다. 총 143명이 등재되어 있으나, 2명은 도개된 듯 명부에...내용분류교육/문화-서원/향교-재임안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현소장처영주 풍기향교
- 韓民越界開墾滋事案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한국인이 중국과 러시아 변계지역으로 불법 월경하여 개간을 하는 과정에서 현지인과 마찰을 빚음으로 인해 중국측에서 공문을 보내 이에 대한 방지와 조사를 청하는 내용의 문서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檔案館 | 발신일미상
구술자료(2)
- 충청북도 옥천군_1. 산이가 저로하네 2. 잦은 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소 농군님들, 내말좀 듣게헤, 에헤이야, 사안이가 저로호하네 2. 첩에나 집이 가랴거든/ 나 죽는 꼴을 보구나 가거라 1. 도(레)미솔라 2. 도(레)미솔 1, 2. t1. 1, 2. v1. 1. (메)(받)이 각각 내재4박 2마디씩 2. (메)(녹음지역충청북도 옥천군 청성면 묘금리 | 녹음날짜1986.9.3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피난처에서 일군 또 다른 삶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된다고. [조사자 : 보내야 된다고? 가라고?] 이게 뭐이고 뭐 군대고 뭐이 고 또 어디로 보내지 뭐. 나중이 그건 그러고 하니 그냥 팔수도 없고 하니. 좋다. 자 그러면은 뭐 인가 이런 사안을 껴서 나온 것이. 징병계에서 나오지. [조사자 : 면상? 면상이.] 면면조사지역강원 강릉 | 조사일2012년 7월 13일
기초학문(15)
- 朝鮮時代 謝安携妓東山圖의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유옥경, 게재일 : 201561126 유옥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미술사학회 2015 朝鮮時代 謝安携妓東山圖의 硏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15
- 러시아의 군사안보전략과 우크라이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용환, 게재일 : 200913332 김용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9 러시아의 군사안보전략과 우크라이나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유형논문 | 게재일2009
- 『同文彙考』를 통한 조선후기 외교사안 연구 ― 原編 ‘封典’ 事案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경록, 게재일 : 200936158 김경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명청사학회 2009 『同文彙考』를 통한 조선후기 외교사안 연구 ― 原編 ‘封典’ 事案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미국의 동북아 정책과 군사안보적 제도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35139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평화연구소 2003 미국의 동북아 정책과 군사안보적 제도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선거사안과 후보지지도 변화 : 15대 대선의 경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현우, 게재일 : 199910886 이현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정치학회 1999 선거사안과 후보지지도 변화 : 15대 대선의 경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유형논문 | 게재일1999
신문·잡지(227)
- 土地査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 토디소관 됴샤위원등이 각대신과 무소에회동얏데 그의안은 디방졔도됴샤소에셔 합군안건과 통감부에셔 합군안건을 참호야 됴샤되 각군면젹을 평균게마련야 디방구역을 뎡계건과 결셰 디방구역로 뎡건과 판구역을 획뎡건을 의론고 각대신은 통감관져...게재일1906년 7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金礦事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영공가 외부로 공함기를 슈군금광건으로 일쥬일젼에 귀신을졉견하고 말엿 엇더케다 회답이업고로 졉견기청되 회보가업신즉 아연을 폐현야 샹 쥬터이니 일뎡야 시명라지라 외부에셔 답함기를 금광건은 본신과 판리일이오 폐현지 쳥일이...게재일1904년 12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特赦案聯奏說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오후 시에 각회의를 고 이우에 긔 김규홍씨등 신원 건과 유길쥰씨등 특안건을 졔의후 쥬본을 션뎡얏다더라게재일1907년 9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東洋協會의調査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 동양협회에셔 한국과 밋 쳥국의 농 광산삼림 슈산등을 셰히 됴사기위야 지금 위원을 션뎡고 됴사 즁인 불원간에 발포되면 일반 실업계에 대단히 유익리라더라게재일1907년 10월 11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株式會社安田銀行仁川支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株式會社安田銀行仁川支店) 인천 - 株式會社安田銀行仁川支店 本町 2 - 주식회사 은행업 은행업 536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대표표제어-(株式會社安田銀行仁川支店)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은행업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기타자료(326)
- 한국의 통일 사안에 관한 미국의 입장문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한국의 통일 사안에 관한 미국의 입장문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70/??/??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3679] UN(유엔) 총회,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주 유엔 대사 | 수신자장관
- 한국의 통일 사안에 관한 미국의 입장문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한국의 통일 사안에 관한 미국의 입장문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70/??/??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3679] UN(유엔) 총회,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주 유엔 대사 | 수신자장관
- 한국의 통일 사안에 관한 미국의 입장문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한국의 통일 사안에 관한 미국의 입장문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70/??/??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3679] UN(유엔) 총회,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주 유엔 대사 | 수신자장관
- (수필) 슬기로운 사안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수필) 슬기로운 사안을 (수필) 슬기로운 사안을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래일 | 사료철명부산교육
- 유엔에서 논의된 사안에 대한 외무부 장관의 보고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유엔에서 논의된 사안에 대한 외무부 장관의 보고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67/04/26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H-0007-02)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대한민국 외무부 장관 | 수신자대통령 각하
연구과제(8)
-
(1990~2017) 한-칠 외교 관계 : 정치, 경제 및 문화 커뮤니케이션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Cesar Ross | University de Santiago de Chile | 2018 | 국외 | 해외
-
잡지를 통해 본 1990년대 한국사상계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윤여일 | 제주대학교 | 2019 | 국내 | 제주
-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박현숙 | 고려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
조선후기 야담집(野談集)의 교감 및 정본화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정환국 | 동국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
제국의 형이상학과 식민지 공공성의 재구성: '신체제' 시기 조선의 역사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이혜진 | 세명대학교 | 2013 | 국내 | 충북
주제어사전(34)
-
사안 / 司案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액정서에 소속된 정7품의 잡직. 가례·빈례 등 궁궐내의 의식에 설치되는 향안(香案)·표안(表案) 등에 관한 일을 맡아보았다. 정원은 2인이다. 체아직으로, 대전(大殿)의 서방색(書房色)이나 왕비전의 사약(司鑰) 중에서 차임되었다.
-
부사안 / 副司案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액정서 소속의 종7품의 잡직. 궁궐 안의 필연(筆硯)을 맡아보았다. 정원은 3인이다. 체아직으로 1인은 대전의 서방색(書房色) 왕비전의 사약(司鑰)으로, 1인은 대전의 별감으로, 1인은 대전의 세수(洗手)·수사간(水賜間) 별감, 세자궁(世子宮)의 사약 중에서
-
강희맹사안 / 姜希孟事案 [사회/가족]
가의 아들이 죽으면 다시 돌려받는 관습이 있다. 이것을 ‘파계귀종(罷繼歸宗)’이라 한다. 강희맹사안은 당시까지 없었던 이와 같은 파계귀종의 관습을 제정하기까지의 조정의 논의이다.
-
박통사언해 / 朴通事諺解 [언어/언어/문자]
『박통사』를 언해한 책. 『박통사』의 원문에 한글로 중국어의 독음을 달고 언해한 책이다. 간기는 없으나, 1677년(숙종 3) 10월로 되어 있는 이담명(李聃命)의 서문과 같은해 11월로 되어 있는 내사기(內賜記)에 의하여 1677년에 간행된 것을 알 수 있다. 『박통
-
목사안 부부윤안 / 牧使案 付府尹案 [정치·법제]
전국에서 목사(牧使)가 설치된 지역을 수록한 관안. 부윤을 첨부하였다. 절첩 형식, 상하단으로 나누어 괘선을 그려 필사하였다. 이 문서는 1883년(고종 20) 12월 이후에 작성된 것으로 파악되는데, 이는 부윤 항목에 수록된 의주 지역명 하단에 소자로 표기된 '겸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