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손” 에 대한 검색결과 76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59)

사전(17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본손(本孫) 혹은 드물게는 동종(同宗)이라고도 하였고 조선시대에는 본족(本族)이라고도 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사유재산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노비였기에 유산상속법은 노비의 상속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는데 부모의 노비는 그 자녀‧손자녀가 당연히 계승하여 소유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들여 가계를 계승시키기도 하고(立後), 혹은 3세 이전의 유기된 아이를 수양(收養)하여 가계를 계승시키기도 하였다. 그 어느 경우라도 가계를 계승하는 자손을 이라고 한다. 은 흔히 혈연을 이어갈 자손을 뜻하는 혈손(血孫)과 대비되어 쓰인다. 즉, 혈손은...
  • (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使 본족(本族), 도(使圖), 상속(相續) 사회친족 개념용어 대한민국 고려~조선 고려~조선 문숙자 [정의] 조선시대에 자녀가 없는 사람의 재산을 상속할 수 있는 일정 촌수...
    관련어본족(本族), 사손도(使孫圖), 상속(相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93(성종 24)∼1528(중종 23).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경(卿). 치(?)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응(膺)이고, 아버지는 좌의정 정(貞)이며, 어머니는 허당(許塘)의 딸이다. 1513년(중종 8...
    이칭별칭 양경(讓卿)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계 집단 내 유산 상속의 범위와 우선 순위를 보여주는 그림
    정의출계 집단 내 유산 상속의 범위와 우선 순위를 보여주는 그림 | 문광부표기sasondo | MR표기sasond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569)

  • ○四月。 始定大院君世襲之制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 經筵日記三 56 ○四月。 始定大院君世襲之制 30_189_005.jpg ○四月。 始定大院君世襲之制, 以堂上位世奉其祀。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1822년 강진사댁노(姜進士宅奴) 장(張) 토지상환명문(土地相換明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22년 6월15일에 윤득재(尹得才)가 봉화(奉化)남면(南面)마고원(麻古員)에 있는 논 4두락을 강진사댁 소유의 봉화남면지독곡원(只獨谷員)에 있는 논 7두락과 서로 바꾸되 10냥을 더 주기로 한다는 내용이다.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명문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聱漢先生昌原都護府使公【起陽】墓誌銘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60 文集 卷十六 ITKC_MP_0597A_0160_010_0030 聱漢先生昌原都護府使公【起陽】墓誌銘 정약용(丁若鏞) 傳記類|碑誌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
    권차명文集 卷十六 | 문체傳記類|碑誌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제160 법정의 가독상속인이 있는가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법전 조사국에서 법정(法定)의 추정가독상속인(推定家督相續人)의 상속 우선 순위를 조사한 책으로 약 38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안도와 함경도, 강원도 일부 지역을 조사하고 있다. 수록 순서는 해주, 황주, 평양, 삼화, 안주, 덕천, 용천, 강계, 영변, 경흥, 회령,...
    분류민사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출판사미출판
  • 제160 법정의 추정 가독 상속인이 있는가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조제220호의 1은 초서본이고 조제220호의 3은 정서본이다. 이 자료는 법전 조사국에서 법정(法定)의 추정가독상속인(推定家督相續人)의 상속 우선 순위를 조사한 책이다. 수록 순서는 경성(1), 경성(2), 개성, 인천, 수원, 안성, 청주, 충주, 영동, 대구, 상주...
    분류민사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출판사미출판

신문·잡지(10)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인화문젼 치목소에셔 실화엿슬에 법인 모셰을씨의 사 두엇든 초가에 초가 상지라 법공가 외부로 조회야 손금 십원을 보라 다더라
    게재일1902년 9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鳥太郞(제빙소 ) 수원 鳥太郞 제빙소 梅山町 2町目 - - 빙/빙과자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鳥飼孫太郞(제빙소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빙/빙과자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立祠忠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야 리츙간공은 리찬졍의 죡인 리두복씨의 뎨이쟈 즁원씨로 뎡고 셩문츙공은 셩찬졍의 죡인 셩교운씨의 달 셩쥬영씨로 뎡더라
    게재일1903년 1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젼군슈 리인식씨 리여송씨 구손인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군슈 리인식씨 리여송씨 구손인대 이 업셔셔 그일가 지금 위관 다니 리텰환씨로 양를삼엇더니 리텰환씨가 무삼불미일이 잇지 리인식씨가 군부에 쳥원기를 지금은 파양을 엿스니 리텰환이가 무삼불미 일이잇더라도 쳥원인의게 침말나고 엿다더라
    게재일1899년 10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출판경찰보 131호 초중국어 보충독물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131호 초중국어 보충독물 초중국어(初中國語) 보충독물(補充讀物) 1939년 관(管) 미기재 상해(上海) 일본_1940년 9월 11일 삭제 안녕 중국어 학생의 일기,
    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31호 초중국어 보충독물 | 출판물명초중국어(初中國語) 보충독물(補充讀物) 1939년

기타자료(5)

  • 신라가 김포질을 당에 하정사로 보내고 방물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파견하여 (…) 모두 와서 조공하고 하정하며 또 방물을 바쳤다. (󰡔冊府元龜󰡕 971 外臣部 16 朝貢 4) 【원문】 春二月 遣沙湌金抱質入唐賀正 且獻方物 (󰡔三國史記󰡕 8 新羅本紀 8 孝成王 1年) 【원문】 (開元二十五年)二月 新羅遣使金抱質 (…) 並來朝...
    대표표제어신라가 김포질을 당에 하정사로 보내고 방물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37년(丁丑/신라 성덕왕 36, 효성왕 1/발해 무왕 19 仁安 19, 문왕 1 大興 1/唐 開元 25/日本 天平 9)
  • 신라가 김포질을 당에 하정사로 보내고 방물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月 遣沙湌金抱質入唐賀正 且獻方物 (『三國史記』 8 新羅本紀 8 孝成王 1年) 【원문】 (開元二十五年)二月 新羅遣使金抱質 (…) 並來朝賀正 且獻方物 (『冊府元龜』 971 外臣部 16 朝貢 4)
    대표표제어신라가 김포질을 당에 하정사로 보내고 방물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37년(丁丑/신라 성덕왕 36, 효성왕 1/발해 무왕 19 仁安 19, 문왕 1 大興 1/唐 開元 25/日本 天平 9)
  • 백제 東城王이 南齊 武帝에게 보낸 表와 南齊 武帝가 백제 東城王에게 보낸 조서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었다. 󰡔册府元龜󰡕 963, 外臣部 8, 封冊 1에도 보인다. (南齊武帝永明)八年正月 百濟王牟太遣使上表 遣謁者僕副 策命太龍亡祖父牟都爲 百濟王曰 於戲 惟爾世襲忠勤 誠著遐表 海路肅澄 要貢無替 式循彛典 用纂顯命 往欽哉 其敬膺休業 可不愼歟 詔行都督百濟諸軍事鎭東大將軍百濟...
    대표표제어백제 東城王이 南齊 武帝에게 보낸 表와 南齊 武帝가 백제 東城王에게 보낸 조서 | 주제분류외교문서
  • 남제가 백제왕에게 작호를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원문】 (永明八年正月)丁巳 以行百濟王泰爲鎭東大將軍百濟王 (󰡔南史󰡕 4 齊本紀 上 4) 【원문】 (永明八年十二月) 以 百濟王牟大 ()爲鎭東大將軍百濟王 (󰡔資治通鑑󰡕 137 齊紀 3 世祖武皇帝 中) 【원문】 (南齊武帝永明)八年正月 百濟王牟太遣使上表 遣謁者僕...
    대표표제어남제가 백제왕에게 작호를 내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90년(庚午/신라 소지마립간 12/고구려 장수왕 78/백제 동성왕 12/齊 永明 8/倭 仁賢 3)
  • 남제가 백제왕에게 작호를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爲鎭東大將軍百濟王 (『資治通鑑』 137 齊紀 3 世祖武皇帝 中) 【원문】 (南齊武帝永明)八年正月 百濟王牟太遣使上表 遣謁者僕副 策命太龍亡祖父牟都爲 百濟王曰 於戲 惟爾世襲忠勤 誠著遐表 海路肅澄 要貢無替 式循彛典 用纂顯命 往欽哉 其敬膺休業 可不愼歟 詔行都督百濟諸軍事鎭東...
    대표표제어남제가 백제왕에게 작호를 내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490년(庚午/신라 소지마립간 12/고구려 장수왕 78/백제 동성왕 12/南齊 武帝 永明 8/倭 仁賢天皇 3)

주제어사전(4)

  • / [사회/가족]

    , 혹은 3세 이전의 유기된 아이를 수양하여 가계를 계승시키기도 하였다. 혈손은 생물학적 자손, 은 가계를 계승하는 자손이다.

  • 정기상 / 鄭璣相 [종교·철학/유학]

    1825년(순조 25)~미상. 조선 말기 문신. 정온의 봉, 증조는 정팔복, 조부는 정식이다. 부친은 정종필, 생부는 정기필이다. 외조부는 황희임, 생외조부는 이여민이다. 동생은 정현상‧정형상‧정규상이다. 1874년(고종 11) 증광시 문과에 병과 30위로 급제하

  • 노암문집 / 魯庵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정필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6년에 간행한 시문집. 8권 4책. 목판본. 김대진(金岱鎭) 등의 편집을 거쳐 1886년(고종 23) 그의 문인인 정창덕(鄭昌德)과 ()인 창구(昌九) 등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말에 김대진의 발문이 있다. 장

  • 여자초학 / 女子初學 [문학/고전산문]

    1797년(정조21)에 김종수(金宗壽)가 지은 계녀서(誡女書). 1책. 국문 필사본. 저자는 김성일(金誠一)의 9대 주(主)이다. 첫머리에 저술 동기가 쓰여 있고 끝 부분에 발문(跋文)이 있으며, 국문을 흘림체로 썼는데 드물게 보는 명필이다. 내용은 분장(分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