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성통해” 에 대한 검색결과 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5)

사전(57)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517년 최세진(崔世珍, 1468-1542)이 편찬한 중국본토자음용(中國本土字音用) 운서(韻書).
    정의1517년 최세진(崔世珍, 1468-1542)이 편찬한 중국본토자음용(中國本土字音用) 운서(韻書).[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aseong tonghae | MR표기Sasŏng t’ongh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어한문 문헌 한국 조선 중종 성낙수 박종국 2015 최세진(崔世珍) 주자소 1517년(중종 12), 1654년(효종 7) 2권 2책 을해자(乙亥字) ...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운서 한문 한국 조선 중종 성낙수 박종국 2015 최세진(崔世珍) 1517 2권 2책 을해자(乙亥字) 복각본(覆刻本) 규장각 ...
  • TD_P0_S_0005 环珓 도구 기타 卜具, 竹环 宋 退溪, 鄭寒岡, 魏仲先 家禮, 竹珓环詩, , 字書 S_06_01_14 성호사설 6권 1장 14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6권 1장 1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R1_O_0025 鸕鷀 동물 加麻烏只, 水老鴉, 水鸛, 烏鬼, 入水, 取魚, 鳩, 鷹嘴, 一足, 鷹爪, 鳧掌 中原 , 同文, 譯語, 東醫寶鑑, 物理小識 O_19_01_18 오주연문장전산고 19권 1장 18절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9권 1장 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1)

  • 를 기반으로 한 "韻會譯訓"의 구성 [University of Vienna | Universitaet Wien]
    저자 : Rainer Dormels ... | 출판사 : 학고방 | 출판일 : 20170228
    분야언어 | 유형단행본

고서·고문서(2)

  • 萬物門3_环珓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因擲更焚. 吾嘗學丘禱, 嬾把祝云云.” 詳此詩, 可以得其槪矣. 《》云: “环, 卜具; 珓, 竹环, 判竹根爲之.” 《字書》云: “字之從玉, 寶重之也.” 蓋判爲二, 擲之, 以一俯一仰, 爲吉也.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문적략 [伊藤東涯의 三韓紀略 연구 | 고려대학교]
    (자필본, 고려대본) 又(나진옥본)有答日本國王及大內殿小貳殿政尙對馬島主 書數通 日本行錄 나진옥본 상단에 ‘異稱日本傳所出 東文選 以日本行錄 爲判事某所著’ 추가기재.「」崔世珍著 東國史略 高𠪕史 冶隱行錄「」高䴡吉再 再(자필본, 고려대본), □(나진옥본)字再父善山海平...
    대표표제어문적략 | 편명_제목문적략

기초학문(3)

  • 》所引《中原雅音》考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곡효운, 게재일 : 2015
    58065 곡효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민족어문번역국 2015 《》所引《中原雅音》考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에 반영된 近代漢語 어음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주성일, 게재일 : 2011
    36516 주성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문학회 2011 《》에 반영된 近代漢語 어음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動靜字音〉을 통한 現代漢語 同形異音의 정착과정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주성일, 게재일 : 2012
    53819 주성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문학회 2012 《》〈動靜字音〉을 통한 現代漢語 同形異音의 정착과정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2)

주제어사전(11)

  • / [언어/언어/문자]

    1517년(중종 12) 최세진(崔世珍)이 편찬한 중국본토자음용(中國本土字音用) 운서. 이 책은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1455)의 음계를 보충하고, 자해(字解)가 없는 신숙주(申叔舟)의 『사성통고』를 보완하기 위해 편찬되었다. 구성 내용은 서문 다음에 운모정국(

  • 삼운성휘보 / 三韻聲彙補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소학류(小學類). 홍계희(洪啓禧) 저, 목판본. 불분권 1책(68장). 중국의《홍무정운(洪武正韻)》,《삼운통고(三韻通考)》,《()》등을 참고하여 이용하기 쉽도록 편찬한 운서이다.

  • 삼운성휘 / 三韻聲彙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소학류(小學類). 홍계희(洪啓禧) 저, 목판본. 1769년(영조 45) 2책(영본), 全2권, 補1권 3책. 홍계희가 중국의《홍무정운(洪武正韻)》,《()》,《삼운통고(三韻通考)》등을 참고하여 편찬한 운서이다. 서미(書眉)에 두주(頭註)

  • 노박집람 / 老朴集覽 [언어/언어/문자]

    ()』의 최세진 서(序)에서 말한 『집람(輯覽)』의 편찬 등으로 미루어 1517년(중종 12)에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 속첨홍무정운 / 續添洪武正韻 [언어/언어/문자]

    이 실려 있다. 『홍무정운』이 모두 16권이므로 나머지 부분은 하권에 실었을 것으로 보아 이 책은 상·하 두권으로 되었으리라고 본다. 편찬자에 대한 기록이 없으나, 최세진의 『()』 범례 제2조에, “…홍무정운에 빠진 자가 많아서 다른 운서들을 참고로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