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성”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47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211)
사전(2,877)
- 사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36(헌종 2)∼1910. 조선 말기의 승려. [내용] 선사(禪師). 성은 서씨(徐氏). 호는 극암(克庵), 자는 경래(景來). 대구광역시 달성(達城) 출신. 자세한 행적은 미상이나, 출가한 뒤 주로 팔공산(八公山)에 머물렀고, 휴정(...이칭별칭 경래(景來)| 극암(克庵)
- 사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른 성을 내리는 경우가 있다. 고려 태조가 김행(金幸)에게 내린 권씨(權氏) 등은 앞의 경우에 속하고, 고려 현종이 순응(荀凝)에게 내린 손씨(孫氏) 등은 뒤의 경우에 속한다. 한편, 이상과 같이 우리나라 임금이 내린 사성 이외에 중국의 임금이 우리나라 사람에...
- 사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후기 성균관(成均館)의 종3품 관직. [내용] 1369년(공민왕 18)에 좨주(祭酒)가 개칭된 것이다. 1392년(태조 1)에 다시 좨주로 되었다가 1401년(태종 1)에 사성(司成)으로 고쳐졌다. 이 때 정원은 2인,...
- 사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성균관의 종3품 관직. [내용] 고려 말 1369년(공민왕 18) 성균관의 좨주(祭酒, 종3품) 1인이 사성으로 개칭되었으나, 조선건국 직후에 좨주로 환원, 설치되었다가 1401년(태종 1) 사성으로 개칭되었다. 성균관유...이칭별칭좨주(祭酒)
- 사성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한자(漢字)를 글자에 따라 발음할 때 그 음이 달라지는 현상.정의한자(漢字)를 글자에 따라 발음할 때 그 음이 달라지는 현상.[국어국문학자료사전] | 문광부표기saseong | MR표기sas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2)
- 베트남인을 위한 재미있는 고사성어 [베트남의 한국학 발전을 위한 교육연구 체계 구축 | VNU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Hanoi)]저자 : Duong Chinh Chuc, Do Phuong Thuy ... | 출판사 : Women Pulish House | 출판일 : 202005베트남과 한반도는 다 같이 한자문화권에 속해 있습니다. 한반도는 색다른 정치체제인 한국과 조선으로 분단되어 있지만 언어와 공공생활에서 민족의 전통문화의 특색이 그대로 살아있습니다. 이 한자성어 집은 한반도의 주민들이 언어생활에서 써 오던 한자성어를 소개하고 뜻을 풀이하...
- 四聲通解를 기반으로 한 "韻會譯訓"의 구성 [University of Vienna | Universitaet Wien]저자 : Rainer Dormels ... | 출판사 : 학고방 | 출판일 : 20170228분야언어 | 유형단행본
논문(3)
- 『황혼』과 『대륙』의 서사방식 유사성으로 본 한설야의 일제 식민지에 대한 문학적 접근방식 고찰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吳曉琪 | 게재정보 : 韓國語教學與研究유형논문
- 방사성탄소연대를 통한 기후적 변화와 인구통계학적 변화 사이의 시간적 관계 연구: 한국 즐문토기시대 사례 연구 [한국 고고학의 세계화: 선사, 초기역사시대 한반도 농경의 기원과 사회복합화에 대한 학제적 연구 | University of Oregon]저자 : Habeom Kim | 게재정보 : Scientific Reports
- 오스만 제국과 극동아시아를 둘러싼 식민주의자 정책 이행의 유사성: 시모노세키 협약 이후 한반도 거래를 중심으로 [중동지역 한국학 관련 고문헌 및 근대 역사·어문 자료의 발굴·연구·출판을 위한 국제 비교연구 랩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저자 : Cezmi Eraslan | 게재정보 : BELLETEN
고서·고문서(3,245)
- 고사성어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고사성어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한문학 고사성어 은광사編輯部 編 은광사 서울 2004 언어사전; 한국어; 고사성어 [국중]...대표표제어고사성어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한문학
- 故事成語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故事成語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한문학 故事成語 東信文化社 편 東信文化社 서울 1995 언어사전; 한국어; 고사성어 [국...대표표제어故事成語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한문학
- 사성론(四星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민간신앙-점복자료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사성록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사성론(四星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민간신앙-점복자료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사성록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사성론(四星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민간신앙-점복자료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사성록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구술자료(39)
- 어사성(御史星)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 갚은 의붓 자식’ 이야기 다음에 해 준 이야기이다. 준비해 온 레퍼토리에는 제목을 ‘숫장시(숯장수)’라고 적고 있었다. 어떤 상중의 숯장수와 그의 딸이 세상 일을 잘 아는 사람임을 발견한 암행어사가 그 딸에 장가든 이야기이다. 숯장수나 그의 딸이 그렇게 세상...조사일시1980-02-17 | 조사장소제주도 제주시 노형동 | 제보자양형회
- 사성암과 고양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일 오후가 되자 오전에 고용운이 추천한 고상수를 만났다. 30분가량 개인적인 이야기를 하다가 조사자가 사성암에 관한 이야기를 묻자 다음의 이야기를 구연했다. 제보자와 자리를 같이 한 마을사람들은 진지하게 제보자의 이야기를 경청하였다.조사일시2009.02.06 | 조사장소구례군 문척면 죽마리 죽연마을 401-2번지 죽연마을회관 | 제보자고상수(남, 78세)
-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사람으는 앞으로 큰 희망을 찾을랄라는 사람으는 나쁜 일을 많이 참아야 하고, 또 나쁜 일을 저 사람이 잘못한 것 같아도 항시 내게 원망을 주고, 내가 잘못함으로 저 사람이 잘못한 것으로 생각을 해야 한단 말하여. 그래서 내가 이야기를 한바탕하는 이이야긴데.”라고 ...조사일시1980-01-31 | 조사장소전라북도 전주시 풍남동 | 제보자이영숙
- 맹사성과 공당놀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와 두 번째 만남이었다. 제보자는 언제나 유쾌하고 재미있었다. 구연은 마을회관에서 이루어졌다. 이야기를 잘 듣기 위해 제보자를 작 은 방으로 모셨다. 젊은 이장이 따라 들어왔는데, 제보자는 젊은 이장이 자신을 잘 따른다고 했다. 조사 목적을 잘 이해하고 있던 ...조사일시2009. 2. 21(토) | 조사장소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북창리 초리마을 회관 | 제보자이문성
- 대관령 여국사성황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호랑이의 이야기가 계속 이어졌다. *조사일시19810906 | 조사장소강원도 속초시 양양읍 | 제보자정연옥
기초학문(173)
- 타자의 역사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상기, 게재일 : 200115340 박상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영어영문학회 2001 타자의 역사성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8b7af유형논문 | 게재일2001
- ‘부사성’의 문법적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민현식, 게재일 : 200207520 민현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의미학회 2002 ‘부사성’의 문법적 의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d4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사비니에 있어서 법의 역사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상수, 게재일 : 200108586 이상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법사학회 2001 사비니에 있어서 법의 역사성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유형논문 | 게재일2001
- 광고 전화번호와 인지적 유사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오미라, 게재일 : 200741502 오미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학회 2007 광고 전화번호와 인지적 유사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오일러와 베르누이 수의 유사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48497 한국연구재단 Pushpa Publishing House 2003 오일러와 베르누이 수의 유사성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394)
- 訪問献誠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군부대신 리근씨는 이등통감을 그관뎨로 일 일식 방문다 작일 상오십시경에도통감관뎨로치왕방문더라더라게재일1906년 9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或辞成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에 부대신 리지용씨난 부관리의 진을 별반신칙난 만일 진을 일향 불근이난쟈난 이졔 쳥원라고 군부대신리근씨 부관리가 진을 불근이난쟈의게난 군률을시다고 얏다더라게재일1905년 12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美使聲明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미국공가 외부로 죠회기 본졍부 훈령을 봉쥰야 본공관은 텰환니 죠량라얏다더라게재일1905년 11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耆社盛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기로소에 참입 로샹이 십여인인데 입참날에 그 셔뎨질이 일졔히 다며 슈교대신 죠병셰씨 참척을 당일이 잇고로 부졍야 입참치 못다더라게재일1902년 4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蹴死成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무관학교 부 김셩모가 야쥬현으로 을달니다가 샤직동거는 권원식의 로모를발바 즉시 치 고로 살옥이 되엿다더라게재일1902년 6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55)
- 15세기 중반 사성 지리 제도 근현대 사회 성씨 통계도 단계구분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사성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사회_034_15세기_중반_사성 사회_034_15세기_중반_사성지도유형통계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사성 지리 제도 근현대 사회 성씨 통계도 단계구분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사성;천강성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사회_039_15세기_중반_사성 사회_039_15세기_중지도유형통계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여주 파사성지 1차발굴조사 보고서 j3-0161_#1 유구 원색사진 1. 파사성 전경(①) 및 북벽(NO.6~8구간) 전경(②) j3-0161_1_2015-05-17_3816_원색사진 1. 파사성 전경(①) 및 북벽(NO.6~8구간) 전경(②).J제목여주 파사성지 1차발굴조사 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15세기 중반 김씨(金氏)의 성종 지리 제도 근현대 사회 성씨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해치로 구분가능하도록 4개 정도 사용-기본성,이동성,사성;기본(1차성,2차성),이동성(국내,국제),사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이 어떤 모습으로 변화를 거듭하며 발전했는지 살펴보고, 한국에 정착한 불교 교단의모습을통해 동아시아 불교 교단의 역사성과 성격을 종합적으로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1주차. 불교의 역사와 교단 2주차. 동아시아 불교 교단과 종파 연구사적 검토 3주차. 삼국시대 불교강좌제목교단과 종파 | 강의자박광연
기타자료(323)
- 홍사성;洪思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3935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2 252면 3. 졸업생 성명;1) 법학사;(1) 법학과;g. 1935년 3월 졸업 홍사성;洪思成 (본적)경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사성;洪思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2359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0 304면 3. 졸업생 성명;1) 법학사;(1) 법학과;g. 1935년 3월 졸업(34명) 홍사성;洪思成 (본적)경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사성;洪思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4946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29 167면 1. 학생 및 생도 성명 (1929년 4월 말일 현재);5) 예과생도;(4) 문과 1학년 A조 홍사성;洪思成 (본적...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사성;洪思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성;洪思成 (본적)경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사성;洪思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성;洪思成 (본적)경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1)
-
일제하 종교 법규와 정책, 그리고 대응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고병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
한국 석조미술사의 장르와 미적 담론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엄기표 | 단국대학교 | 2024 | 국내 | 경기
-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송찬섭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2012 | 국내 | 서울
-
세계화한 한국, 트랜스내셔널 한인: 한인 이주와 한인과 아시아인의 역동적인 모빌리티를 비교의 시각에서 연구하기
한국학 세계화 랩사업 | 김지훈 | 인하대학교 | 2023 | 국내 | 인천
-
『申在孝 판소리 辭說集』 – 春香歌(男唱) & 春香歌(童唱)
한국 학술 번역사업 | 변계원 | Ruhr-Universität Bochum | 2015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245)
-
사성 / 賜姓 [사회/가족]
임금이 내린 성, 또는 임금이 신하에게 성을 내리는 행위. 첫째, 원래 지금과 같은 우리식의 한자 성이 없어서 임금이 새로 성을 지어서 내리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우리나라 사람에게 처음으로 한자 성을 지어서 내리는 경우와 외국인으로서 우리나라에 귀화한 유공자에게
-
사성 / 司成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성균관의 종3품 관직. 고려 말 1369년(공민왕 18) 성균관의 좨주(祭酒, 종3품) 1인이 사성으로 개칭되었으나, 조선건국 직후에 좨주로 환원, 설치되었다가 1401년(태종 1) 사성으로 개칭되었다. ≪경국대전≫에는 2인으로 증원되었으나, 1658년(효
-
대사성 / 大司成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성균관의 정3품 당상관직. 정원은 1인이다. 1366년(공민왕 15) 성균관을 다시 짓고 이색을 겸대사성으로 임명한 것으로부터 비롯되었다. 1401년(태종 1) 직제의 일부가 개정되었는데, 좨주가 사성(司成), 악정이 사예(司藝) 등으로 개칭된 것이 그것이
-
맹사성 / 孟思誠 [종교·철학/유학]
1360(공민왕 9)∼1438(세종 20).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아버지는 고려 수문전제학 희도, 최영의 손서이다. 1386년(우왕 12)에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춘추관검열, 내사사인, 이조참의, 사헌부대사헌, 예조참판, 이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
비사성 / 比史城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김포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땅이었는데 고구려가 취하여 평회압현(平淮押縣)이라 고쳤고, 신라 경덕왕 때는 분진현(分津縣)이 되었다가 고려 태조 때 통진현이 되었다. 비사성은 부근의 문수산(文殊山)을 중심으로 한강의 하류를 지키는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비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