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섬시” 에 대한 검색결과 47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3)

사전(20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저화(楮貨)의 주조 및 외거노비(外居奴婢)의 공포(貢布)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던 관서. [내용] 1401년(태종 1)에 설치한 사섬서(司贍署)를 1460년(세조 6)에 개칭한 것이다. 그 뒤 1637년(인조 15)에 ...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저화(楮貨)의 제조 및 외거노비(外居奴婢)의 공포(貢布)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던 관청.
    정의조선시대 저화(楮貨)의 제조 및 외거노비(外居奴婢)의 공포(貢布)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던 관청.[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Saseomsi | MR표기Sasŏms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호조(戶曹), 정삼품(正三品) 아문(衙門) 구(舊) 사섬색(司贍色)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고동환 1401년(태종 1) 1705년(숙종 31) ...
    상위어호조(戶曹), 정삼품(正三品) 아문(衙門) | 동의어구사섬시(舊司贍寺) | 관련어사섬색(司贍色)
  • 신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년에 노는 면포 1필과 저화 20장, 비는 면포 1필과 저화 10장을 ()에 바치도록 규정하였다. 이를 면포로 환산하면 노 면포 2필, 비 면포 1필반으로 사노비의 신공 또한 이와 비슷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3명의 장년 노비로 구성된 노비호가...
  • 양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宋氏)로 상(常)의 딸이다. [내용] 1502년(연산군 8) 빙고별제(氷庫別提)에 천거로 임용되었다. 이 후 예빈시주부ㆍ감찰ㆍ장례원사평(掌隷院司評)ㆍ한성부판관ㆍ사옹원정(司饔院正)ㆍ정(正)ㆍ함경도도사ㆍ양근군수ㆍ이천부사ㆍ정주목사 등 2...
    이칭별칭 자징(子澄)

고서·고문서(254)

  • 趙基遠을 奉正大夫 行 主簿에 임명하는 敎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301 1241_01 趙基遠을 奉正大夫 行 主簿에 임명하는 敎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KJ039.JPG 趙基遠을 奉正大夫 行 主簿에 임명하는 敎旨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趙基遠을 奉正大夫 行 主簿에 임명하는 敎旨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302 1241_02 趙基遠을 奉正大夫 行 主簿에 임명하는 敎旨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KJ039.hwp 敎旨 趙基遠爲奉 正大夫行主簿 者 崇禎五年二...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趙基遠을 中訓大夫 行 主簿에 임명하는 敎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303 1242_01 趙基遠을 中訓大夫 行 主簿에 임명하는 敎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KJ040.JPG 趙基遠을 中訓大夫 行 主簿에 임명하는 敎旨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趙基遠을 中訓大夫 行 主簿에 임명하는 敎旨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304 1242_02 趙基遠을 中訓大夫 行 主簿에 임명하는 敎旨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KJ040.hwp 敎旨 趙基遠爲中 訓大夫行司 贍寺主簿者 崇禎五年五...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14 第十四統首慶州案付奴包伊浦分防金宗立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684년_내상면(內廂面) 1684년 내상면(內廂面) 第一南門內里 14 第十四統首慶州案付奴包伊浦分防金宗立 統第一戶(慶州案付案付)寺奴包伊浦分防金宗立年參拾乙未本慶州父寺奴春日祖寺奴愛生曾祖寺奴之時外祖寺奴鄭夢實本慶州率母班婢今 卜年伍拾伍庚午率兄奴包伊...
    연도_면이름1684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一南門內里

주제어사전(15)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저화의 주조 및 외거노비의 공포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던 관서. 1401년(태종 1)에 설치한 사섬서를 1460년(세조 6)에 개칭한 것이다. 그 뒤 1637년(인조 15)에 폐지되어 제용감에 합병되었다가 1645년에 호조판서 정태화의 건의에 따라 다시 설치되

  • 공조 / 工造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관청소속 장인들에게 주었던 종8품 잡직. 공조에 1인, 교서관··조지서에 합쳐 4인, 상의원에 1인, 군기시에 2인, 선공감에 4인을 두었다.

  • 공포 / 貢布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외거 공노비가 신역 대신 노비공으로 매년 국가에 바치던 베. 국가기관에 징집·사역되는 선상과 기타 잡고의 경우를 제외한 16세 이상 60세 이하의 공노비가 그 대상이 되었다. 조선 전기는 에서, 후기는 호조에서 관장하였다.

  • 황응규 / 黃應奎 [종교·철학/유학]

    1518(중종 18) - 1598(선조 31). 아버지는 황사우, 어머니는 연일오씨이다. 1543년(중종 38) 사마시에 급제하여 성균관에서 수업, 예조, 형조, 공조의 좌랑과 정랑을 지내고 사유로 선발되어 성균관 직강, 사성을 지내고, , 예빈시, 종부시 정을

  • 공작 / 工作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관청소속의 장인들에게 주었던 종9품 잡직. 관청과 구성원은 공조에 2인, 교서관··조지서에 합쳐 2인, 상의원에 3인, 군기시에 2인, 선공감에 4인을 두었다. 기능 종목에는 제한을 두지 않았고, 여러 가지 수공업기술자들을 필요에 따라 채용하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