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서삼경” 에 대한 검색결과 29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0)

사전(165)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유교의 기본적 경전인 사서와 삼경의 총칭.
    정의유교의 기본적 경전인 사서와 삼경의 총칭.[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Saseo Samgyeong | MR표기Sasŏ Samg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원강대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신유복에게 8년 간 을 비롯한 제자백가의 책들과 손오병서와 육도삼략 등을 가르친다. 명나라가 조선에 구원병을 청하여 유복이 대원수가 되어 출병하게 되매, 천봉산(天奉山) 봉선암(奉善庵)에 있는 일행대사에게 도움을 청하라고 조언한 후빠른 걸음으로 사라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회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66(고종 3)∼1952. 승려. [내용] 성은 이씨(李氏). 경기도 양주출신. 4세에 어머니가 죽고 아버지는 외지에서 근무하였으므로 할머니의 양육을 받았다. 5년 동안 ()을 배우다가 1876년 양주 수락산 학림암(鶴...
  • 이승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鍾錫)의 문인이다. 처음에는 정일신(鄭日新)에게 글을 배웠고, 뒤에 곽종석에게 나아가 이학(理學)의 진전(眞詮 : 참뜻)을 들었으며, 하겸진(河謙鎭)ㆍ황철원(黃澈源)ㆍ김황(金榥) 등과 교유하였다. 평생 학문에 전념하여 ()은 물론 제자백가(諸子百家...
    이칭별칭 덕수(德受)| 양곡(良谷)
  • 정호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배우기 시작하여 그 후 ()과 제자백가서(諸子百家書)를 통독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서 임금이 남한산성(南漢山城)으로 파천했다는 소리를 듣고 화순(和順)의 조수성(曺守誠) 등의 격문에 호응하여 옥과현감(玉果縣監) 이흥발(李興浡)ㆍ순창군수...
    이칭별칭 사명(士明)| 아산(鵝山)

고서·고문서(112)

  • 의 義理와 註疏를 답하는 시권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624 1442_01 의 義理와 註疏를 답하는 시권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권환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시문류, 시권 한자 고문서 LK099.JPG 의 義理와 註疏를 답하는 시권 試講紙 權寏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의 義理와 註疏를 답하는 시권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625 1443_01 의 義理와 註疏를 답하는 시권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권환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시문류, 시권 한자 고문서 LK100.JPG 의 義理와 註疏를 답하는 시권 權寏 75.3...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新譯 ㆍ第7卷 : 別冊 漢文名言ㆍ名句大事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新譯 ㆍ第7卷 : 別冊 漢文名言ㆍ名句大事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한문학 新譯 ㆍ第7卷 : 別冊 漢文名言ㆍ名句大事典 구인환...
    대표표제어新譯 四書三經ㆍ第7卷 : 別冊 漢文名言ㆍ名句大事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한문학
  • 44499 B044499 대정현 大靜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1年 4月 17日_035 , 印送本館事, 已有成命, 而諸道全不擧行, 至於嶺南之, 亦不印送, 事極未安。 更爲出擧條申飭, 使之依前成命, 卽速印出上送之地, 何如? 上曰, 依爲之。 出擧條 在學曰, 法講何...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161 B002161 가시목 加時木 경제산업承政院日記 英祖 1年 3月 23日_010 ○尹錫來, 以迎接都監意啓曰, 勅使以下各種求請之物, 次弟入給。 而上勅, 人物山水大綃屛二坐·僧笠三部·島銃三柄, 倭長劍一柄·加時木二條。 副勅, 各一秩·鳥銑三柄·加時木二條。 一大通官...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2)

  • 박귀희 죽장망혜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로 내려가서 예기춘추에 집주만 내시더라. 호걸지풍이요 성현지학이라 고래천지기천년고 금성옥진이 여기로구나. 2)단가 죽장망혜 (04:45): (중모리)죽장짚고 단표자로 천리강산을 들어가니~금성옥진이 여기로구나 거드렁거리고 놀아보자 3)단가 죽장망혜 (09:39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정업
  • 박귀희 죽장망혜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로 내려가서 예기춘추에 집주만 내시더라. 호걸지풍이요 성현지학이라 고래천지기천년고 금성옥진이 여기로구나. 2)단가 죽장망혜 (04:45): (중모리)죽장짚고 단표자로 천리강산을 들어가니~금성옥진이 여기로구나 거드렁거리고 놀아보자 3)단가 죽장망혜 (09:39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귀희

기초학문(1)

  • 의 언해 양상과 표기상의 특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72126 한국연구재단 우리말글학회 2013 의 언해 양상과 표기상의 특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주제어사전(12)

  • / [문학/한문학]

    유교의 기본 7가지 경전. 『논어』·『맹자』·『대학』·『중용』·『시경』·『서경』·『역경』을 지칭한다.『대학』과『중용』은 원래『예기』의 편명이었던 것을 주자(朱子)가『논어집주』10권과『맹자집주』7권에『대학장구』1권,『중용장구』1권을 더하여 사서라 하고『사서혹문(四書或問)

  • 강경과 / 講經科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에 성균관과 사학의 유생·생원·진사를 대상으로 하여 을 암송하게 하던 과거. 전강은 1470년(성종 1)에 선정전에서 성균관유생들을 고강한 것이 시초인데, ≪속대전≫에 이르러 제도화되었다.

  • 회명 / 晦明 [종교·철학/불교]

    현대의 승려(1866∼1952). 4세대 모친을 여의고 조모슬하에서 컸다. 을 배우다 양주 수락산 학림암으로 출가했다. 보하의 제자가 되었고, 개운사에서 용호로부터 사미계를 받았다. 이후 후진양성과 불교포교에 힘썼다.

  • 고정인물성고 / 考亭人物性考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박문호가 을 비롯한 여러 문헌 중 인물성에 관한 학설을 발췌하여 풀이한 유학서. 4권 4책. 필사본. 1901년 편집되었으며, 권두에 편집자 박문호(朴文鎬)의 서문이 있다. 권1에 주해, 권2에 대전(大全)·속별집·사서혹문(四書或問)·태극

  • 경서기의 / 經書記疑 [종교·철학/유학]

    과 『근사록』의 장구나 편목에서 필요한 부분을 풀이한 주석서.유학서. 불분권 5책. 필사본. 편자 또는 필사연대 모두 미상이며, 서문과 발문도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제1책에 「대학기의(大學記疑)」·「독용기의(讀庸記疑)」·「근사록기의(近思錄記疑)」, 제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