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산참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4)
- 사산참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30)에 사산참군으로 개칭하였다. 사산참군은 새로 무과에 급제한 사람 중에서 선전관(宣傳官)이 후보로 추천한 사람을 임명하여 동ㆍ서ㆍ남ㆍ북 각 1인으로 도성(都城) 내외산(內外山)과 도로 연변에 있는 송림(松林)의 보호ㆍ육성과 성첩의 보호를 맡아 보게 하였다. ...이칭별칭사산감역관(四山監役官)
- 참군(參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참군 참군 參軍 개성부(開城府), 군기시(軍器寺), 사산참군(四山參軍)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윤훈표 1392년(태조 1) 한성부(漢城府), 훈련원(訓鍊院) 정칠...관련어개성부(開城府), 군기시(軍器寺), 사산참군(四山參軍)
- 종구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勤力副尉)로 정해져 수록되었다. 종9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참봉‧탁유‧부정자‧의금부도사‧겸인의‧가인의‧감역‧가감역‧사산감역(四山監役 : 뒤에 四山參軍으로 명칭이 바뀜.)‧대군사부‧왕자사부‧왕손교부‧교관‧분교관‧수봉관‧수위관‧전화(典貨)‧부사용‧군문초관(軍門哨...
- 곤장(棍杖)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사관, 군문의 별장, 천총, 금군장, 좌우순청, 영장, 겸영장, 우후, 중군, 변방의 수령, 사산참군, 3품 이하의 군무사성이 사용할 수 있으며, 소곤(小棍)은 군문의 파총, 초관, 첨사, 별장, 만호, 권관이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치도곤(治盜棍)은 포도청, 유수, 감...하위어중곤(重棍), 대곤(大棍), 중곤(中棍), 소곤(小棍), 치도곤(治盜棍) | 관련어신보수교집록(新補受敎輯錄), 흠휼전칙(欽恤典則), 포도청(捕盜廳), 대전통편(大典通編)
고서·고문서(2)
- 山虞寺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nk?DCI=ITKC_MP_0597A_1070_030_0020_2015_024_XML 024 山虞寺。提調卿一人,僉正上士一人,主簿中士二人,參軍下士四人。○書吏二人,皁隷六人。 臣謹案 《周禮》:“山虞掌山林之政,令仲冬斬陽木,仲夏斬陰木。凡竊木者有刑罰。” 國制,有四山參軍,惟...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三班官制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卽訓鍊參軍】 山虞參軍四人,【卽四山參軍】 共十二窠,以待其陞遷。○每式年新榜旣出,以去式年新進十二人,陞爲八品,以補此十二窠。○又仕至三年,陞之爲中士,又一年,出而爲邊將,其聲績蔚然者,將臣ㆍ相臣薦而拔之,陞之爲上士。其不能然者,至於邊將而止。○臣謹案 原典,訓鍊判官八員,主簿十八員,參軍二員,...권차명經世遺表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1)
-
사산참군 / 四山參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한성 주위의 산을 분장하여 성첩(성과 성위에 쌓은 작은 담)·수목 등을 보호하는 군직. 사산참군은 새로 무과에 급제한 사람 중에서 선전관이 후보로 추천한 사람을 임명하여 동·서·남·북 각 1인으로 도성 내외산과 도로 연변에 있는 송림의 보호·육성과 성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