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복시” 에 대한 검색결과 1,5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89)

사전(684)

  • 이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에 소속된 잡직. [내용] 이 관직의 발생 연혁은 나타나지 않으나 가 고려말에 설치된 이래 잡직으로 안기(安驥)‧이기(理驥)‧마의(馬醫)‧견마배(牽馬陪) 등이 있었다.『고려사』에는 나타나지 않고 조선 초기에
  • 조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 종7품 잡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여마(輿馬 : 임금이 타는 수레와 말)‧구목(廐牧 : 소‧말을 사육함.) 및 목장에 관한 일을 관장하는 가『경국대전』에 법제화되면서, 잡직으로 안기(安驥)‧이마(理...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왕의 말과 수레를 관리하던 관청. [내용] 고려시대에 내구(內廄) 관리는 상승국(尙乘局)의 여러 기능 중에 하나였으나, 조선 건국 후 내의 전담기능으로 독립되었다. 관원으로는 내승(內乘) 3인이 있었는데, 1인은 정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었고, 승과 직장은 각각 종6품ㆍ종7품 관직으로 격하되었다. 1356년(공민왕 5) 대복시로 환원되면서 폐지되었다가 1362년 다시 설치되고, 판사ㆍ정ㆍ부정ㆍ승ㆍ직장 등의 관원을 두었다. 그 뒤 1369년에도 대복시로 고쳤다가 1372년 다시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의 여마(輿馬)ㆍ구목(廐牧) 및 목장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내용] 1392년(태조 1) 고려 제도에 따라 를 설치하고 수레ㆍ말ㆍ마구ㆍ목축 등을 관장하였다. 그 뒤 1405년(태종 5)에

고서·고문서(802)

  • 송병선정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宋秉璿을 通訓大夫正으로 임명하는 고신
    분야문학 | 유형문헌
  • 栗谷先生全書 卷之八 啓 22 學啓【乙亥】 08_055_010.jpg 學啓 辭……啓: 초1․초국2․중규1․중공2에는 “學初啓”.【乙亥】 無狀小臣, 遭遇明時, 內忝侍從, 外叨方伯。 疏謀謬策, 十發九誤, 涓埃未效, 只辱名器。 加以孱弱之質, 血氣向衰, 危機...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一 【拾遺】賦 178 捉月圖【進】 39_121_076.jpg 捉月圖【進】 隴西公子謫僊人, 一生愛月爲知己。 采石江頭秋正深, 一葉輕舟千頃水。 徵雲淨埽銀闕涌, 玉塔橫江波不起。 天心有月不可近, 水中有月還孔邇。 欣然乘醉欲一捉, 側身棹底輕生死。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學啓【乙亥】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二 【拾遺】啓 52 復學啓【乙亥】 40_065_038.jpg 復學啓【乙亥】 頃者兩司論監司之徑還者, 臣在被劾之中, 竟蒙原宥, 臣之私義, 至爲未安。 竊念人臣之義, 惟進與退。 進則當盡匪躬之誠, 退則當堅自守之節, 不可辭此取彼,【缺】爲自便之計也...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二 【拾遺】啓 52 辭免提調啓 40_065_046.jpg 辭免提調啓 冒達至爲惶恐。 自上軫念馬政虛疏, 特命擇其提調, 必欲得人, 甚盛意也。 不圖如臣者得膺是任, 驚悶罔措。 竊觀牧場散在諸島, 牧子旣不充額, 守直又不謹密。 外被村民潛殺, 內被牧子...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신문·잡지(3)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硏成學校附步兵叅領尹錫天 仝金潤昌 仝副尉李義爀 仝李秉純 仝叅尉金漢奎 命休職 六月三日 命修學院長 侍從院卿李道宰 六月十一日 依願免本官 奉常調金憲奎 任奉常調 正三品鄭寬永以上六月十二日 江華郡守李祖鉉 天安呂炳鉉 雲峯李 俊 端川玄昇奎 依願免本官 正三品白喆鏞 任度支部稅...
    게재일1907년 6월 18일 | 기사분류관보
  • 三家追 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고리죠판셔 리근오씨△ 젼쟝례원경 리졍로씨의 션고이니 의법뎐야 의뎡부참졍을 츄증고 고쳥쥬목 죠병익씨 경상북도 관찰 죠기하씨의 션고이니 의법뎐야 부협판을 츄증고 고참판 리병효씨 의졍부찬졍을 츄증고 고승지 리광휘씨 의졍부참찬을 츄증고 고경 리슈츈...
    게재일1902년 4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혁명게급으로 뒤다 프로레타리아트는 전체사회를 각종의 착취와 압박으로부터 해방시키지 않고는 자기를 해방시킬 수 없다. 역사적 발전의 일정한 계단에 가서는 로동자들의 계급투쟁이 『공개적 혁명으로 변하며, 프로레타리아트는 불죠아를 강압적으로 킴으로써 자기의 지배권을 수...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8_0201_02

연구과제(1)

  • 조선후기 무관직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해은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39)

  • / 內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의 말과 수레를 관리하던 관청. 고려시대에 내구(內廄) 관리는 상승국(尙乘局)의 여러 기능 중에 하나였으나, 조선 건국 후 내의 전담기능으로 독립되었다. 관원으로는 내승(內乘) 3인이 있었는데, 1인은 정이 겸임하였고, 나머지 인원도 다른 관직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의 여마·구목 및 목장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1392년(태조 1) 고려 제도에 따라 를 설치하고 수레·말·마구·목축 등을 관장하였다. 그 뒤 1405년(태종 5)에 병조의 속아문이 되고, ≪경국대전≫의 완성으로 정3품 아문의 관청

  • 송병선정고신 / 宋秉璿正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80년 8월에 송병선을 통훈대부정으로 임명하는 고신. 통훈대부는 문관의 정3품 하계인 당하관이다. 이 고신은 4품 이상의 문무관원에게 발급한 관교에 해당, 국왕의 명으로 발급되어 문서의 시작부분에 '교지'라는 문구가 있다. 는 조선시대 궁궐의 마구간과

  • 조기 / 調驥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 종7품 잡직. 정원은 1인이다. 여마(輿馬)·구목(廐牧) 및 목장에 관한 일을 관장하는 가 ≪경국대전≫에 법제화되면서, 잡직으로 안기(安驥)·이마(理馬)·마의(馬醫) 등과 함께 제도화되었다.

  • 목장색등록 / 牧場色謄錄 [경제·산업/산업]

    조선 후기의 목장에 관련된 일종의 자료집. 필사본. 1834년(순조 34)부터 1873년(고종 10) 사이에 ()에서 각도의 감영(監營)·수영(水營)·병영(兵營) 및 전국의 각 목장에 있는 감목관(監牧官)에게 보낸 공문과 각 감목관의 첩보(牒報), 각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