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1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121)
사전(487)
- 사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중앙정부의 통제력이 이완되고 제도가 문란해지는 혼란기에 발생했는데, 특히 통일신라 하대부터 고려 초, 고려 무신집권기, 고려 말 조선 초에 크게 문제가 되었다. 사병(私兵)이 처음 발생한 신라 하대에 유력한 진골(眞骨) 귀족들은 각자의 사병을 기반으로 치열한 왕위쟁탈전...이칭별칭족병|가병
- 사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시대의 관직. [내용] 병권을 담당하는 병부(兵部)에 소속되었다. 병부는 다른 중앙관서가 5등관제(五等官制)였던 것과는 달리 6등관제였는데, 그 중 사병은 제4등관에 해당된다. 672년(문무왕 12)에 병부의 관원을 확대 정비하면서부...이칭별칭노사지(弩舍知)
- 사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군사의 일을 맡아보던 향리(鄕吏)의 관사(官司). [내용] 983년(성종 2) 주ㆍ부ㆍ군ㆍ현(州府郡縣)의 이직(吏職)을 개정할 때 처음으로 기록에 보인다. 사병(司兵)은 병부(兵部)를 고친 이름으로, 이같이
- 사병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국가의 공적(公的)인 군제(軍制)에 포함되지 않고, 특정한 개인 또는 집단에 사적(私的)으로 예속되어 있는 무력집단.정의국가의 공적(公的)인 군제(軍制)에 포함되지 않고, 특정한 개인 또는 집단에 사적(私的)으로 예속되어 있는 무력집단.[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abyeong | MR표기sab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司兵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4_D_0219 司兵 정책-제도 景德王 羅史 D_07_01_32 대동운부군옥 7권 1장 3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1장 3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4,108)
- 감사병사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0540 창가 매일신보사 1923년~1931년 매일신보사 감사병사 〈ad〉慶南南海郡任浦面四一五〈/ad〉 〈in〉孔日東君報〈/in〉 〈#233〉 씨아버니 감사가고 우런님은 병사가고 감사 압헤 술잔 들고 병사 압헤 눈 돗다가 짓첫고나 짓첫고나 해명...구분창가
- 司兵寺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70 經世遺表 卷二 ITKC_MP_0597A_1070_030_0080 司兵寺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辭兵曹判書啓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八 啓 22 辭兵曹判書啓 08_055_034.jpg 辭兵曹判書啓 辭兵曹判書啓: 초1․중규1․중공2에는 “伴送使復命辭兵曹判書啓”. 小臣奉命無狀, 接待失宜, 上軫聖憂, 下招物議, 兢惶跼蹐, 置身無所, 而千萬意外, 叨忝西銓之長, 尤不堪戰慄之至。 臣聞用人有...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傀儡士兵(괴뢰사병) 歸順(귀순)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傀儡士兵(괴뢰사병) 歸順(귀순)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1000일 창간 월...대표표제어傀儡士兵(괴뢰사병) 歸順(귀순)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월남, 귀순, 사병, 중부전선, 병사, 괴뢰
- 네士兵(사병) 被殺(피살)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네士兵(사병) 被殺(피살)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무장괴한, 군인사망, 군...대표표제어네士兵(사병) 被殺(피살)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무장괴한, 군인사망, 군사분계선, 피살
구술자료(45)
- 상사병 걸린 중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 상황 없음 *조사일시1980-02-29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 제보자주필득
- 상사병은 없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가 직접 본 이야기라면서 이야기를 해 주는데, 자료로서는 큰 가치가 없었다.*조사일시1980-12-02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 제보자신종옥
- 상사병으로 죽은 총각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1-01-23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무안면 | 제보자김외순
- 급사병에 맞아 죽었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청중 한 명이 “옛날얘기가 많이 있거든 많이 들려주라니께네.”라고 하며 많은 청중들이 이야기를 구연할 것을 독려했다. 그러자 바로 이향자씨 가 “지금은……”이라고 하며 운을 떼고는 곧 이야기를 구연했다.조사일시2011. 2. 09 (수) | 조사장소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죽변 3리 마을회관 | 제보자이향자
- 상사병 고친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화 165를 듣다가 상사병 이야기가 다른 것이 생각났다. *조사일시1979-02-26 | 조사장소경상북도 월성군 현곡면 가정2리 | 제보자이분도
기초학문(6)
- 흑사병 논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흥식, 게재일 : 200822576 박흥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교육연구회 2008 흑사병 논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08
- 흑사병에 대한 도시들의 대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흥식, 게재일 : 201022575 박흥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0 흑사병에 대한 도시들의 대응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10
- 흑사병과 중세 말기 유럽의 인구문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흥식, 게재일 : 200722223 박흥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서양사학회 2007 흑사병과 중세 말기 유럽의 인구문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여가프로그램이 사병의 스트레스 감소와 전우애 증진에 미치는 인식효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종구, 게재일 : 201026838 박종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관광경영학회 2010 여가프로그램이 사병의 스트레스 감소와 전우애 증진에 미치는 인식효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10
- 군대 여가프로그램이 장병 스트레스 감소의 기대효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종구, 게재일 : 2010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7258&local_id=10022132 군대 여가프로그램이 신세대 사병의 스트레스 및 부대적응에 미치는 효과 -여가보상설과 파급효과설을 비교해서- https://www.krm.or.kr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196)
- 訓査病院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함경북도 경셩군훈련원안에잇 둑당에일본병원을 셜치얏다 건으로 부에셔 관찰도로 훈칙야 그병원의 명칭과 언어곳소관이며 공립인지 립인지셔히탐지야 슈보라 얏다더라게재일1907년 2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公使病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탁지부에셔 쥬일공 일의 려비를 지발 엿다는데 공 김승규씨는 신병으로 직상소 엿다더라게재일1903년 2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龍珠寺兵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월 십이일에 슈원군 룡쥬에 의병 일삼십여명이 도야 졈심밥을 지어달나 그졀즁들이 쌀과찬슈가 업셔 공궤슈 업다고 방다가 강졔에 견지못야 져에나아가 쌀과찬슈를 흥셩야 오다고 바로일본 병참쇼에가셔 통지지라 일병략간명이 그 소식을듯고 룡쥬에 일...게재일1907년 9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義領事病逝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한셩에 쥬 의국 총령 헤우도씨가 월젼에 신병으로써 슈유엇어 귀국야 치료다가 본월십구일에 병얏다뎐보가 그령관애 도고로 삼작일에 반긔달 죠례얏다더라게재일1906년 12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印度黑死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인도국에 흑병이 치야 본년일월부터 이월금음지 그병에 쥭은쟈가 십구만일쳔여인이라더라게재일1903년 5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279)
- 사병순;史秉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526 북한 평남 耶稣敎長老會神學校 耶蘇敎長老會神學生名簿表 n.r. 14면 사병순;史秉淳 평안남도 증산군 반석면 육리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耶稣敎長老會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사병순;史秉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9069 북한 평남 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학우회보 제1호 1923―01 12면 1. 본 신학교 졸업생 및 재학생 씨명;6) 제6회 졸업생 33인(1913년) 사병순;史秉淳 支那 山東省 萊陽縣 선교사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사병순;史秉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사병순;史秉淳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朝鮮예수敎長老會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사병식;史秉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5483 남한 경성 감리교협성신학교 1-01 감리교협성신학교일람 1924 28면 1923년 강습회 회원명부일람 제2부 사병식;史秉植 (현주소)금천군 서북면 조읍리 126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감리교협성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석종수;石鍾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5789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53면 석종수;石鍾洙 경성 일본적십자사병원 제15회 1937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0)
-
사병 / 司兵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군사의 일을 맡아보던 향리의 관사. 983년(성종 2) 주·부·군·현의 이직을 개정할 때 처음으로 기록에 보인다. 사병은 병부를 고친 이름으로, 이같이 지방세력이 성종 이전에 중앙관아의 관명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지방에서 독립적 세력을
-
구덕산 / 九德山 [지리/자연지리]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과 사하구 당리동 및 사상구 학장동에 걸쳐 있는 산. 높이는 565m이다. 구덕산은 태백산맥의 지맥인 금정산맥의 남쪽 부분에 속한다. 금정산맥은 북쪽으로부터 금정산(金井山, 802m)·상학봉(上鶴峰, 638m)·백양산(白楊山, 642m)·구덕산
-
해방영통제사병사안 부통어사 / 海防營統制使兵使案 付統禦使 [정치·법제]
해방영의 총관과 통제사, 각 지역 병사, 그리고 통어사를 수록한 명단. 절첩 형식이고, '총관'에 대해서만 주색첨지로 표기하였다. 해방영의 책임자는 총관이다. 따라서 문서는 1884년 이후부터 1888년 이전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도방 / 都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무신정권의 사병집단이며 숙위기관. 경대승이 1179년(명종 9) 정중부 일파를 살해하자, 일부 무신들은 적의를 품게 되었다. 이에 경대승은 신변에 큰 위협을 느끼게 되어 스스로를 보호할 목적으로 결사대 100여 명을 자기 집에 머무르게 하고 그 이름을 도방
-
상사회답곡 / 相思回答曲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2음보 1구로 헤아려 모두 72구이며, 4·4조와 3·4조가 주조를 이루고 있다. 어렸을 적부터 함께 자라 출가한 여성을 연모하여 상사병에 걸린 남성의 편지에 회답하는 노래이다. 내용은 여자의 몸으로 불갱이부(不更二夫)를 철석같이 믿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