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방불신앙”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6)
- 사방불신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 신라인의 불국토신앙의 유형 가운데 하나인 사방불신앙은 신라인들이 경전에 충실하면서도 자신들만의 독특한 면을 개발하였음을 입증해주는 것이다. 보물 제200호. 경주 굴불사...
- 약사여래본원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널리 유통되었고, 석가모니불‧아미타불‧미륵불과 함께 약사여래는 우리 나라 4대 신봉불의 하나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아울러 사방불신앙(四方佛信仰)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이 경은 고려시대 이후에도 신봉되었으나 연구는 활발하지 못하였으며, 오히려 기복 쪽...
- 경주남산칠불암마애석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 신라인의 불국토신앙의 유형 가운데 하나인 사방불신앙은 신라인들이 경전에 충실하면서도 자신들만의 독특한 면을 개발하였음을 입증해주는 것이다. 보물 제200호. ...이칭별칭칠불암마애석불 | 연계항목경주남산칠불암마애석불(慶州南山七佛庵磨崖石佛)
- 약사신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현현을 목적으로 하는 특징을 지닌다. 우리 민족은 약사여래가 있는 동방을 동국(東國), 곧 우리 나라로 수용하였다. 그리고 약사신앙은 사방불신앙으로 발전하였고, 방위신앙(方位信仰)과의 밀접한 관련하에서 독특한 전형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약사신앙은 대중적 경향...
- 불국토사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나 사방위(四方位)에 불보살을 배림하는 것은 역시 그곳에 위치하는 불보살에 대한 강한 믿음이 뒷받침될 때 가능한 일이다. 이것은 사방불신앙을 통해서 더욱 보편화된다. 신라인들에게는 오악(五岳)‧삼산(三山)에 관한 고유한 신앙흔적이 있었다. 그것이 불국토사상의 대두와 함...
주제어사전(1)
-
사방불신앙 / 四方佛信仰 [종교·철학/불교]
불교 신앙 형태의 하나. 동서남북의 사방위에 각각의 부처를 배당하고 신봉하는 신앙이다. 주로 신라에서 성행하여 신라의 유물, 유적에 상당수의 사방불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유사>에 나오는 <사불산>에 관한 언급이 사방불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현존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