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미인곡” 에 대한 검색결과 1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8)

사전(5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그 남편을 생이별하고 연모하는 마음에 기탁하여, 자신의 충절과 연군의 정을 고백한 작품이 <>이다. 고신연주(孤臣戀主)의 지극한 정을 유려한 필치로 묘사하였다. 구성은 서사(緖詞)‧춘원(春怨)‧하원(夏怨)‧추원(秋怨)‧동원(冬怨)‧결사(結詞) 등의 6...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588년 정철(鄭澈, 1536-1593)이 지은 가사.
    정의1588년 정철(鄭澈, 1536-1593)이 지은 가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amiin-gok | MR표기Samiin’go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의의와 평가] 정철(鄭澈)의 「()」처럼 남편을 이별하고 그리워하는 아내의 심정에 의탁하여 썼다. 다만 ‘근기압송(近畿押送)’ ‘왕서기개지(王庶幾改之)’ 등에서 살필 수 있듯이, 「」과는 달리 임의 정체를 분명하게 하고 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숙종 때 김춘택(金春澤)이 지은 가사. [내용] 조선 숙종 때 김춘택(金春澤)이 지은 가사. 지은 시기는 작자의 문집인 ≪북헌집 北軒集≫ 권4 논시문(論詩文)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내가 제주에 와 우리말로 <별>을 지...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숙종 때 김춘택(金春澤, 1670-1717)이 지은 가사.
    정의조선 숙종 때 김춘택(金春澤, 1670-1717)이 지은 가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Byeol samiin-gok | MR표기Pyŏl samiin’go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50)

  • 00384 잡가 증보신구잡가 12008 1915 노익형 한성서관 노익형 방성식 三十錢 [30] 평의 허랑야 시쥬를 일삼더니 호화에 을 두고 풍월에 버지 되야 일이 무졍니 셰월이 허셰라 졀 가인을 오에 구더...
    구분잡가 | 편저자노익형
  • 04415 잡가 가집 16002 1934년 이후 이왕직 아악부 필사본 [3] 이몸 삼기실졔 님을조차 삼기시니  緣分이며 모 일이런가 나나 졈어잇고 님나 날괴시니 이음 이랑 견졸 노여업다 平生애 願요 네쟈...
    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 아악부
  • 04452 잡가 가집 16002 1934년 이후 이왕직 아악부 필사본 [40] 平生에 虛浪하야 詩酒를 일삼드니 豪華에 뜻을 두고 風月노 벗이 되야 白日이 無情하니 歲月이 깊었셰라 絶代佳人을 寤寐에 求하드니 城東 一美人을 偶然이
    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 아악부
  • 03232 잡가 增補新舊時行雜歌 12051 [15] 평의 허랑야 시쥬를 일삼더니 호화에 을 두고 풍월에 버지 되야 일이 무졍니 셰월이 깁혓셰라 졀가인을 오에 구더니 셩동일미인을 우연히 만나보니 쳥산미셰류요 도를 엿 듯
    구분잡가
  • 03447 잡가 소견세려 13013 [7] 平生의 허랑여 詩酒를 일삼더니 景華의 깃슬 듸려 風月의 버지 되여 白日이 無情여 歲月이 깁퍼셔라 靑雲이 可惜이라 行樂의 지 업셔 窈窕佳人을 寤寐의 求더니 城東 一美人을 偶然이 만나보니...
    구분잡가

기초학문(2)

  • 〈속〉에 나타난 유배 체험과 연군 의식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남정희, 게재일 : 2014
    55472 남정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연구학회 2014 〈속〉에 나타난 유배 체험과 연군 의식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의 공연예술적 변용과 그 의미-고전시가의 현대적 변용과 관련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인숙, 게재일 : 2006
    21505 정인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교육학회 2006 〈〉의 공연예술적 변용과 그 의미-고전시가의 현대적 변용과 관련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
    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1)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6)

  • / [문학/고전시가]

    , 자신의 충절과 연군의 정을 고백한 작품이 <>이다. 고신연주(孤臣戀主)의 지극한 정을 유려한 필치로 묘사하였다.

  • / 別 [문학/고전시가]

    조선 숙종 때 김춘택(金春澤)이 지은 가사. 지은 시기는 작자의 문집인 『북헌집 北軒集』 권4 논시문(論詩文)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내가 제주에 와 우리말로 「별」을 지으니, 이는 정철(鄭澈)의 양미인곡(兩美人曲)에 추화(追和)한 것이다…….”라는 논시

  • / 續 [문학/고전시가]

    조선 영조 때 이진유(李眞儒)가 지은 가사. 한글필사본.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376구이다. 음수율은 3·4조, 4·4조가 주조를 이루며, 2·3조, 3·5조, 4·3조 등도 보인다. 내용은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누어진다. 조정의 고관을 지낸 작자가 청나라에 사

  • 배와첩 / 坯窩帖 [언론·출판]

    저자 김상숙(1737-1805). 필사본. <배와첩>은 총 10면으로 구성된 첩이다. 서의 첫머리에는 <>이란 제목아래 서문에 해당하는 글이 두 줄 내려서 쓰여 있고, 작품 원문이 실려 있다. 이어 <속>의 한역 원문이 있고 끝에는 이 두 편에 대한

  • 속미인곡 / 續美人曲 [문학/고전시가]

    松江歌辭』라는 판본에 수록되어 있다. 『송강가사』에는 이외에도 「관동별곡 關東別曲」·「 」·「성산별곡 星山別曲」 등의 가사와 아울러 그의 시조작품 여러 편이 함께 실려 있다. 「속미인곡」은 「」과 더불어 뒷날 연군(戀君)의 정서를 읊은 여러 가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