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맹” 에 대한 검색결과 4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15)

사전(15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2) 1월의 관제개혁 때 정8품의 으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이 당시에는 16인이 정원이었으나 후기에 와서 오위의 기능이 유명무실화하면서 1인이 줄어 정원이 15인으로 되었다. 이들은 모두 직무가 없는 무장에게 녹봉을 주기 위한 원록체아(原祿...
    이칭별칭승의부위(承義副尉)|산원(散員)|부사정(副司正)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사정(副司正) 산원(散員), 오위(五衛), 원록체아(原祿遞兒)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윤훈표 1466년(세조 12) 오위(五衛) 정팔품 ...
    동의어부사정(副司正) | 관련어산원(散員), 오위(五衛), 원록체아(原祿遞兒)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君)에 추봉되었다. 시호는 문의(文懿)이다. 明宗實錄 宣祖實錄 海東名臣傳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擇堂集 西坰集 구 영정 153...
    이칭별칭 경시(景時)| 팔곡(八谷)| 문의(文懿)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오위(五衛)의 종8품 관직. [내용] 관계상(官階上)으로는 수의부위(修義副尉)라 별칭하였으며, 초기에는 섭부사정(攝副司正)이라 하였다. 1466년(세조 12) 1월의 관제개혁 때 종8품 부으로 개정되어 『경국대전』에 법제화되...
    이칭별칭수의부위(修義副尉)|섭부사정(攝副司正)
  • 학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전국시대의 유가(儒家) 학파 중 자사(子思, ?-?)와 맹자(孟子, 기원전 372-289)를 아울러 이르는 말.
    정의중국 전국시대의 유가(儒家) 학파 중 자사(子思, ?-?)와 맹자(孟子, 기원전 372-289)를 아울러 이르는 말.[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Sa-Maeng Hakpa | MR표기Sa-Maeng Hakp’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258)

  • 經史門6_曾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孔門諸子, 惟曾子之傳, 最得其宗, 故得子思、孟子, 斯文賴而不墜. 如所謂“可以託六尺之孤, 臨大節而不可奪”、“士不可以不弘毅”之類, 落脚下手, 有壁立萬仞氣像. 又如“彼以其富, 我以吾仁; 彼以其貴, 我以吾義, 吾何畏彼”者, 至孟子, 演爲說“大人”一章, 此便是這話也.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三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成安義를 折衝將軍行忠武衛副에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0572 0282_01 成安義를 折衝將軍行忠武衛副에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旨, 成安義 한자 고문서 GS075.JPG 成安義를 折衝將軍行忠武衛副에 임명하는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成安義를 折衝將軍行忠武衛副에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0573 0283_01 成安義를 折衝將軍行忠武衛副에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旨, 成安義 한자 고문서 GS076.JPG 成安義를 折衝將軍行忠武衛副에 임명하는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朴震英을 折衝將軍 行義興衛 副에 임명하는 敎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192 1186_01 朴震英을 折衝將軍 行義興衛 副에 임명하는 敎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진영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MP037.JPG 朴震英을 折衝將軍 行義興衛 副에 임명하는 敎...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국립 진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朴震英을 折衝將軍 行義興衛 副에 임명하는 敎旨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193 1186_02 朴震英을 折衝將軍 行義興衛 副에 임명하는 敎旨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진영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MP037.hwp 敎旨 朴震英爲折 衝將軍行義 興衛副 者 天啓...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국립 진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신문·잡지(3)

  • 출판경찰보 109호 대중호성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109호 대중호성 대중호성(大衆呼聲) 맥파(麥波) 미기재 지나(支那) 일본_1937년 9월 1일 금지 안녕 중국어 대중호성 본서는 전반적으로 배일, 항일의식을 선동...
    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09호 대중호성 | 출판물명대중호성(大衆呼聲)
  • 해외문학_1927_창간호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모리.스마.렐링크, 이하윤 역 150 哀變歌 알베-르., 노재비 역 153 疑念 폴.제랄듸 156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7
  • 성명한 후 로동자들이 급속히 일에 착수할□을 요구하였다. 로동자들의 파업은 남조선의 농민들자의에서 광범한 □□을 얻게 되었다. 농민□은 총동맹파업을 계기로 하여 성명서를 발표하였는데 그 성명서에는 ―1□도 로동자들의 요구는 로력자들의 생활을 보장하며 조선민주화의...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6_1016_04(날짜추정)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주제어사전(10)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정8품 관직. 고려 말과 조선 초에는 산원(정8품)이라 불리다가 1394년(태조 3) 2월에 부사정으로 개칭되고, 1466년(세조 12) 1월의 관제개혁 때 정8품의 으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이 당시에는 16인이 정원이었으나 후

  • / 副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종8품 관직. 초기에는 섭부사정(攝副司正)이라 하였다. 1466년(세조 12) 1월의 관제개혁 때 종8품 부으로 개정되어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오위의 기능이 정상적이었던 ≪경국대전≫ 당시에는 483인이었으나 후기에 오위체제가 무너지면서 ≪

  • 장릉배알전교 / 長陵拜謁傳敎 [정치·법제]

    1797년(정조 21) 8월 15일. 정조가 장릉에 배알하고, 원종의 국구인 능안부원군 구과 서원부부인과 관련된 후손, 능수호인, 주변 백성, 명세 등을 지시한 전교. 내용은 정조가 1734년(영조 10)에 영조와 함께 장릉을 행행하고 돌아오는 길에 인근의 백성에

  • 구용 / 具容 [종교·철학/유학]

    1569(선조 2)∼1601(선조 34).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좌찬성을 지내고 능안부원군에 추봉된 구, 어머니는 평산신씨 증영의정 화국의 딸이다. 사승관계는 미상이다. 1590년 생원시에 합격, 1598년 김화현감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죽창유고』2

  • 구인후 / 具仁垕 [종교·철학/유학]

    1578(선조 11)∼1658(효종 9). 조선 중기의 무신. 증조는 능성군 구순, 할아버지는 좌찬성 구, 아버지는 대사성 구성, 어머니는 별좌 정억령의 딸이다. 뒤에 구홍에게 입양되었다. 인조의 외종형이다. 김장생의 문인이다. 선전관, 고원군수, 갑산부사, 비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