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만” 에 대한 검색결과 6,66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628)

사전(68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않는 이상 일정한 기간 동안 관직(실직ㆍ산직포함)에 근무하지 않으면 품계가 올라갈 수 없었다. 따라서 모든 관리들은 일정한 근무일수를 채워야 한 품계를 올려받을 수 있었는데, 이를 순자법(循資法)이라 하였다. 정직(正職)인 사람이 한 품계를 올려받기 위한 일...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임기를 다 채움. 滿旣報 卽當節次陞付 而聞次第當在第四云 恐尙費時月耳, 이가환(李家煥), 44-97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滿 고만(考滿), 개만(箇滿), 시정인천전법(侍丁人遷轉法), 오고삼상(五考三上), 삼고이상(三考二上) 정치인사/관리 개념용어 조선 조선 최이돈 [정의] 관료가 관직의 일정 임...
    관련어고만(考滿), 개만(箇滿), 시정인천전법(侍丁人遷轉法), 오고삼상(五考三上), 삼고이상(三考二上)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記俗)‧동영(東詠)으로 나뉘어 있다. 애초 이 사행은 일본의 배후 조종에 의하여 시도되었다가 실패한 갑신정변에 따른 중요문제를 담판하기 위하여 계획되었으나, 출발하기도 전에 조‧일간에 한성조약(漢城條約)이 체결되었으므로 이 사행은 양국간의 정치적 의미보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좌시중(左侍中) 복흥(復興)의 아버지이다. [생애] 성품이 소박하였으나 명덕태후(明德太后 : 충숙왕의 비)의 조카딸에게 장가들어 궁중에 자주 드나들며 왕과 가까...

고서·고문서(2,019)

  • 大芚日菴上樑文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40_1570 大芚日菴上樑文 정약용(丁若鏞) 雜著類|上樑文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上樑文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詩文門3_白人詩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人詩 己丑之獄, 鄭相 彦信, 廷杖安置甲山, 其子慄不食歐歐: 규장각본에는 ‘嘔’로 되어 있다. 血死, 時株連波及, 人皆懔懔, 家人葬不敢以禮. 李白沙 恒福, 時爲問郞, 知其冤, 方閉棺時, 密以挽詩一紙納於棺中, 家人不覺也. 及子長, 遷厝啓棺, 則歲已三紀, 而紙墨宛然...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三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1746년 신(申)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헌만()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漢陳平謝黃金斤不問其出入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30_0570 漢陳平謝黃金斤不問其出入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55)

  • 적 개성이 들어난다. * 분덕마을에서는 논맬 때 상 불렀다.
    녹음지역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화산리 분덕마을 | 녹음날짜2004.9.8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하늘의 구멍을 막은 여와 돌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제보자는 〈세상을 창조한 반고와 인간을 만든 여와〉 이야기에 이어서 여와와 관련된 돌 이야기를 구연하였다. 제보자는 학창시절에 사실적 역 배워서 설화가 잘 기억나지 않는다고 설명하였다. 제보자를 소개한 송영림 선생님과 제보자의 부친 윤가사 제보자가 이야기판에 청자로
    국가중국 | 제보자윤군 [중국, 여, 1981년생, 결혼이주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민담 견우는 원래 이게 뭐지, 농 짓는 사람이었잖아요. 이렇게 농 짓고 그 뭐지? 성실하고 착하고 이렇게 부지런하고 이런 사람인데 결혼하지는 못한 거예요. 근데 하늘에서 어떤 선녀가 이 남자한테 이렇게 반해가지고 이렇게 인간으로 이렇게 내려 와가지고 결혼하고
    국가중국 | 제보자반소홍 [중국, 여, 1977년생, 결혼이주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한장군놀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동, 진량면 장원동에 있었으나 ‘한장군놀이’는 서림숲에서만 하였다. 송림동에서는 하지 않았다. 북사동은 제사를 지내지 않았다. 마곡동은 제 하였다. 즉, 서림숲에서는 굿, 제사, 놀이가 모두 어우러졌다. 6. 참여 구성원: 여자중학교에서 참여하기 시작한 것은 1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연희음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호기
  • 한장군놀이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동, 진량면 장원동에 있었으나 ‘한장군놀이’는 서림숲에서만 하였다. 송림동에서는 하지 않았다. 북사동은 제사를 지내지 않았다. 마곡동은 제 하였다. 즉, 서림숲에서는 굿, 제사, 놀이가 모두 어우러졌다. 6. 참여 구성원: 여자중학교에서 참여하기 시작한 것은 1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연희음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재규

기초학문(8)

  • 아랍 시화와 한국 시화 비교 연구 -중동 상황에 관한 시화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재희, 게재일 : 2013
    46846 김재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13 아랍 시화와 한국 시화 비교 연구 -중동 상황에 관한 시화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이스라엘의 홀로코스트 기억과 역들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호근, 게재일 : 2004
    32182 최호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문제연구소 2004 이스라엘의 홀로코스트 기억과 역들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화를 활용한 아랍어와 아랍문화 교육 방안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재희, 게재일 : 2014
    52990 김재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문과학연구소 2014 시화를 활용한 아랍어와 아랍문화 교육 방안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화에 나타난 이미지 은유의 양상과 의미 특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종열, 게재일 : 2005
    37235 이종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학회 2005 시화에 나타난 이미지 은유의 양상과 의미 특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화를 활용한 아랍어와 아랍문화 교육 방안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4
    70876 한국연구재단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시화를 활용한 아랍어와 아랍문화 교육 방안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3,799)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공간에 뎨일긴요고 업지못거시 무엇이라 소 셩인의말삼이 신이업스면 셔지못다 셧스니 아마도 신이쳣될듯오 그러면 우리졍부에 신이잇다 소 업다소 달은일 말말고 머리일노 말합셰다 머리누가 그라 얏소 칙령으로 군인은 일체단발라 얏지오 그러면 군...
    게재일1904년 11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근일물가 고등거니와 신한키리 맛면 량이 더간다오 그곡졀이 웬일이오 우피한쟝에 쳔량리가 잇삽다 어셔 우피 도고난 긔젼인에 도고말나고 등소즉 당샹말삼이 우피갑 고등것 말을말고 가죡을 열겹식이라도 너의조로 니러셔써스면 닷창가지니 잠말말고 물너가라 ...
    게재일1904년 11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밋지마오 밋지마오 샹네들 밋지마오 잠영대가 교목졔신 옥관 금관에 도리옥을 붓친 상 드나나나 위의동 졈잔키도 한량업고 호시령 무셥지만 위보면 야만일 고루거각 됴흔집을 의인에게 뎐당고 아조 쳐맛겻스니 샹톄면 아조업고 도리옥 일품상 쳐디도 됴커니와 가셰도...
    게재일1904년 11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외교관을 단발라 얏스니 그일은 시되오 한셩부 례식원에 단발관인 잇단말 듯지못얏소 그러면 례식원 한셩부에난 관원이업셔 그러가보오 외부에난 엇지얏소 대신 협판 쥬 몃분만 단발이라 데다 그러면 근일 시졍션에 용관되여 관원이 그인가보오 이셰상일이 엇지...
    게재일1904년 11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각부부원쳥에 젹구근으로 원을식히 지금지 참여못마울에도 더러잇거니와 졍부대관즁 웃리에 즈신 언으대감이 언으마울 당샹에계 편지며 이번에난 아모로 △라 엿스니 그런경위 어잇소 젹구근 공쳔라법을제 뉘손으로 얏관데 아모로 쳔라니 되지도 못고 ...
    게재일1904년 11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60)

  • (수필) 조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수필) 조세! (수필) 조세! (隨筆) 釣세!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완선 | 사료철명수도교육
  • (해외연수) 교육은 교의 책임인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해외연수) 교육은 교의 책임인가? (해외연수) 교육은 교의 책임인가?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안상대 | 사료철명강원교육
  • 스스로 성장하는 교이 학생을 서장시킬 수 있다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스스로 성장하는 교이 학생을 서장시킬 수 있다 스스로 성장하는 교이 학생을 서장시킬 수 있다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교육행정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윤병혁 | 사료철명충남교단
  • (긴급 진단 교직 사회의 자기 혁신) 대학 부패, 감으로는 안 된다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긴급 진단 교직 사회의 자기 혁신) 대학 부패, 감으로는 안 된다 (긴급 진단 교직 사회의 자기 혁신) 대학 부패, 감으로는 안 된다 교육 문헌 고등교육
    범주1고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유혁 | 사료철명교육월보
  • 4. Change #1 circular No. 33 : Provost court prisoners : 기록자료 / Thomas W. Herren Brigadier General GSC Chief of Staff, 1946.09.09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처분에 대한 내용으로 대체됨. 군사 재판소 판은 형을 선고할 때 집행 유예를 선고할 권한이 있음. 선고 이후에는 주한미군사령부의 사령관만이 집행 유예 혹은 관대한 처분을 내릴 권한이 있음. 재소자의 집행 유예 혹은 관대한 처분을 요청할 때 필요한 절차 설명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Thomas W. Herren Brigadier General, GSC Chief of Staff | 수신자Each provost Court, Each Provincial Governor, USAKGIK, JA, Hq XXIV Corps

연구과제(3)

주제어사전(38)

  • / 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필요한 근무일수가 되어야 자품이 올라가는 제도. ‘원사’는 정규근무, ‘별사’는 특별근무를 의미하여 일정한 일수를 더해준다. ‘별사’가 주어지는 경우 ‘원사’의 일수와 ‘별사’의 일수를 합하여 근무일수가 계산된다. 조선시대의 관직제도에서 산관은 국왕의 특별한

  • 거관법 / 去官法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한 직종에 주어진 한품과 근무연한을 마치고 다른 직종으로 옮기는 법제. 거관한 뒤에도 그 직종에 계속 근무하기를 원하는 사람에게는 일수를 늘려 일정한 한품에 이를 때까지 계속 근무할 수 있게 하기도 하였다.

  • 가계 / 加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에 품계를 올려주는 절차. 동·서반 7품 이하는 (滿) 450일, 6품 이상은 900일에 가계하도록 규정되었지만, 병전 번차도목조에 오른 것들은 선전관을 제외하고는 정직의 경우와 달리 각기 다른 가계의 규정을 지닌다.

  • 정병 / 正兵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군사 제도의 기간을 이루었던 일반 양인 농민 출신의 병종. ≪경국대전≫에는 갑사와 더불어 궁성문 파수의 임무를 맡았다. 그러나 그 번상 근무가 규식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정병은 거관해서 종5품의 영직을 받도록 되어 있었다. 64일이되면

  • 좌시직 / 左侍直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8품 관직. 우시직(右侍直) 1인과 함께 있었다. 왕세자를 배호하면서 (滿) 2년 뒤에 참상이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처음에는 삭수가 없어서 폐단이 되자, 이에 1년을 지낸 뒤 부수(副率)가 되도록 하고, 다시 1년 뒤에 비로소 승륙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