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례편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2)
사전(151)
- 사례편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학맥을 이어오면서도 그 나름의 학통을 수립한 대학자로서, 성리학과 예학에서 유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옥당(玉堂:弘文館의 다른 이름)의 영수격으로 지체 또한 높았다. 당색은 노론(老論)이었으나 학풍에서는 당색을 초월하기도 하였다. 이 ≪사례편람≫은 그의 예학에 관한...
- 사례편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정치가였던 이재가 편술한 관혼상제의 사례(四禮)에 관한 종합적인 참고서정의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정치가였던 이재가 편술한 관혼상제의 사례(四禮)에 관한 종합적인 참고서 | 문광부표기Sarye pyeollam | MR표기Sarye p’yŏll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사례편람(四禮便覽)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사례편람 사례편람 四禮便覽 예학서 한문 한국 조선 헌종 성낙수 박종국 2015 이재 1844 8권 4책 국립중앙도서관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ㆍ...
- 증보사례편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황필수(黃泌秀)가 이재(李縡)의 『사례편람』을 증보한 예서(禮書). [내용] 8권 4책. 목판본. 1900년 지송욱(池松旭)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두에 황필수의 서문과 권말에 조인영(趙寅永)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 사례절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이재(李縡)의 『사례편람(四禮便覽)』을 축소시킨 예서(禮書). [내용] 편자불명. 1권 1책. 사본. 사례절요(四禮節要)라고도 한다. 관혼상제례에 대하여는 『사례편람』을 초록하면서 개장례(改葬禮)를 붙이고 있으며, 우리나라 여러이칭별칭사례절요(四禮節要)
고서·고문서(11)
- 사례편람(四禮便覽)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경전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사례편람(四禮便覽)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사례편람(四禮便覽)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증보사례편람(增補四禮便覽)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경전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왕공가구복규정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이 자료는 왕공가 상복규정과 조선상복의 유서(由緖), 상복의 제식 등에 대해 정리한 것으로 총 11매로 구성되어 있다.분류국제 및 왕실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주제어사전(11)
-
사례편람 / 四禮便覽 [종교·철학/유학]
조선 숙종 때 유학자 이재가 편저한 예서. <주자가례>를 중심으로 변례를 첨가하였다. 8권 4책으로 되어 있다. 목차는 크게 권1은 관례, 권2는 혼례, 권3은 상례, 권4는 제례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는 각 개인이 자신의 물력에 맞게 이 예전의 정칙을 시행할 것을 강
-
사례절략 / 四禮節略 [사회/가족]
이재(李縡)의 『사례편람(四禮便覽)』을 축소시킨 예서(禮書). 관혼상제례에 대하여는 『사례편람』을 초록하면서 개장례(改葬禮)를 붙이고 있으며, 우리나라 여러 학자들의 예설을 덧붙이기도 하였다. 엮은이가 불확실하지만 『사례편람』의 일상행용을 위한 간단한 초록으로 보면
-
개토제 / 開土祭 [종교·철학/민간신앙]
집터를 닦거나 묘자리를 팔 때 그 토지의 수호신인 산신이나 토지신에게 지내는 건축의례. 땅을 다루고자 할 때 먼저 그 주인이 되는 수호신의 허가를 받고자 예를 올리는 것으로 유교제례에서 의례화된 것으로 보인다.『사례편람 四禮便覽』의 상례조에서는 묘의 영역(瑩域) 공사
-
묘제 / 墓祭 [사회/가족]
묘에서 지내는 제사. 주자의 『가례(家禮)』에 의하면, 4대 조상까지는 3월 상순에 날짜를 택하여 묘제를 지내고, 그 윗대의 조상은 10월 1일에 올리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재(李縡)의 『사례편람(四禮便覽)』에 의하면, 이 묘제는 오래된 것이 아니라 주희가 한번
-
사례집의 / 四禮集儀 [사회/가족]
(李縡)의 『사례편람(四禮便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