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례” 에 대한 검색결과 11,0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786)

사전(3,11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정하여 특별히 라고 한 것은 중국으로부터 전래한 유교적 원리에 바탕을 둔 예법과 조선시대의 통치이념이 이 네 가지의 의례에 더욱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 결과이다. 중국이나 우리 나라에서 가장 모범적인 예서(禮書)로 다루는 주희(朱熹)의 ≪가례 家禮≫ 서문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라시대의 관직. [내용] 국가의 영선(營繕)에 관계된 사무를 맡은 예작부(例作府)의 네 번째 관직이다. 본디 이름은 ‘사지(舍知)’였는데, 759년(경덕왕 18) 정월에 모든 관청과 관직의 이름을 중국식으로 바꿀 때에 로 고쳐졌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라시대의 관직. [내용] 교육과 외교 및 국가의 의례(儀禮) 따위를 맡은 예부(禮部)의 네 번째 관직이다. 본디 이름은 ‘사지(舍知)’였는데, 759년(경덕왕 18) 정월에 모든 관청과 관직의 이름을 중국식으로 바꿀 때에 로 고쳐졌...
    이칭별칭사지(舍知)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유교적 원리에 바탕을 둔 관례‧혼례‧상례‧제례 등의 네 가지 의례
    정의유교적 원리에 바탕을 둔 관례‧혼례‧상례‧제례 등의 네 가지 의례 | 문광부표기sarye | MR표기sar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E2_D_0207 관직 官號, 禮部舍知 景德王 羅史 D_10_02_02 대동운부군옥 10권 2장 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2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8)

  • 조선후기 통제영의 책들과 세병관의 기문들 [부산, 동부경남지역 고문서 자료의 수집, 정리와 <고문서 연구총서>의 출간 | 동아대학교]
    저자 : 이훈상(동아대학교 사학과 교수)... | 출판사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한국학연구소 | 출판일 : 2014.02.28
    분야생활 | 유형단행본
    발간사 Ⅰ. 조선후기 통제영의 책들과 세병관의 기문들 Ⅱ. 고문서 원문
  • 중국 조선족기업의 발전과 새로운 이주 [재중한인디아스포라:재중한인디아스포라의 재구성과 발전적 통합 | 동덕여자대학교]
    저자 : 백권호,문철주 ... | 출판사 : 한국학술정보(주) | 출판일 : 20181130
    유형단행본
    본 연구는 동북 3성 지역에 거주하는 조선족을 포함하여 베이징, 톈진. 칭다오, 상하이 광저우⋅선전 등 연해 대도시로 새롭게 이주하여 정착한 조선족사회를 그들이 이룩한 창업과 기업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들이 현지에 새롭게 이주하여 정착한 시기 및 경위, ...
  • 〈영화〉 ; 오도일의 연행별장 [한국고문서 기초연구 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김학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국학자료연구실 실장), 정순우(한국학중앙연구원 교육학과 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1.02.25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해제 1《詠畵》; 吳道一의 燕行別章 해제 2《詠畵》의 글씨와 代筆 수록 시문 목록 《詠畵》第1帖 《詠畵》第2帖 《詠畵》第3帖
  • 영조 비빈 자료집 1-의궤, 등록, 기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정해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1.02.28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御製表義錄》 《綏慶園新》 《綏慶園誌錄》 영조 비빈 관련 자료의 내용과 특징 영조 비빈의 역할과 정치적 의미 육상궁, 선희궁, 경우궁의 조성과 궁방전
  • 캄보디아 빠나쌋뜨라 대학교 한국학 교육과정 [캄보디아 빠나쌋뜨라대학 한국학 교육프로그램 개발사업 | 신라대학교]
    저자 : 강경태(신라대학교 해외한국학센터 센터장), 정쾌영(신라대학교 법경찰학부 교수)... | 출판사 : 세종출판사 | 출판일 : 2012.04.27
    유형단행본
    제1장.서론 (1)연구목적 (2)연구방법 제2장.주요 외국대학의 (1)미국 (2)일본 (3)중국 (4)소결

논문(33)

고서·고문서(2,952)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680 周易四箋 卷四 ITKC_MP_0597A_0680_040_0040 祭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周易四箋 卷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죽수(竹樹)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1869년 이후 간행된 전라도 능주목의 재정운영을 보여주는 책이다. 죽수는 능주(綾州)의 옛 이름이다. 능주목은 지금의 화순군 능주면, 도곡면, 도암면, 이양면, 청풍면, 춘양면, 한천면을 포함하는 넓은 지역이었다. 능주는 백제 때는 이릉부리군(爾陵夫里郡)...
    내용분류사회-지리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경전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경전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구술자료(32)

  • 양승희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등록 문제, 공연 , 명예박사 수상 좋아하는 음악, 건강관리, 남편의 헌신, 아들의 근황 신학대 장학금 조성, 6.25 전쟁 경험, IMF 극복, 건국60주년 의미 일본 공연 경험, 감창조의 업적
    분야사회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건국 60년
  • 여.mp3 * 1969년에야 거제시로 이주하였으므로 통영시 인평동의 임.
    녹음지역경상남도 통영시 인평동 / (거제시 거제면 남동리) | 녹음날짜1989.4.13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 디여.mp3 * 1969년에야 거제시로 이주하였으므로 통영시 인평동의 임. * 모심을 때도, 논맬 때도 상사디여를 불렀다. * [통영 8]처럼 받음구 처음에 군말이 붙은 상사디여 보다는 붙지않은 겅우가 경남지방 논매기소리의 개성을 더 높인다.
    녹음지역경상남도 통영시 인평동 / (거제시 거제면 남동리) | 녹음날짜1989.4.13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 전라도 영암 삼우씻김굿_길닦음-무가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
    . 보통 굿을 짧게 마무리 지을 때 길닦음에 뒷전 성격의 노래가 붙는 가 있다. 길닦음에서 노래되는 에라만수는 길닦음의 베를 걷는 장면에서 부르므로 베걷기 악곡으로 볼 수 있다. 잡귀맥이는 굿에 온 여러 잡귀를 먹여 보내는 마지막 절차의 악곡이
    분야무가 | 지역전라도
  • 전라도 영암 삼우씻김굿_개관-무구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
    본 의례에 사용하는 무구에는 의례를 주재하는 무당이 소지하는 것과 준비되는 것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호남지역 세습무가 기본적으로 소지하는 무구는 정주와 대신 칼 정도로 그 숫자가 많지 않다. 본 에서 무녀가 소지하는 무구는 정주가 유일하였고, 대신칼이 사용될 거리
    분야무구 | 지역전라도

기초학문(2,047)

  • 관료병과 치유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종수, 게재일 : 2015
    65066 이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5 관료병과 치유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인도 방갈로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염명배, 게재일 : 2003
    08273 염명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03 인도 방갈로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사회문화예술교육 수업 연구 -내적 및 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진영, 게재일 : 2012
    53512 박진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사회문화예술교육 수업 연구 -내적 및 간 분석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정책 연구 다시 보기 -연구에 대한 오해와 편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6
    18954 한국연구재단 한국정책학회 2006 정책 연구 다시 보기 -연구에 대한 오해와 편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관광 지속가능성 측정 : 제주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재호, 게재일 : 2004
    07449 송재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관광경영학회 2004 관광 지속가능성 측정 : 제주도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
    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375)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각디방 군슈 판소 판 례겸기로 결뎡이되야 법부대신 이상 쥬하다더라
    게재일1906년 1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米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미국공 련씨가 갈니고 그 모간씨가 피임말은 이왕긔 엿거니와 련씨가 본월구일에 귀국지라 부인을 동야 소친각대관을 심방야 작별얏다더라
    게재일1905년 6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이등대난 명일밤에 입셩다난 그대의 두류쳐소난 이왕 박공왕 젼례로 돈덕뎐으로 뎡터인데 그뎐각은 지금슈리난즁이라 범이 합당치못나 슈일면 다 쥰공이되야 그리로 쳐소 뎡리라고 한셩신문에말얏더라
    게재일1905년 11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의원 대학교교 셔양사 볠씨 의슐학문과 인죵학문이 잇기로 유명 사으로 인죵학문 연구기 위야 일젼에 입셩얏 한삼십일 작뎡고 한국디에 유람기로 다더라
    게재일1903년 5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근에 회샤라 려각이라 명목고 셜시것이 폐단만되고로 농상공부에셔 그등의 쳥원은 인허지 아니기로 작뎡엿다 더니 곡회샤니 려각쥬인등 십인을 다시 허가다더라
    게재일1902년 4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393)

  • 시대 예술의 모범 - 이경윤_이징 부자(父子)_3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이다. 1주차. 새 왕조 서화의 복고풍과 안평대군 이용 2주차. 왕조를 대표한 화가,안견 3주차. 시대 예술의 모범 - 이경윤,이징 부자(父子) 4주차. 백대에 남길 글씨, 서예가 한호(韓濩) 5주차. 문제아에서 그림의 신(神)으로불린 화가 김명국(金明國) 6주
    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시대 예술의 모범 - 이경윤_이징 부자(父子)_3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이다. 1주차. 새 왕조 서화의 복고풍과 안평대군 이용 2주차. 왕조를 대표한 화가,안견 3주차. 시대 예술의 모범 - 이경윤,이징 부자(父子) 4주차. 백대에 남길 글씨, 서예가 한호(韓濩) 5주차. 문제아에서 그림의 신(神)으로불린 화가 김명국(金明國) 6주
    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시대 예술의 모범 - 이경윤_이징 부자(父子)_3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이다. 1주차. 새 왕조 서화의 복고풍과 안평대군 이용 2주차. 왕조를 대표한 화가,안견 3주차. 시대 예술의 모범 - 이경윤,이징 부자(父子) 4주차. 백대에 남길 글씨, 서예가 한호(韓濩) 5주차. 문제아에서 그림의 신(神)으로불린 화가 김명국(金明國) 6주
    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시대 예술의 모범 - 이경윤_이징 부자(父子)_3주차_4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이다. 1주차. 새 왕조 서화의 복고풍과 안평대군 이용 2주차. 왕조를 대표한 화가,안견 3주차. 시대 예술의 모범 - 이경윤,이징 부자(父子) 4주차. 백대에 남길 글씨, 서예가 한호(韓濩) 5주차. 문제아에서 그림의 신(神)으로불린 화가 김명국(金明國) 6주
    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시대 예술의 모범 - 이경윤_이징 부자(父子)_3주차_5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이다. 1주차. 새 왕조 서화의 복고풍과 안평대군 이용 2주차. 왕조를 대표한 화가,안견 3주차. 시대 예술의 모범 - 이경윤,이징 부자(父子) 4주차. 백대에 남길 글씨, 서예가 한호(韓濩) 5주차. 문제아에서 그림의 신(神)으로불린 화가 김명국(金明國) 6주
    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연구결과보고서(3)

기타자료(1,825)

  • 집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집편 집편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 저자 미상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저자 미상 | 사료철명부산교육
  • 향토학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향토학교집 향토학교집 鄕土學校 集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평생교육 지역사회학교
    범주1교육총류 | 형식단행본 | 한글저자문교부
  • 장학시범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장학시범 장학시범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잡지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사료철명강원교육
  • 장학시범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장학시범 장학시범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잡지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사료철명강원교육
  • 발해사가 ()에 참석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발해사가 ()에 참석하다. 교역물품 779년(己未/신라 혜공왕 15/발해 문왕 大興 43/唐 代宗 大曆 14/日本 光仁天皇 寶龜 10) 발해 ...
    대표표제어발해사가 사례(射禮)에 참석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79년(己未/신라 혜공왕 15/발해 문왕 大興 43/唐 代宗 大曆 14/日本 光仁天皇 寶龜 10)

연구과제(106)

주제어사전(142)

  • / [사회/가족]

    그러나 평생의례라는 말의 뜻은 매우 포괄적인 것으로 출생·성년·혼인·환갑·사망·조상숭배뿐만 아니라 질병·취임·은퇴 등 이 세상에 태어나서 죽은 다음까지 겪는 의례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도 관례·혼례·상례·제례만을 한정하여 특별히 라고 한 것은 중국으로부터 전

  • / 大 [종교·철학/유학]

    국가에 행사가 있을 때 임금과 신하가 한자리에 모여서 활을 쏘아 그 예의 도수[禮數]를 살피는 의례. 에는 대와 향(鄕)의 두 가지가 있다. 주관하는 곳에 따라 임금이 주관하면 대, 대부나 지방관이 주관하면 향라 하였다. 향사와 대사는 중국에서는

  • 고증 / 考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안진석이 를 고증한 편서. 1933년 안진석의 7대손 안재극 등이 보완하여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소락의 서문과 1725년(영조 1) 편자의 형인 호군 안기석이 쓴 서문·인용서목록·범례가 있고, 권말에 권상규와 안재극의 발문이 있다. 5권 2책.

  • 절략 / 節略 [사회/가족]

    이재(李縡)의 『편람(便覽)』을 축소시킨 예서(禮書). 관혼상제례에 대하여는 『편람』을 초록하면서 개장례(改葬禮)를 붙이고 있으며, 우리나라 여러 학자들의 예설을 덧붙이기도 하였다. 엮은이가 불확실하지만 『편람』의 일상행용을 위한 간단한 초록으로 보면

  • 정변 / 正變 [사회/가족]

    조선 후기의 학자 김경유(金景游)가 의 발달과정을 편술한 예서. 14권 7책. 인본(印本). 1836년(헌종 2) 편저자 김경유의 손자인 김형로(金衡魯)가 이를 간행하였으나 그 목판(木板)이 화재로 소각되어 널리 보급되지 못하였다. 그 뒤 김영수(金盈洙)가 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