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도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
사전(11)
- 사도진(蛇渡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사도진 사도진 蛇渡鎭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김경옥 15세기 1895년(고종 32) 흥양현(興陽縣) [정의] 조선시대 전라남도 고흥군 금사리에 설치한 수...
- 풍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고흥군 풍양면이 되었다. 이 지역은 고흥반도의 동남해안을 차지하는 해안분지로 사도진(蛇渡鎭)과 발포진(鉢浦鎭) 사이에 있어 조선시대에는 해안방어에 중요한 몫을 하였다. 북쪽의 율현(栗峴)에는 성으로 둘러싸인 옛 진보(鎭堡)가 있...이칭별칭고흥
- 병마우후(兵馬虞候)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병마우후 병마우후 兵馬虞候 병우후(兵虞候), 아장(亞將) 병마도절제사도진무(兵馬都節制使都鎭撫),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수군(水軍) 우후(虞候)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윤훈표 ...동의어병우후(兵虞候), 아장(亞將) | 관련어병마도절제사도진무(兵馬都節制使都鎭撫),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수군(水軍) 우후(虞候)
- 조영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절제사(義興三軍府中軍同知節制使)를 거쳐 참찬문하부사에 승진하였다. 1400년(정종 2) 도독중외제군사도진무(都督中外諸軍事都鎭撫)로 병권을 장악, 제2차 왕자의 난에도 이방원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 1등에 봉해졌다. 사병 혁파가 실시될 때 이를...이칭별칭 충무(忠武)
- 흥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삼산면지역이 신설되어 돌산군(突山郡)에 이관되고 뒤에 고흥에 편입되었다. 조선시대에 이 지역은 수군의 중요한 방어지역이었다. 해안지방에는 사도진(蛇渡鎭)‧녹도진(鹿島鎭)‧여도진(呂島鎭)‧발포진(鉢浦鎭) 등에 수군만호가 주둔하였으며 이들 지역에는 성곽이 있었다.이칭별칭고이부곡(高伊部曲)|영주
고서·고문서(33)
- 1585년 박광춘(朴光春)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585년(선조18) 7월에 병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권지훈련원봉사효력부위박광춘을 효력부위사도진관마도수군권관으로 임명하는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영암 밀성박씨 박은식
- 1680년 김여석(金汝錫)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680년(숙종6)에 김여석을 어모장군행사도진관녹도수군만호에 임명한다는 내용의 교지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강진 양산김씨 군자서원
- 1600년 최진립(崔震立)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600년(선조33) 최진립(崔震立: 1568~1636)이 진위장군(振威將軍) 행(行) 사도진영(蛇渡鎭營)여도(呂島)수군만호(水軍萬戶)에 임명된 문서이다. 그는 이미 2년 전인 1598년에 정(正) 3품(品)인 어모장군(禦侮將軍)에 오른 바 있는...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 남도포(南桃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3263 B033263 남도포 南桃浦 군사교통 大東地誌 권6 전라도 全羅道號湖南 _ ... 舊爲古群山鎭管古群山鎭管 蝟島群山浦黔毛浦蛇渡鎭管 防踏會寧浦只島鹿島鉢浦臨淄島鎭管 荏子島多慶浦 木浦智島南桃浦加里浦鎭管 古今島薪智島於蘭浦馬島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0987 B020987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大東地誌 권6 전라도 全羅道[號湖南] _ ... 07]黔毛浦蛇渡鎭管 防踏會寧浦只島鹿島鉢浦臨淄島鎭管 荏子島多慶浦木浦智島南桃浦加里浦鎭管 古今島薪智島於蘭浦馬島金甲島梨津출처전거大東地誌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사도진 / 蛇渡鎭 [지리/자연지리]
전라도 흥양현(興陽縣)에 있던 수군의 거진. 『신증동국여지승람』 권 40 흥양현(興陽縣) 관방조(關防條)에 “蛇渡鎭 在縣東四十三里 有左道水軍僉節制使營 所管 會寧浦 達梁 呂島 馬島 鹿島 鉢浦 突山浦”라 하였다.
-
수군우후 / 水軍虞候 [정치·법제/법제·행정]
각 도의 수군절도사를 보좌하는 정4품의 외관직 무관. 수군도안무처치사도진무(水軍都安撫處置使都鎭撫)가 세조(世祖) 12년의 관제개혁 때에 수군우후(水軍虞候)로 개칭되었다. 수군우후(水軍虞候)는 충청도, 전라좌·우도, 경상좌·우도의 5수영(水營)에만 있었으며, 그 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