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도시” 에 대한 검색결과 38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9)

사전(232)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조선 시대 여러 시(寺) 중의 하나로 쌀, 장(醬), 겨자 등을 궁중에 조달하는 일을 담당한 관서. 고려 시대에는 비용사가 이 일을 담당하였고, 이후 조선시대 요물고(料物庫), 공정고(供正庫), 사선서(司膳署), 도관서(導官署) 등이 의 전신이었다. 소속 관원으...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그 뒤 1460년(세조 6) 5월에는 도관서를 혁파하여 사선서(司膳署)에 합하였다가 1467년 4월에 사선서를 사옹원에 합속시키면서 도관서를 다시 설치하였다. 뒤에 로 고쳐 『경국대전』에 법제화하였다. 그 관원으로 제조(提調, 정3품) 1인,...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호조(戶曹), 정삼품(正三品) 아문(衙門) 비용사(備用司), 요물고(料物庫), 공정고(供正庫), 도관서(䆃官署)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고동환 1401년(태종...
    상위어호조(戶曹), 정삼품(正三品) 아문(衙門) | 관련어비용사(備用司), 요물고(料物庫), 공정고(供正庫), 도관서(䆃官署)
  • 니시구치우라(西口浦)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1982 지명 니시구치우라(西口浦) 니시구치우라 西口浦 현재의 야마구치현(山口縣) 구다마쓰시(下松市) 가마(笠戶島)에 있는 서쪽 포구로 추정. 에도시대에는 스오국(周防國)에 속하였다. 1764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유형분류지명
  • 별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하며 특별과목으로는 월도(月刀)‧이화창(梨花槍)‧쌍검(雙劍)이 있었다. 한편, 각도에서는 별무(別武)를 설치하여 뛰어난 출신자는 승급하고, 수위합격자는 바로 전시(殿試)에 응시하게 하였다. 이들에게는 사복시(司僕寺)에서 주는 양마(養馬) 등이 지급...
    이칭별칭수솔마병(隨率馬兵)

고서·고문서(127)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20_009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就龍洞居【五月也。時家君爲主簿,遂復買宅京城,蓋非余志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10 詩集 卷一 ITKC_MP_0597A_0010_020_1630 就龍洞居【五月也。時家君爲主簿,遂復買宅京城,蓋非余志也】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
    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4104 B014104 강도 江都 정치행정 英祖實錄 三十二年(1756) 三月 영조실록_13203016_002 ○司僕調, 以太僕所管江都北一場屯庫, 不可換給於和緩翁主房爲啓, 上還給草記。 蓋孝廟有大志, 以江都島馬, 其産最良, 設監牧官, 以其場屬之太僕。 中間因守臣之請...
    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2713 B072713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7年 1月 7日_010 ○吏批, 以呂聖齊爲大司憲, 李弘迪爲掌令, 徐必成爲江華經歷, 權脩爲判決事, 林泳爲持平, 蘇斗山爲戶曹參議, 崔後亮爲密陽府使, 南益熏爲東萊府使, 鄭勔爲正, 朴純爲分承旨, 李三錫爲江陵府...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1902 B071902 동래 東萊 정치행정承政院日記 肅宗 7年 1月 7日_010 ○吏批, 以呂聖齊爲大司憲, 李弘迪爲掌令, 徐必成爲江華經歷, 權脩爲判決事, 林泳爲持平, 蘇斗山爲戶曹參議, 崔後亮爲密陽府使, 南益熏爲東萊府使, 鄭勔爲正, 朴純爲分承旨, 李三錫爲江陵府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논문] 전근대 군에서 근대 식민도시로의 변화-경남 통영의 사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4
    30573 한국연구재단 한일관계사학회 2014 [논문] 전근대 군에서 근대 식민도시로의 변화-경남 통영의 사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8)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秘書監丞三等 正三品黃演秀 以上五月二十一日 依願免本官 秘書監丞黃演秀 命奉常司提調三等 從二品洪봉杓 任秘書監丞三等 正三品尹悳榮 兼任太醫院副卿 秘書監丞尹悳榮 叅將리秉武 叅將尹澤榮 任 陸軍副將 以上五月二十二日 宮內府特進官趙秉鎬 兼任奉常調 五月二十四日 任 度支部大臣 經理院卿...
    게재일1907년 5월 29일 | 기사분류관보
  • 다음으로 지적하기를-서울은 군와 □상이하며 경찰은 도시부근에서 모든 공민들을 제압하고 있다.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6_1025_04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叅領趙重萬 補侍衛二聯二太隊長 補鎭衛一大隊長 叅領全佑基 叅領金顯大 仝李容昇 仝趙容奎 正尉高靑龍 副尉金鍾九 補硏成學校附 以上七月一日 依願免兼掌禮 秘書丞沈選澤 兼任掌禮 秘書丞李文求 以上七月二日 特進官李根命 任奉常調 七月三日
    게재일1907년 7월 6일 | 기사분류관보
  • 업아력 5 대의 선교방법 급 행진 부두일 8 구약의 외전 이눌서 역 13 세계평화와 기...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1
  • 대의 교회와 오늘날의 교회 권창섭 10 사도들의 복음전파 임능주 14 사도들의 정신 이일우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1

기타자료(1)

  • 29. 조선에 2개 사단을 신설하는 계획에 대하여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이 지역 일대에서는 현재 고이즈미 사령관 휘하의 여러 부대가 여러 가지 중요한 작전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함경북도 북부에 있는 군 라남(나남)은 청진항에서 멀지 않으며, 항구와 연결되는 작은 협궤 철도가 있습니다. 데라우치 백작은 서울과 평양의 막사 건설과 연병...
    집필자A. 게랭, 서울 주재 프랑스 영사 | 작성연도1916년 | 작성월일10월 11일 | 발신자A. 게랭, 서울 주재 프랑스 영사 | 수신자R. 푸엥카레, 프랑스 외무부 장관

연구과제(1)

  • 개성 역사 기초용어 사전 편찬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박종진 | 숙명여자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2)

  • / [정치·법제/법제·행정]

    파, 1467년 4월에 사선서를 사옹원에 합속하면서 도관서를 다시 설치. 뒤에 로 고쳐 ≪경국대전≫에 법제화하였다.

  • 신확 / 申濩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광필이다. 진사로서 1546년(명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첨정을 지냈다. 글을 잘 지어 문명이 있었다.

  • 송환기 / 宋煥箕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28∼1807). 송시열의 5대손이며 주부·사헌부지평·사헌부장령·군자감정을 거쳐 진산군수가 되었으나 병을 핑계로 사직하였다. 1807년 형조참의·예조참판, 1808년 공조판서, 1811년 의정부우찬성에 올랐다. 인심도심논쟁에서 한원진

  • 이승증 / 李承曾 [종교·철학/유학]

    1515(중종 10)∼1599(선조 32). 조선 중기의 의병. 아버지는 계간, 어머니는 영천이씨이다. 김대유의 문인이다. 1558년(명종 13) 생원·진사시에 합격하여 추천으로 건원릉참봉, 사옹원제조, 상의원제조, 상서원직장, 종부시첨정, 직장을 지냈다. 저서

  • 김대유 / 金大有 [종교·철학/유학]

    1479(성종 10)∼1551(명종 6). 조선 중기의 문신. 김극일의 증손, 할아버지는 집의 김맹, 아버지는 직제학 김준손, 어머니는 정 고태익의 딸이다. 김일손의 조카이다. 조광조·조식 등과 친교를 맺었다. 1519년 현량문과에 3등과로 급제한 뒤 성균관전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