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농시” 에 대한 검색결과 6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5)

사전(3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농사(典農司)가 설치되었으며, 이것이 곧 저적창(儲積倉)으로 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에 ()가 되었다. 이 때 관속(官屬)으로는 판사(判事: 정3품)ㆍ경(卿: 종3품)ㆍ소경(少卿: 종4품)ㆍ승(丞: 종5품)ㆍ주부(主簿: 종6품)ㆍ직장(直長...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전기 적전(籍田)의 곡식과 제사용 술ㆍ희생(犧牲) 등을 관리하던 관서. [내용] 이는 고려시대의 전농시(典農寺) 혹은 를 계승한 것으로 1392년 조선의 개국과 함께 그대로 존치된 것이다. 관원으로는 판사(判事) 2원,...
  • 분봉상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제도의 정비과정이후 봉상시(奉常寺)의 전신(前身)의 관서. [내용] 고려 말과 조선 초의 () 혹은 전농시(典農寺)를 세조 때 봉상시에 병합시킨 뒤에 부르던 칭호이다. 이는 고려 충선왕 때 전농사(典農司)란 이름으로
  • 저적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대제(大祭)에 쓸 제물을 관장하던 관부. [내용] 목종 때 사농경(司農卿)이 있었는데, 뒤에 이를 폐지하고 충선왕 때에 이르러 전농시(典農寺)를 두었으나 곧 저적창이라 하였다. 1356년(공민왕 5) 다시 를 두고 직제를
  • 전농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말기에 국가의 대제(大祭)에 쓸 곡식을 관장하던 관서. [내용] 목종 때 사농경(司農卿)이 있었다가 뒤에 폐지되고, 충선왕 때 전농사(典農司)가 두어진 이후 저적창(儲積倉)ㆍ()를 거쳐 1362년(공민왕 11)에 개칭된

고서·고문서(28)

  • 0359 중국 정사 송사 열전 076 경종(景宗) 1 976 宋史487 列傳246 外國3 高麗 太宗即位 加檢校太傅 改大義軍為大順軍 遣左司禦副率于延超 丞徐昭文使其國 사신왕래, 조공책봉, 5대ㆍ송, 5대ㆍ송, 太宗即位年은...
    국가중국 | 서명송사 | 왕대경종(景宗)  1
  • 欠淨利過月錢[元豐五年五月從丞韓宗良請也] 대외, 5대ㆍ송, 元豊은 北宋 神宗의 연호(1078~1085)로 元豊三年四月은 1080년(고려 문종 34년) 4월에 해당한다.
    국가중국 | 서명함순임안지 | 왕대문종(文宗)  34
  • 속자치통감장편_續資治通鑑長編17 太祖 開寶九年十一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
    5895 중국 사서 속자치통감장편 006 경종(景宗) 1 976 11 30 續資治通鑑長編17 太祖 開寶九年十一月 壬辰 遣左司禦副率于延超丞徐昭文使高麗 [昭文 未見] 5대ㆍ송, 조공책봉, 宋 太祖 開寶九年은 고려
    국가중국 | 서명속자치통감장편 | 왕대경종(景宗)  1
  • 당이 고구려에 사신을 파견해 신라에 대한 공격을 멈출 것을 타이름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것을 요구한 기록이다. 於是 遣司農丞相里玄獎 賫璽書賜高麗曰 新羅委命國家 朝貢不闕 爾與百濟 宜卽戢兵 若更攻之 明年當出師擊爾國矣 이에 사농승(司農丞) 사농승(司農丞)은 ()의 속관으로 종6품상에 해당하는 관이다. 는 당(唐) 9시(九寺) 중의 하나로, 양식...
    권차『冊府元龜』 卷991 外臣部 備禦4 | 연도643년 | 기사해제정관 17년(643), 당이 고구려에 사신을 파견하여 신라에 대한 공격을 멈출 것을 요구한 기록이다.
  • 宋名臣言行錄 後集 卷十二 劉摯【忠肅公】 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43 劉摯【忠肅公】 字莘老永静軍人登進士甲科相哲宗 荆公初秉政公除御史論率錢助役官自雇人略擧十害時御史中丞楊繪亦上疏論新政并公章下司農條件詰難劾繪與公險詖欺誕中有向背有㫖分析公奏曰臣有言責采士民之説敷吿於陛下是臣...
    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기타자료(2)

  • 당 태종이 연개소문에게 더 이상 신라를 공격하지 말라며 보낸 조서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보장왕 3년(644)) 【해석】 (봄 정월에 사신을 당에 들여보내 조공하였다. 황제가 사농승(司農丞) : 財穀을 맡은 부서로 9寺의 하나이다. 丞은 종6품 상의 관품이었으며 6명을 두었다. 상리현장(相里玄奬)에게 명하여 조서를 가지고 와서 왕에게 주고 말하기를...
    대표표제어당 태종이 연개소문에게 더 이상 신라를 공격하지 말라며 보낸 조서 | 주제분류외교문서
  • 당나라 勅使 劉仁願이 신라 문무왕과 熊津都督 扶餘隆과 함께 웅진의 就利山에서 맹세를 맺은 맹약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稼正卿 : 司稼는 의 다른 이름이고 正卿은 그 관서의 장관이다. 주로 나라의 농업과 倉穀, 관리의 녹봉 지출 등을 담당하였다. 이었던 부여륭을 웅진도독으로 세우고 그 제사를 지키고 그 옛 땅을 지키게 하니, 신라에 의지하고 기대어 길이 이웃이 될 것이다. 각각 지...
    대표표제어당나라 勅使 劉仁願이 신라 문무왕과 熊津都督 扶餘隆과 함께 웅진의 就利山에서 맹세를 맺은 맹약문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전기 적전의 곡식과 제사용 술·희생 등을 관리하던 관서. 관원으로는 판사 2원, 경 2원, 소경 2원, 승 1원 및 겸승 1원, 주부 1원, 직장 2원을 두었다. 1401년(태종 1)에 전농시로 개칭하고 영·부령·정·부정을 더 두었다가, 1414년에 영과 정을

  • 전농시 / 典農寺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말기에 국가의 대제에 쓸 곡식을 관장하던 관서 목종 때 사농경이 있었다가 뒤에 폐지되고, 충선왕 때 전농사가 두어진 이후 저적창·를 거쳐 1362년(공민왕 11)에 개칭된 것이다. 관원으로는 판사·정·부정·승·주부 등이 있었다. 1369년에 로 고쳐지

  • 저적창 / 儲積倉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대제에 쓸 제물을 관장하던 관부. 목종 때 사농경(司農卿)이 있었는데, 뒤에 이를 폐지하고 충선왕 때에 이르러 전농시(典農寺)를 두었으나 곧 저적창이라 하였다. 1356년(공민왕 5) 다시 를 두고 직제를 개정하였다. 1362년 전농시로, 136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