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교육”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75)
사전(518)
- 역사교육연구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역사교육 연구를 위하여 설립된 학술단체. [내용] 역사를 연구하여 역사교육 발전에 기여하고, 회원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기 위해 김성근(金聲近) 등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과 재직교수와 졸업생들이 중심이 되어 1956년 7월 1일에 설립...
- 사교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개인이 의사결정의 주체가 되어 이루어지는 교육. [개설] 사교육이란 용어가 우리나라 현대 교육사에 최초로 나타난 것은 1962년이다. 그 후 과외, 학습지, 보습 및 예체능 관련 입시학원에 대한 실태조사 등에 사교육이란 용어가 사용되기
- 학생군사교육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시요강을 발표하였고, 전국 16개 종합대학에 25개 학도군사훈련을 설치하였으며, 미국의 학군 제도를 도입하여 초급장교획득을 위한 학도군사교육을 실시하기에 이르렀다. [의의와 평가] 학군단(ROTC) 설치 이전까지 학생군사훈련은 실시계획의 일관성이 결여되고...이칭별칭학군단|ROTC
- 근대신어 : 군사교육(軍事敎育)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05270 군사교육 가항 軍事敎育 兵式敎鍊을 일음 병식(兵式)교련을 이름. 軍事敎育은 朝鮮에도實施(東亞日報, 1925.3.24 .1면) 군사교육은 조선에도 실시(東亞日報, 1925.3.24 .1면) 編輯室출전農民[農民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군인 [과학지식] 교육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군사교육(軍事敎育)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05271 군사교육 가항 軍事敎育 軍事敎育을 바드셕스며 군사교육을 받으셨으며 청춘 2 1914 11 35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4, 139면 군인 교육출전청춘 | 계통분류 [정치경제] 군인 [과학지식] 교육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단행본(3)
- 장서각 소장 고문서 대관 1 - 왕명, 상주-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이민원(원광대학교 역사교육과 초빙교수), 김...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1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朝鮮王朝篇 1. 敎旨 2. 敎書 3. 封書 4. 敎命 5. 敎文 6. 傳敎 7. 提論 8. 論書
- 근대 동아시아인의 이산과 정착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이해영(중국해양대학), 김경호(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김태웅(서울대학교 ... | 출판사 : 도서출판 경진 | 출판일 : 2010.12.30분야역사 | 유형단행본제1부 재중 조선인의 이주와 정착 (1)1930년대 초반 북간도 지역 한인자치운동과 중국공산당 대응 (2)1930년대 초반 만주 지역 안전농촌의 설치와 성격 (3)'민족협화'와 '자치'
- 한중인문학회 공동 기획‧출간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유용태(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김호웅(중국 연변대학교 교수), 김관웅(중국 연변대... | 출판사 : 『한중인문학연구』 제37집 | 출판일 : 2012.12.30분야국제 | 유형단행본1.특집: 개혁개방, 한중 수교, 그리고 중국 조선족 사회 (1)중국의 지연된 근대외교와 한중관계 (2)전환기 조선족사회와 문학의 새로운 풍경 (3)조선족 소설 속의 한국과 한국인 (
논문(1)
- 대한제국 말기 玄采의 역사교육론 - 한국사 교육을 통한 ‘復我舊日文化 -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저자 : 정광필 | 게재정보 : 역사교육
고서·고문서(57)
- 國史敎育 强化를 爲한 敎授用 國史事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國史敎育 强化를 爲한 敎授用 國史事典 인문학 역사학 한국사 國史敎育 强化를 爲한 敎授用 國史事典 崔元植 編 韓國敎育出版 서울 ...대표표제어國史敎育 强化를 爲한 敎授用 國史事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역사학 | 소분류한국사
- 活用 敎育大事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울대]학과 및 연구소 역사교육과 [서울대]R 370.3 G425h대표표제어活用 敎育大事典 | 대분류사회과학 | 중분류교육학 | 소분류교육학일반
- 학교행사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학교행사사전 사회과학 교육학 교육행정/경영학 학교행사사전 행사교육연구회 編 世明文化社 서울 1971 교육학; 교육행정; 학...대표표제어학교행사사전 | 대분류사회과학 | 중분류교육학 | 소분류교육행정/경영학
- 학교행사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학교행사사전 사회과학 교육학 교육행정/경영학 학교행사사전 李昌圭; 具基會; 行事敎育硏究會 共編 世明文化社 서울 1972 교...대표표제어학교행사사전 | 대분류사회과학 | 중분류교육학 | 소분류교육행정/경영학
- 학교행사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학교행사사전 사회과학 교육학 교육행정/경영학 학교행사사전 行事敎育硏究會 編 韓國讀書文化院 서울 1978 교육학; 교육행정;...대표표제어학교행사사전 | 대분류사회과학 | 중분류교육학 | 소분류교육행정/경영학
구술자료(2)
- 한국으로의 결혼이주담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힘들다라는 거는 아무래도 아이들 교육 같은 거 좀 아직까지 어려워요. 사교육을 많이 하지 않아서. 돈도 많이 들여야 되고. 내가 가르치기는 좀 부족하고. 한국 엄마들이나 한국 교육 시스템에 맞춰서 제가 가르쳐줄 순 또 없구. 그런 점은 조금 아직까지는 어려워요. [조사국가몽골 | 제보자멀얼게렐 [몽골, 여, 1983년생, 결혼이주 14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결혼과 문화적응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영어 사교육 이런 거 못 다녀 봤잖아요. 그래서 영어 못하고 또 중국에서 살다 보면 영어가 그렇게 필요하진 않았어요. 중국어만 하고 한국에서는 한국말만 배우고 하면 되니까. 근데 한국사회에서 살다, 살려고 인제 딱 자리 잡으니까 영어가 너무 많이 쓰는 거예요. 외래어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류정애 [중국(한국계), 여, 1980년생, 결혼이주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312)
- 사교육비 해소 방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149248 한국연구재단 한국교육행정학회 2001 사교육비 해소 방안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역사교육의 목적과 초등학교 교사의 역사교육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선주, 게재일 : 200825001 강선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교육연구회 2008 역사교육의 목적과 초등학교 교사의 역사교육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유럽 역사교육의 동향과 자국사교육-영국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한종, 게재일 : 200413989 김한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교육연구회 2004 유럽 역사교육의 동향과 자국사교육-영국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유형논문 | 게재일2004
- 國史敎育을 위한 史料學習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서굉일, 게재일 : 197910010 서굉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歷史敎育硏究會 1979 國史敎育을 위한 史料學習 硏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유형논문 | 게재일1979
- 인문적 체육교사교육을 위한 실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진희, 게재일 : 200640444 김진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6 인문적 체육교사교육을 위한 실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82)
- 인터뷰 국사교육심의회 변태섭위원장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18) 역사교과서문제 인터뷰 국사교육심의회 변태섭위원장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86년 11월 4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3 이 글은 최근 발족된 국사교육심의회의 변태섭 위원장을 인터뷰한 내용임. 변 위원장은 “국사란 우...대표표제어인터뷰 국사교육심의회 변태섭위원장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국사교육, 국사교육심의회, 주체적 역사의식, 민족의식
- 「민족」 을 주체로 강화된 국사교육의 큰 목표 방향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25) 국민교육헌장, 민족중흥사관 「민족」 을 주체로 강화된 국사교육의 큰 목표 방향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72년 5월 26일 경향신문사 경향신문 기사/사설 3 본 기사에 따르면, 문교부 국사교육강화위원회는 소위원회를 열고 역...대표표제어「민족」 을 주체로 강화된 국사교육의 큰 목표 방향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경향신문사 | 출처경향신문 | 키워드국사교육강화위원회, 민족, 사관정립, 아시아적 정체사관, 주체론
- 새교과서개편·보강을 보고 발전의 민족사관 심는 국사교육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25) 국민교육헌장, 민족중흥사관 새교과서개편·보강을 보고 발전의 민족사관 심는 국사교육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82년 1월 21일 이현희 경향신문 기사/사설 3 본 기사에 따르면, 개편된 새 국정 국사교과서는 종래 왕조중심적대표표제어새교과서개편·보강을 보고 발전의 민족사관 심는 국사교육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이현희 | 출처경향신문 | 키워드왕조중심적 시대구분, 역사발전, 세계사적 시각, 민중, 국민정신교육
- 바른 민족관과 국가관은 올바른 국사인식에서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나라의 국사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저자가 강조하는 우리나라 국사교육의 문제는, 세계의 모든 제국주의자들이 그러하듯이 “일본이 우리 민족을 영원히 식민으로 만들기 위해” 우리의 역사를 축소하고 거짓으로 나쁘게 꾸며댄 일제의 식민사관에 여전히 사로잡혀 있다는 것이...대표표제어바른 민족관과 국가관은 올바른 국사인식에서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안호상 | 출처한성 2권 | 키워드올바른 민족관, 국가관, 국사교육, 식민사관
- 민족사관·주체의식확립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25) 국민교육헌장, 민족중흥사관 민족사관·주체의식확립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72년 7월 5일 매일경제신문사 매일경제 기사/사설 3 본 기사에 따르면, 학교교육과 교육과정의 구조개선을 통해 국사교육을 대폭 강화하는 것을 골자로...대표표제어민족사관·주체의식확립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매일경제신문사 | 출처매일경제 | 키워드국사교육강화방안, 민족사관, 주체의식, 민족중흥, 국사교과
멀티미디어(617)
- 어떻게 마련되었는지 이해한다. (2) 교사, 재정, 여성의 측면에서 한국 학교 교육이 지닌 역사적 경험과 특수성을 살펴보고, 한국 학교 교육의 발전 과정에 미친 영향을 평가한다. (3) 사교육, 평준화, 학업성취도와 관련한 쟁점들을 검토하고 한국 학교 교육의 직면한 과강좌제목한국경제와 학교 교육 | 강의자고선 교수
- 어떻게 마련되었는지 이해한다. (2) 교사, 재정, 여성의 측면에서 한국 학교 교육이 지닌 역사적 경험과 특수성을 살펴보고, 한국 학교 교육의 발전 과정에 미친 영향을 평가한다. (3) 사교육, 평준화, 학업성취도와 관련한 쟁점들을 검토하고 한국 학교 교육의 직면한 과강좌제목한국경제와 학교 교육 | 강의자고선 교수
- 어떻게 마련되었는지 이해한다. (2) 교사, 재정, 여성의 측면에서 한국 학교 교육이 지닌 역사적 경험과 특수성을 살펴보고, 한국 학교 교육의 발전 과정에 미친 영향을 평가한다. (3) 사교육, 평준화, 학업성취도와 관련한 쟁점들을 검토하고 한국 학교 교육의 직면한 과강좌제목한국경제와 학교 교육 | 강의자고선 교수
- 어떻게 마련되었는지 이해한다. (2) 교사, 재정, 여성의 측면에서 한국 학교 교육이 지닌 역사적 경험과 특수성을 살펴보고, 한국 학교 교육의 발전 과정에 미친 영향을 평가한다. (3) 사교육, 평준화, 학업성취도와 관련한 쟁점들을 검토하고 한국 학교 교육의 직면한 과강좌제목한국경제와 학교 교육 | 강의자고선 교수
- 과 문학사 임형수 교수 충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문학박사 고려대학교 문학석사 충북대학교 문학사 정순일 교수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와세다대학교 아시아지역문화학(일본사) 박사 고려대학교 동양사(일본사) 석사 고려대학교 역사교육 학사 이영호 교수 동국대학강좌제목한국사의 디아스포라 | 강의자윤상원 이동훈 임형수 정순일 이영호 김주용 배진숙 나혜심 구영은
기타자료(383)
- 역사교육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역사교육론 역사교육론 歷史敎育論 교육 문헌 현대 교육과정 교과교육 교육총류 교육론 잡지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홍이섭 | 사료철명교육문화
- 시사교육 소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시사교육 소고 시사교육 소고 時事敎育 小考 교육 문헌 현대 교육과정 기타교육과정 교육총류 교육론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신상초 | 사료철명교육문화
- 9월의 학교 행사교육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9월의 학교 행사교육 9월의 학교 행사교육 9月의 學校 行事敎育 교육 문헌 교육과정 학교규율ㆍ행사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사료철명교육평론
- 11월의 학교행사교육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11월의 학교행사교육 11월의 학교행사교육 11月의 學校行事敎育 교육 문헌 교육과정 학교규율ㆍ행사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사료철명교육평론
- 국사교육의 실제이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국사교육의 실제이론 국사교육의 실제이론 國史敎育의 實際理論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임태수 | 사료철명조선교육
연구과제(8)
-
빈곤과 부유의 현대문화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윤여일 | 경상국립대학교 | 2022 | 국내 | 경남
-
트랜스내셔널 20세기 한국문화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육영수 | 중앙대학교 | 2022 | 국내 | 서울
-
튀빙겐 글로벌 코리아 프로젝트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You Jae LEE | Eberhard - Karls - University Tuebingen | 2016 | 국외 | 해외
-
충청지역 역사기록의 집성과 종합 DB화―17∼20세기 일상과 공공기록물의 통섭 및 자료의 맥락화―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정란 | 충남대학교 | 2019 | 국내 | 대전
-
조선 왕실 문화의 제도화 양상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오종록 | 성신여자대학교 | 2013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1)
-
사교육 / 私敎育 [교육/교육]
개인의 의사결정의 주체가 되어 이루어지는 교육. 사교육은 공교육에 대비되는 개념, 공교육과 구별되는 사적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실제이다. 공교육이 ‘공적 준거와 절차에 따라 공적주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의 내용, 영역, 형식 그리고 체제’를 말하는 것이라면
-
교육부 / 敎育部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군사교육을 통할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기관. 1904년 9월 일제가 그들의 교육총감부를 본떠서 군부 아래 교육부를 설치하고 여기서 모든 군사교육을 포괄하게 하였다. 교육부의 설치목적은 육군의 교육을 고르게 발달시키고 또 개량, 진취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그
-
공교육 / 公敎育 [교육/교육]
공적 준거와 절차에 따라 공적 주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교육. 공교육의 특성을 드러내고 이와 대비되는 교육으로서 사교육을 구별하는 요소는 ‘공적(公的)’이라는 성격과 이 성격으로 인하여 갖게 되는 교육의 내용과 형식의 특성이다. 교육의 대상이 소수의 계급과 계층만을
-
나정구 / 羅正龜 [역사/근대사]
1886∼미상.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1915년 김좌진(金佐鎭) 등이 만주에서 조직한 조선군단(朝鮮軍團)의 군사교육기관인 사관학교에서 근무하였다. 1919년 3‧1 운동 후 조직한 대한청년단(大韓靑年團)에 가입하여 소만류구(小萬留構)에서 한국인의 호세(戶稅) 징
-
동제사 / 同濟社 [역사/근대사]
12월 17일 상하이 명덕리에 박달학원(博達學院)을 설립, 군사교육을 강조하여 조선인 학생을 중국의 군사학교에 보냈다. 1917년 8월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국제사회주의자대회에도 한국독립요구서를 제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