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관” 에 대한 검색결과 22,9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664)

사전(8,714)

  • 방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의 잡류직(雜類職). [내용] 중국 사신과 그 수행원이 머무는 (使)에 배속되어 공응(供應)의 심부름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각 방(房)의 사신과 부사(副使)로부터 관품(官品)의 높고 낮음에 따라 배속된 방자의 수에 차등이 있...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ern)을 나름대로 알아차리기도 한다. 다시 말해서, 개별사례의 연구를 통해서 어떤 요인이나 요인들이 어떻게 작용해서 변화를 가져오는가 하는 방식을 나름대로 알아내는 것이다. 그러한 ‘정형’이나 ‘방식’을 정식화한 것이 곧 이다. 그것은 사례연구에서 나오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시정(時政)의 기록을 관장하던 관청. [내용] 고려는 삼국시대 이래의 개인편찬사서체제(個人編纂史書體制)를 지양하고, 국초부터 당제(唐制)를 본받아 사서분찬제(史書分纂制)를 시행하였다. 사서분찬제란 ()이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조선시대 역사의 초고(草稿)를 작성하던 관리. 넓은 의미로는 고려‧조선시대에 사초(史草)를 작성하고, 시정기(時政記)를 찬술하는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 또는 춘추관)에 소속된 수찬관(修撰官) 이하의 모든 관원을 말한다. 좁은 의미로는 사초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교육ㆍ문예를 담당하던 4개 관서. [내용] 즉 성균관ㆍ교서관ㆍ승문원ㆍ예문관을 말한다. 성균관은 최고교육기관이었고, 교서관은 서적의 교정ㆍ인쇄ㆍ반포, 승문원은 외교문서의 작성, 예문관은 왕명의 제찬과 사초(史草)의 기록을 담당하였다...

단행본(5)

  • 독일외교문서 한국편 1874~1910, 13권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저자 : 고려대학교 독일어권문화연구소 ... | 출판사 : 보고사 | 출판일 : 20210517
    13권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번째 부분은 1886-1903년 간 한국과 프랑스 관계를 다루고 있다. 두 번째 부분은 1886-1910년간 한국 내 기독교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다. 마지막 부분은 1887년부터 1910년간 한국 내 주재했던 외국대표부(공사, ...
  • 고종과 아관파천 [고종의 국정운영과 리더십 | 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
    저자 : 김영수 ... | 출판사 : 역사공간 | 출판일 : 20201021
    을미사변으로 촉발되어 단발령으로 퍼진 반일정서는 고종의 아관파천으로 이어졌다. 아관파천(俄館播遷)은 1896년 2월 11일 새벽 고종이 을미사변 이후 신변의 위협을 느껴 러시아공사관으로 피신한 사건으로 알려졌다. 당시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했던 김홍집 내각은 개혁을 급속...
  •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임선빈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240530
    조선후기 통신삼사에 대해 통신사 파견의 추이, 통신삼사의 인물별 개황, 통신사 인물 사례 연구로 나누어 살폈다. 조선후기 통신사 파견의 추이는 본 연구의 배경에 해당한다. 조선후기 통신사행은 선조 40년(1607)에 처음 다녀왔으며, 순조 11년(1811)에 끝났다...
  • 한중인문학회 공동 기획‧출간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
    저자 : 유용태(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김호웅(중국 연변대학교 교수), 김관웅(중국 연변대... | 출판사 : 『한중인문학연구』 제37집 | 출판일 : 2012.12.30
    분야국제 | 유형단행본
    1.특집: 개혁개방, 한중 수교, 그리고 중국 조선족 사회 (1)중국의 지연된 근대외교와 한중관계 (2)전환기 조선족사회와 문학의 새로운 풍경 (3)조선족 소설 속의 한국과 한국인 (
  • 고문서집성 100 - 김천 직지사, 예천 용문사 편 - [한국고문서 기초연구 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1.02.28
    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김천 직지사(金泉 直指寺) 1. 사지사적류(寺誌事蹟類) 2. 자산관리문서(資産管理文書) 3. 불련문서(佛聯文書) 4. 행정관련문서(行政關聯文書) 5. 직지

논문(6)

고서·고문서(8,589)

구술자료(60)

  • 박윤진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민위원회가 됨 가난하여 육군 학교 후보생 모집을 보고 학교에 입학 훈련 교범이 없던 시절, 여러 훈련기준이 일제시기와 미-군정 시기 달라짐 당시 훈련소 장교와 훈련병들 사용하던 기관총, 소총 이야기 후보생의 야영훈련이자 야외전투종합훈련 육사 졸업 후
    분야역사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현대사와 군
  • 김재춘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유년기, 학교 입학, 소위 임관, 박정희와의 관계, 정보국 시절, 임원근과 조봉암, 한국전쟁의 발발, 육군본부 정보국 재직, 한국전쟁기 9사단 재임, 6관구사령부로 전입, 박정희와의 인연, 그리고 5.16, 5.16 당일의 비화, 족청계, 그리고 육군학교 5기
    분야역사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현대사와 군
  • 김재춘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육군학교 육군하교 졸업 후 첫 부임지 : 5연대 9사단 근무시절 군기문란 사건 일화 5.16 군사정변 한국전쟁 일화 육군대학 진학과 1관구 발령과 6관구 발령계기 박정희 장군과의 일화 4.19 당시상황 인식 5.16 모의 및 정국인식 구술자의 개인사
    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 최종성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생 및 가족관계 학창시절 부친 이야기: 일본경찰관, 초대 경기도의원 직장생활: 통신중계소 소장 육군학교 진학 및 생도시절 육군학교 졸업과 육군본부 정보국 근무 육군본부 공병감실 시절 JP 및 8기생과의 만남 공병대대 창설 1952년 미국공병학교 입학 미국에서
    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 안동준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생 및 학창시절 금융조합 취업 및 일본 유학 학도병 생활과 자녀의 죽음 가정생활과 학도병 활동 학도병 재결집과 육군학교입소 여수․순천 사건 일화 및 지역선거 국방부 정훈국 발령 한국전쟁 당시 개인적 일화 국회의원에 출마하게 된 계기 선거 입후보 및 자유당
    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충청북도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기초학문(201)

  • 陆游游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6
    72008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연구회 2016 陆游游仙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儒學의 歷과 社會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오종일, 게재일 : 2000
    09805 오종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공자학회 2000 儒學의 歷과 社會觀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a1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고대 한국의 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34497 한국연구재단 한국역사연구회 2003 고대 한국의 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티베트 생(生)의 형성배경 -환경과 종교의 관점에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68729 한국연구재단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2013 티베트 생(生)의 형성배경 -환경과 종교의 관점에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동아시아의 노계와 임금 불평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이환, 게재일 : 2006
    41725 정이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학회 2006 동아시아의 노계와 임금 불평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3,059)

  • 민세안재홍전집 : 史實獨創者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556 1930 3 15 1 1 葉書通信 史實獨創者 잡지 별건곤 27호,5권 3호 79쪽 동정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朝鮮上古見 B19300315별건02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糊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로 보고기 일진지부회춍 리창룡이가 그탐장 만여량을 사실야 답인지 문셔가  이졔 그이 사실키 어렵다고 난것이 심히괴니 이갓치 한만 군슈난 가히 인슌치지슈 업기로 셩군 슈향슈리 위션 압상얏스나 군슈 윤동한을 별반론경야 장 경계...
    게재일1906년 1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에셔 겸임즙포관 려군수 박항씨에게 뎐훈기를 젼쥬군 회민이 평민과 상힐한일을 효유차로 관찰에게 이왕뎐칙엿더니 지금지 금즙지못엿다기에 즙포관으로 을뎡얏시니 젼쥬에 급왕야 별반효유고 곳 사보라엿다더라
    게재일1905년 3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演說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일진회에셔 방쳥을 허여하고 뎨로 연셜하데 윤갑병씨 황궁슉쳥에 하야 연셜하고 김명쥰씨는 관직에 하야 연셜하고 홍셕후씨 경향사이 나라일하는 일을 오하데 하야 연셜하고 송셕쥰씨는 졍치가 품에 하여 연셜하엿더라
    게재일1904년 9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명일에 덕국공 이뎐씨가 그부인을 동고 덕국상민들과 군악를 령솔야 덕어학교에 회동야 학도의 우렬을 시찰고 연회 학부일반 관인도 다 회동이 된다더라
    게재일1903년 6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61)

  • 대가야 역 신축부지내 고령 지산동 고분군 - 본문 I : 수혈식석곽묘-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대가야 역 신축부지내 고령 지산동 고분군 - 본문 I : 수혈식석곽묘- kk4-0166_#1 유구 원색사진3. 2호(1), 5호(2) 석곽 전경 2014-09-25_0.646969_원색사진3. 2호(1), 5호(2) 석곽 전경.jpg k
    제목대가야 역사관 신축부지내 고령 지산동 고분군 - 본문 I : 수혈식석곽묘-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대가야 역 신축부지내 고령 지산동 고분군 - 본문 II : 횡혈(구)식석실묘-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대가야 역 신축부지내 고령 지산동 고분군 - 본문 II : 횡혈(구)식석실묘- kk4-0167_#1 유구 원색사진3. 2호(1), 5호(2) 석곽 전경 2014-09-25_0.2810633_원색사진3. 2호(1), 5호(2) 석곽 전경.jpg
    제목대가야 역사관 신축부지내 고령 지산동 고분군 - 본문 II : 횡혈(구)식석실묘-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박의장 미국방문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주미한국대에서 러스크 국무장관을 초청해 만찬회를 개최하고, 미국 기자단과 오찬회를 갖은 이후, 재미교포들을 대에 초청해 연회를 가졌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1년 11월 24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개원식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국 문화 유적을 복원하고 정화하는데 힘쓰고 충.효 사상을 복돋아 온것도 새로운 민족 문화를 창조하고 개발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원은 한국 문화의 학술연구와 고전 자료의 편찬과 번역, 국내외 관련기관과의 연구협력 등의 사업과 민족학의 정신을 발굴하고 주체적 역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8년 7월 1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도입 _ 동아시아농업사의중요성_1주차_1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도쿄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미야지마 히로시_ 나의 한국사 공부_ 너머북스_ 2013 미야지마 히로시_ 일본의 역을 비판한다_ 창비_ 2013 미야지마 히로시_ 한중일 비교 통사_ 너머북스_ 2020 [가이드북] 미야지마 히로시 1주차.pdf 도입
    강좌제목동아시아와 한반도의 농업사 | 강의자미야지마 히로시 교수

연구결과보고서(2)

기타자료(1,967)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7611 북한 평남 평양공립농업학교 교우회회보 창간호 1932―01―31 124면 1. 평양공립농업학교교우회 회원명부;4) 본과 졸업생;(17) 제17회 졸업생 42명 1924년 3월 22일 이;李...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해군학교령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해군학교령 해군학교령 교육 문헌 현대 교육법령 법령 교육기회확대 학교설치 고등교육 학교운영
    범주1교육법령 | 형식관보 | 한글저자대통령령
  • 해군학교령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해군학교령 해군학교령 교육 문헌 현대 교육법령 법령 교육기회확대 학교설치 고등교육 학교운영
    범주1교육법령 | 형식관보 | 한글저자대통령령
  • 해군학교령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해군학교령 해군학교령 교육 문헌 현대 교육법령 법령 교육기회확대 학교설치 고등교육 학교운영
    범주1교육법령 | 형식관보 | 한글저자대통령령
  • 칠레 대 대변인 임명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칠레 대 대변인 임명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69/??/??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3689] UNCUARK(유엔 한국통일부흥위원...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연구과제(28)

주제어사전(297)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교육·문예를 담당하던 4개 관서. 성균관은 최고교육기관, 교서관은 서적의 교정·인쇄·반포, 승문원은 외교문서의 작성, 예문관은 왕명의 제찬과 사초의 기록을 담당하였다. 문과급제자들은 갑과 3인을 제외하면 모두 4관에 분관 배치하여 일정기간 근무한 뒤에 실직

  • / [역사/근대사]

    역사를 해석하고 설명하는 관점 또는 가설.

  • / [언론·출판/언론/방송]

    1927년 2월 1일에 구세군 조선본영에서 창간하여 한글 2단으로 내리 편집한 들의 격월간 교양지. 내용으로는 훈령, 성경연구, 연구, 교육, 설교요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헌관 / [정치·법제/법제·행정]

    제사 때에 잔을 신위에 올리는 제관. 초헌ㆍ아헌ㆍ종헌 등 3헌관이 있다. 큰 제사에서는 임금이 초헌을, 왕세자가 아헌을, 영의정이 종헌을 하는데, 일반 제사에서는 문무 당상관이 이를 맡아 하였다. 이때 대체로 2품 이상이 임명되었으나, 2품 이상으로 적당한 사람이 없

  • / 公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의정부에 신설된 종6품 관직. 1865년 비변사를 의정부에 통합하면서 비변사의 낭청 12인을 1인 감하여 의정부의 관직으로 개편한 것이다. 이들 가운데 문관 2인은 시종신 중에서 임명하였으며, 무관 9인 중 5인은 참상관으로, 4인은 참하관으로 임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