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계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6)

  • 나이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53년(효종 4) 정언이 되었고, 1663년(현종 4) 장령에 이어 수찬ㆍ교리ㆍ보덕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숙종이 즉위하자 부교리가 되었으며, 집의ㆍ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1774년(영조 50) 성묘를 지켰다는 공으로 이조참판에 추증되었고, ()에 배...
    이칭별칭 택우(宅于)| 매음(梅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 용산리에 있었던 서원. [내용] 1720년(숙종 46) 지방유림의 공의(公議)로 황효공(黃孝恭)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경현사(景賢祠)‧흥경당...
  • 구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묘갈명과 「봉안문(奉安文)」‧「상향축문(常享祝文)」‧「별묘상향축문(別廟常享祝文)」‧「흥교당중수기(興敎堂重修記)」‧「영천읍지(榮川邑誌)」 등 그의 덕을 찬양, 추모하는 글들이 수록되어 있다.
  • 정지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적인 사상은 족손인 정약용(丁若鏞)으로 이어져 실학(實學)이 집대성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의 학문은 세간에 크게 알려지진 않았지만 영주(榮州) ()을 중심으로 그 지역 선비들에게 읽혀지고 영향을 주었다. 저서로 『문암집』이 있다.
    이칭별칭 성지(成之)| 문암(文巖)
  • 황효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뜻을 버리고 고향에서 독서로 일생을 보내며, 『역학계몽(易學啓蒙)』‧『황극경세(皇極經世)』‧『태극도(太極圖)』 등을 깊이 연구하였다. 이황(李滉)과도 교유하였으며, 도상학(圖象學)과 역학에 밝았다. 영주의 ()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구암일고』가 있다....
    이칭별칭 경보(敬甫)| 구암(龜巖)

고서·고문서(1)

주제어사전(3)

  • /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 용산리에 있었던 서원. 1720년(숙종 46) 지방유림의 공의(公議)로 황효공(黃孝恭)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경현사(景賢祠)·흥경당(興敬堂)·동재(東齋)·서재(西齋)·신문(神門)·주소(廚所)

  • 김휘철 / 金輝轍 [종교·철학/유학]

    1842년(헌종 8)∼1903년(광무 7). 부친은 낙광, 모친은 정재석의 딸이다. 매창 사신의 후손이다. 1862년에 관복재 김기헌이 주도하여 가르치고 있던 에 나아가 독서를 하였다.1868년 부친상을 당하였고 1876년 봄에 향시에서 장원으로 뽑혔으나 서울

  • 나이준 / 羅以俊 [종교·철학/유학]

    성묘를 지켰다는 공으로 이조참판에 추증되었고, 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