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개치부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11)
- 사개치부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도 하나, 주로 개성상인들이 사용‧발전시켰으므로 사개송도치부법‧송도사개치부법이라고 한다 또 개성상인의 것이라 해서 개성부기라고도 한다. 사개치부법의 특징은 사개(四介‧四掛‧四卦‧四開)에 있다. 사개는 원래 건축에서 쓰는 말로 ‘네 모퉁이가 서로 물려서 밀접하게...이칭별칭개성부기
- 개성상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賈)상업, 해양을 무대로 한 선상(船商)활동, 중국과 일본을 연결하는 국제무역, 나아가 인삼재배와 홍삼제조업으로 사업 영역을 넓혀나감으로써, 오늘날 상인정신을 전형적으로 구현한 대표적인 상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개성상인들의 상업경영은 송도사개치부법이라는 독특한 복식...이칭별칭송상(松商)
- 한국회계사연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윤근호(尹根鎬)가 지은 우리 나라 회계사에 관한 연구서. [내용] A5판. 376쪽. 1984년 한국연구원에서 간행하였다. 한국고유의 사개치부법(四介治簿法)에 관한 내용과 서양의 복식부기(複式簿記)의 도입과정 및 보급 등에 관하...
- 사개송도치부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16년 현병주(玄丙周)가 우리나라 전래의 고유한 치부법인 사개치부법(사개다리문서)을 최초로 해설한 책. [내용] 활자본. 이 책은 주로 송도상인에 의해 전수되어 왔으며, 서양의 복식부기원리와 부합되는 것이라고 하는 사개치부법을...
- 부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것이 사개치부법(四介治簿法, 四介置簿法)으로서 사개다리치부법‧사개송도치부법(四介松都治簿法)‧송도사개치부법(松都四介治簿法)‧개성부기라고도 불린다. 사개치부법은 고려시대의 수도이고 조선시대의 상업중심지인 개성(송도)의 상인들에 의하여 창안되고 비전되어온 우리 민족...
고서·고문서(1)
- 물건값(物價)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을[捧次] 봉차(捧次): 사개치부법(四介治簿法)에 의하면, 주어지는 것을 급차(給次) 또는 입(入)이라고 쓰고 받아지는 것을 봉차(捧次) 또는 거(去)라고 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원금이 몇 백 몇 냥인 것까지는 지금으로서는 상세히 알 수 없습니다.”라고 하였...재판기관한성재판소(漢城裁判所) | 판결일자3134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주제어사전(1)
-
사개치부법 / 四介治簿法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부터 주로 개성상인들이 사용했던 우리 나라 고유의 독특한 회계처리법. 사개치부법은 네 가지가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는 치부법을 말하는 것이다. 1920년대까지 사용되어 존속한 것으로 보인다. 사개치부법으로 기록된 장부는 대한천일은행의 1899년부터 1906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