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간원” 에 대한 검색결과 3,0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19)

사전(2,06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초기 에 소속된 종3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1401년(태종 1)에 왕권강화의 도모 및 관제정비와 관련되어 문하부가 혁파되고, 삼사와 의흥삼군부가 각각 사평부(司平府)와 승추부(承樞府)로 개칭되며, 예문춘추관이 예...
  • 정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 정6품 관직. [내용] 정원은 2인이다. 1392년(태조 1) 7월의 신반관제(新頒官制)는 고려의 관제를 습용(襲用)한 것이므로 의 전신인 낭사(郎舍)의 간관(諫官) 11인 중 좌우습유(左右拾遺) 각 1인...
  • 헌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 정5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의 관제 신정(新定) 때에 문하부(門下府)의 관속으로 정5품의 보궐이 좌‧우 각 1인씩 설치되었다가 1401년(태종 1) 태종의 왕권강화도모와 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하부(門下府)를 혁파하고 의정부를 설치할 때 문하부낭사는 독립되어 이 되었다. 중국과 고려시대에 중서성‧문하성의 하위직 관원[郎舍]으로 구성되었던 간관이 조선시대에 비로소 독립된 관부가 된 것이다. 1401년에 독립된 의 직제는 그 뒤 세조 때 몇...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국왕에 대한 간쟁(諫諍)과 논박(論駁)을 담당한 관청.
    정의조선시대 국왕에 대한 간쟁(諫諍)과 논박(論駁)을 담당한 관청.[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Saganwon | MR표기Saganw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846)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40_008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栗谷先生全書 卷之二 詩 下 157 契軸 02_085_052.jpg 契軸 시규1‧초국2‧중규1‧중규2에는 뒤에 “已下辛巳年”이 더 있음. 江海空疎客, 薇垣廁衆英。 匡時五臣足, 憂國一身輕。 自分非忠直, 何緣補聖明? 後人應歷指, 今日愧題名。 契軸 ▶...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二 【拾遺】啓 52 避嫌啓 40_065_036.jpg 避嫌啓 凡臺諫初啓之辭, 必遍示同僚, 商確勘定, 然後入啓, 例也。 今兩宗禪科, 論啓事簡通後, 正言李光軒與大司諫姜士弼, 相議起草, 不示臣等而入啓, 故不竝擧兩宗事。 臣等初不知之, 及其旣知...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請勉學親賢臣箚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六 疏箚 四 8 請勉學親賢臣箚 06_065_060.jpg 請勉學親賢臣箚 伏以爲學, 在於涵養本原, 變化氣質; 爲政, 在於虛己推誠, 倚任賢臣。 涵養之功不密, 則變化之術末由; 虛己之誠不至, 則倚任之道不成。 恭惟殿下聰明恭儉, 未見失德, 而世道...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栗谷先生全書 卷之七 疏箚 五 17 乞變通弊法箚 07_121_031.jpg 乞變通弊法箚 乞……箚 : 초1・초국2・초3・중규1에는 “箚第一【辛巳】”. 伏以臣等聞天下有事, 則芻蕘之說, 重於泰山, 天下無事, 則聖賢之說, 輕若鴻毛。 何則當其有事也, 厭亂思治, 怵危...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신문·잡지(4)

  • 병원슈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졍부에셔 셜시 병원은 영츄문 건너 이젼으로 뎡고 방쟝 그집을 슈리고 의학교 즁셔 훈동으로 뎡고 슈리 기를 장대히고 녀학교도 슈히 셜시가 된다더라
    게재일1899년 5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병원실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 위국에셔 죵친부 우의 젼으로 병원을 셜시고 명일붓터 약을만들어 빈궁무의 사들과 감옥셔 죄슈들의 병을 돈밧지 안코 거져 보아주기로 시작다더라
    게재일1899년 5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즁츄원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로 셰계고금동셔양에언으나라이던지 나라쳐노코 간 직을 맛혼벼살이 업가 업나니 가량 우리나라 옛법으로 말건 이 잇셔셔 언으신하가 국법을 어즈러이던지 나라에무삼 위급 일이 잇던지 흑우에셔 닷지 못 일이계시케드면 에셔 글을올녀 간기도고 입시...
    게재일1903년 6월 4일 | 기사분류논설
  • 우리나라에 오여년 누려온 긔를 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우리나라에 오여년 누려온 긔를 보게드면 비록지나 쳥국 학문을 슝샹야 나라 다리 법을 마련얏스나 헌부와 의 발은 말 간관이 잇셔 국가 대쇼졍령을 론 말노써 졍치샹에 잘못된 일을 드러 샹쇼 규례를 뎡며 권셰를 잡은 대신의 말잘못됨은 고샤...
    게재일1901년 5월 21일 | 기사분류논설

주제어사전(12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의 간쟁·논박을 관장하던 관서. 1392년(태조 1) 7월의 신반관제에서는 고려 말의 문하부낭사 제도를 그대로 계승하였다. 그러나 1401년(태종 1)에 문하부를 혁파하고 의정부를 설치할 때 문하부낭사는 독립되어 이 되었다. 그 후 1401년에 독립된

  • 사 / 知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에 소속된 종3품 관직. 정원은 1인. 1401년(태종 1)에 왕권강화시 문하부가 혁파되고, 삼사와 의흥삼군부가 각각 사평부와 승추부로 개칭, 예문춘추관이 예문관과 춘추관으로 분리되었다. 문하부낭사는 으로, 문하부낭사의 종3품의 직문하가 개칭되

  • 사간 / 司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 종3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경국대전≫에 법제화되면서 후대로 계승되었다가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 때 근대식 관제 개편으로 의 혁파와 함께 소멸되었다. 의 장관인 대사간을 보좌해 원내 사무를 지휘하고 대사간 및 하위의 헌납·

  • 대사간 / 大司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 정3품 당상관직. 국왕에 대한 간쟁을 맡은 은 사헌부와 더불어 양사(兩司)라 불리는 언론기관이다. 여기에 속한 관원은 문과출신의 명망있는 인물이 아니면 임명될 수 없었다. 대사간은 대사헌과 함께 언론과 규찰을 주도하는 중책을 맡고 있었으므로

  • 삼사 / 三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언론을 담당한 사헌부··홍문관을 합하여 부른 말. 사헌부는 백관에 대한 감찰·탄핵 및 정치에 대한 언론을, 은 국왕에 대한 간쟁과 정치 일반에 대한 언론을 담당. 홍문관은 궁중의 서적과 문한을 관장, 경연관으로서 왕의 학문적·정치적 고문에 응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