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뽕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3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6)

사전(20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내용] 한자어로는 상(桑)이라고 하며 학명은 Morus alba L. 이다. 높이 20m, 직경 70㎝에 달한다. 작은 가지는 회갈색 또는 회백색이고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난상 원형 또는 긴
  • 묘향산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북도 향산군 향암리에 있는 산.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88호. 산는 묘향산 보현사의 뜨락에서 자라고 있다. 산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화강암지대에 생긴 산림밤색 토양이고 모래메흙이며 습기와 거름...
  • 은척면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두곡리에 있는 . [내용] 경상북도 기념물 제1호. 높이 약 12m, 가슴높이의 둘레 2.75m의 노거수(老巨樹)로 가지는 동으로 2.30m, 서로 4m, 남으로 4.60m, 북으로 4.30m 뻗...
    연계항목은척면의뽕나무(銀尺面의뽕나무)
  • 잠실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동에 있는 . 내용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호. 가슴높이 줄기둘레는 약 1.4m에 이르는 거목 으로 고사되었다. 수령과 식수시기는 확실치 않으나 세종이 각 도마다 상전을 만들어 누에치기를 장려한...
    연계항목잠실리뽕나무(蠶室里뽕나무)
  • 봉양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봉양리에 있는 . [내용] 강원도 기념물 제7호, 높이 약 25m, 가슴높이의 둘레 2.5m, 밑동둘레 3.25m로서 가지는 동쪽으로 11m, 서쪽으로 13m, 남쪽으로 7.7m, 북쪽으로 6.7m...
    연계항목봉양리뽕나무(鳳陽里뽕나무)

고서·고문서(96)

  • 6601 P-SDK-06601-P-D-04-02 P-SDK-06601-P-D-04-02-1 P-SDK-06601-P-D-04-02-2 의 무성함 綿桑ノ繁茂 봉투 없음 봉투 없음. 4매 세트. 사제엽서 경제산업 농업 근대 ...
    자료명뽕나무의 무성함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6600 P-SDK-06600-P-D-04-01 P-SDK-06600-P-D-04-01-1 P-SDK-06600-P-D-04-01-2 거대한 재래 巨大ナル在來桑樹 봉투 없음 봉투 없음. 4매 세트. 사제엽서 경제산업 농업 ...
    자료명거대한 재래 뽕나무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3609 P-SDK-03609-P-E-04-01 P-SDK-03609-P-E-04-01-1 P-SDK-03609-P-E-04-01-2 누에씨 검사와 밭 蠶種檢査 桑園 봉투 없음. 4매 세트. 사제엽서 사회 학교 근대 한국 ...
    자료명누에씨 검사와 뽕나무밭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The Mulberry Bush[]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9060 창가 新編聖歌 合唱曲集 22173 1936년 朴泰鉉 基督靑年勉勵會朝鮮聯合會 安大善 原口久美 八十錢 The Mulberry Bush[] 〈a〉정상녹 역〈/a〉 〈m〉Quickly〈/m〉 〈mn〉오선보〈/mn〉 〈#...
    구분창가 | 편저자朴泰鉉
  • 황해도 도립 원잠종 제조소와 근예 간작식 밭의 번무 상황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
    6902 P-SDK-06902-P-D-08-04 P-SDK-06902-P-D-08-04-1 P-SDK-06902-P-D-08-04-2 황해도 도립 원잠종 제조소와 근예 간작식 밭의 번무 상황 道立原蠶種製造所, 根刈間作式桑田繁茂狀況 농업의 황...
    자료명황해도 도립 원잠종 제조소와 근예 간작식 뽕나무밭의 번무 상황 | 발행처黃海道農會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8)

  • 대나무 참나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마을 회관에서 자연스럽게 구연하였다. 조사하는 도중에 할머니들이 한 분씩 한 분씩 들어오시고 또 민요조사를 왔다는 말을 듣고 일부러 오신 분들도 계셨다.
    조사일시2009.08.03(수) | 조사장소경북 경상북도 청송군 현동면 인지리 441번지 인지리 손달회관 | 제보자이두희
  • 대나무 참나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마을 경로당에서 자연스럽게 구연하였다. 경로당이 큰길가에 있어 녹음에 어려움을 겪었다.
    조사일시2009.07.29(수) | 조사장소경북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중기2리 경로당 873-1159 | 제보자정말순
  • 람 거짓말 이라고 그래요. 쳐 먹을 게 없으니 나 그 처음에 우리가 저 새끼들이 뭐 할라고 그러나 짐 승이 먹는 거를 그러나 그랬는데. 뽕 잎사구 그저 풀도 막 베다가 가마에다 물을 하나 설설 끓이더니 거기다 그 작두에다가서 숭 숭 썰어서 이런 매한데다가 다 갖
    조사지역강원 평창 | 조사일2014년 5월 20일
  • 친정 오빠와 시아주버니로 인해 고초를 당하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
    라. 나도 묶어가꼬, 지금 생각하믄 추동덕 집이여. 거그 군인들이 와서 요로고 와가꼬 요만한 놈, 쪼곰 요거보다 가는가 끊어가꼬, 낫으론가 뭣으론가 끊어가 꼬 와서 막 뚜들어싸. 내노라고. 그릉께 나는 다른 말 밖이 안했어. 그래도 그때 그런 소간이 있 어. 열
    조사지역전남 나주 | 조사일2012년 2월 20일
  • 다가 기시다가 여기 저 중도, 거기 밭에서 기냥 돌아가셨어. 우리 작은 아버지가. 총에 맞아가지 구. 여기 총에 맞아가지구. 그래 우리 아버지는 인제 또 의용군꺼정 갔다가 오시구 일루 어떻게 잘 돌아서 오셨어. 돌아오셔가지구선 그래두 연세가 많아가지구선 인제 시
    조사지역강원 춘천 | 조사일2013년 2월 19일

신문·잡지(47)

  • 묘목의 기쁜 소식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묘목의 기쁜 소식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24호 桑苗의喜消息 1908.07.24. 學園 662~663 885~887 쌍성초부(雙城樵夫) 대한제국     잠업을 장려하...
    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24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469 김봉훈 평북로동신문사 본토와 같이 매마른 땅의 순밭에는 록비를 많이 재배함으로써 토양을 비옥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의 육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5월 상순 이량사이에 청공 또는 낭대문 점파하였다가 꽃...
    대표표제어평북로동신문_1948_0325_03 | 책임주필김봉훈
  • 469 김봉훈 평북로동신문사 는 삼근작물인 동시에 영년작물이므로 즉시에 효과를 내는 화학비료 같은 속효성비료를 주는 것보다 퇴비나 구비같은 지효성비료를 주되 시비시기는 년3회 춘경과 동시 실시하여야 하며 그 방법은 순상전에 있어서는 ...
    대표표제어평북로동신문_1948_0325_03 | 책임주필김봉훈
  • 469 김봉훈 평북로동신문사 도농림부 잠업과 뽕잎은 춘추량기에 따도록 하되 그 따는 방법은 잎따기 눈따기의 두가지 방법이 있는바 잎다기는 어린누에 때에 하고 눈따기는 큰 누에 때에 하는 것이며 특히 주의할 것은 눈따기에 있어서 의 가지를 상...
    대표표제어평북로동신문_1948_0325_03 | 책임주필김봉훈
  • 469 김봉훈 평북로동신문사 밭에 잡초가 무성하면 비료양분을 잡초가 탈취할 뿐만 아니라 통풍이 좋치 못하게되며 따라서 가 볕을 잘 보지 못하기 때문에 병충해의 발생을 조장케하는 것이므로 수시로 제초를 실시하여 밭에 잡초가 절대성 하지...
    대표표제어평북로동신문_1948_0325_03 | 책임주필김봉훈

멀티미디어(7)

  • 18세기 중반 와삼[桑麻]
    [HGIS에 기반한 조선시대 전국지리지의 공간적 재현과 역사지도 제작 | 고려대학교]
    18세기 중반 와삼[桑麻]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605_18세기_중반_와삼[桑麻] 경제_160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桑木]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604_18세기_중반_[桑木] 경제_1604_18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산[柘]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104_토의_15세기_중반_산[柘] 경제_15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桑]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103_토의_15세기_중반_[桑] 경제_158_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활만드는산[弓幹桑]
    [HGIS에 기반한 조선시대 전국지리지의 공간적 재현과 역사지도 제작 | 고려대학교]
    18세기 중반 활만드는산[弓幹桑]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908_18세기_중반_활만드는산[弓幹桑]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7)

  • 백제가 양에 신라 사신을 대동하여 방물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데의 邑勒이 있다. 토지는 비옥하여 五穀을 심기에 적합하다. 와 삼이 많아 비단과 베를 생산한다. 소는 수레를 끌게 하고 말은 탄다. 남녀간의 구별이 엄격하다. 그 나라의 관직 이름에는 子賁旱支·壹旱支·齊旱支·謁旱支·壹吉支·奇貝旱支가 있다. 그들은 冠을 遺子禮라...
    대표표제어백제가 양에 신라 사신을 대동하여 방물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21년(辛丑/신라 법흥왕 8 建元 6/고구려 안장왕 3/백제 무령왕 21/梁 普通 2/倭 繼體 15)
  • 백제가 양에 신라 사신을 대동하여 토산물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과 같은 말이다. 나라 안에는 6군데의 탁평과 52군데의 읍륵이 있다. 토지는 비옥하여 오곡을 심기에 적합하다. 와 삼이 많아 비단과 베를 생산한다. 소는 수레를 끌게 하고 말은 탄다. 남녀 간의 구별이 엄격하다. 그 나라의 관직 이름에는 자분한지(子賁旱支)·일한...
    대표표제어백제가 양에 신라 사신을 대동하여 토산물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521년(辛丑/신라 법흥왕 8/고구려 안장왕 3/백제 무령왕 21/梁 武帝 普通 2/倭 繼體天皇 15)
  • 상당산성 - 서장대 및 남문외 유적지 조사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없었다. 남문 밖의 남형 경사면 일대는 최근까지 논밭으로 경작되고 일부는 와 포도나무가 식목되었다. 이때문에 표토 뿐만 아니라 생토면의 일부도 교란이 심하게 진행되었다. 1995.07.15~1995.09.30 1.유적의 연혁 개요 / 2.1995년도...
    발행연도1997 | 발굴기관충북대학교호서문화연구소 | 발굴지역충청북도
  • 17. 황제의 농업 장려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두 마리를 쟁기와 연결한 멍에의 고삐를 잡았고, 황제 폐하는 황족들과 각료들을 대동하고서 쟁기질을 하며 경작지를 한 바퀴 돌았다. 뒤이어 황족들과 고위 관리들이 이 일을 되풀이했으며, 그러고 나서 황제께서 경작지 주위에 , 소나무, 삼나무 씨앗을 뿌렸다.》 총영...
    집필자J. 블랭,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작성연도1913년 | 작성월일4월 07일 | 발신자J. 블랭,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장관
  • 1945년 9월 22일 크라스케비치가 쉬킨에게 보내는 북조선의 정치경제상황 보고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
    가량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쌀, 콩, 밀, 보리, 수수, 옥수수 등을 생산한다. 평안남도에서는 와 품질이 낮은 면화가 재배되고 있다. 조선의 농업은 모든 도에 전형적인 다음과 같은 통계를 통해 성격을 규정할 수 있다. 경지 분포(단위 – 헥타르). 평안남도 쌀...
    키워드북조선, 정치경제, 상황 | 대표주제어정치경제상황 | 발신자크라스케비치 | 수신자쉬킨

주제어사전(18)

  • / Morus alba L. [과학/식물]

    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높이 20m, 직경 70㎝에 달한다. 작은 가지는 회갈색 또는 회백색이고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난상 원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며 3∼5개로 갈라지고 길이 10㎝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또 끝이 뾰족하고 표면은 거

  • / 山─ [과학/식물]

    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산과에 속하는 큰키나무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산기슭, 논둑, 밭둑의 양지에서 잘 자란다. 추위에는 잘 견디지만 공해나 건조에는 약하며 햇볕이 부족한 그늘에서는 잘 자라지 못한다. 꽃은 4∼5월에 암수

  • 묘향산산 / 妙香山山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북도 향산군 향암리에 있는 산. 북한 천연기념물 제88호. 산는 묘향산 보현사의 뜨락에서 자라고 있다. 북한 산 가운데서 가장 크고 오래 자란 나무이다. 산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화강암지대에 생긴 산림밤색 토양이고 모래메흙이

  • 구지 / Cudrania tricuspiata (Carr.) Bureau ex Lavallee [과학/식물]

    과 꾸지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 꾸지와 쓰임새가 비슷하나 박달나무와 맞먹을 정도로 단단하다. 보다 더 단단하다는 뜻으로 ‘굳이’라고 하였고, 이것이 변하여 꾸지가 되었다. 누에를 키우기 위해 대접받는 가 부러워 굳

  • 봉양리 / 鳳陽里─ [과학/식물]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봉양리에 있는 . 강원도 기념물 제7호, 높이 약 25m, 가슴높이의 둘레 2.5m, 밑동둘레 3.25m로서 가지는 동쪽으로 11m, 서쪽으로 13m, 남쪽으로 7.7m, 북쪽으로 6.7m 정도로 퍼졌고, 나무의 나이는 약 500년 정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