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빙고전” 에 대한 검색결과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라시대의 관서. [내용] 내성(內省)에 소속되어 빙고(氷庫)를 관리하였다. 설치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505년(지증왕 6) 11월에 왕명으로 얼음을 저장하여 쓰게 한 것으로 미루어 늦어도 6세기경에는 설치되었다고 생각된다.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빙고(氷庫)의 빙부(氷夫)를 위하여 설정한 토지. [내용] 왕실과 양반관료들에게 얼음을 공급하는 공역(公役)을 맡은 빙부는 동빙고ㆍ서빙고에 정속된 직역부담자이며, 그 총수는 50인이다. 『경국대전』 당시에 빙부 1인당 자경무세지(...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라시대 내성(內省)에 소속되어 빙고(氷庫)를 관리한 관청.
    정의신라시대 내성(內省)에 소속되어 빙고(氷庫)를 관리한 관청.[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Binggojeon | MR표기Pinggoj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냉동식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두고 대사(大舍) 1인, 사(史) 1인을 두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와 같이 소관사를 두고 장빙을 담당하게 하는 제도는 더욱 보완되면서 고려를 거쳐 조선에까지 계속되었다. 현재 남아 있는 동빙고와 서빙고는 조선시대의 장빙고로 식품을 냉장, 냉동했...
  • 빙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라 시대 이래 얼음을 저장하던 창고 또는 얼음을 지급하던 일을 맡은 관서. [내용] 신라 시대에는 국가에서 사용하는 얼음을 보관하던 창고였으며, 이를 관장하던 관서로 ()이 있었다. 빙고가 언제 설치되었는가는 확실치...

고서·고문서(6)

  • 32295 B032295 기좌도 其佐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肅宗 8年 6月 19日_015 ... 幾至二千匹, 事之可駭, 莫甚於此, 此必有所由然矣。 更取牧場文書, 後罷之置之數, 則京畿仁川三牧場內, 紫燕島移屬御營廳, 公洪道瑞山四牧場內, 興陽串則移屬安興鎭, 元...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則初非不知之事, 而責罰輕重, 非自下所敢論矣。 濡曰, 回答書契, 使學官輩, 例而製述, 以示提調, 而今番覺其前例之有違, 抄去問候一款, 蓋彼不問候之時, 我獨問候, 未免損威。 旣已遵舊規而歸正, 則此不過措語間損益, 非係新創變節, 故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則初非不知之事, 而責罰輕重, 非自下所敢論矣。 濡曰, 回答書契, 使學官輩, 例而製述, 以示提調, 而今番覺其前例之有違, 抄去問候一款, 蓋彼不問候之時, 我獨問候, 未免損威。 旣已遵舊規而歸正, 則此不過措語間損益, 非係新創變節, 故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경상북도, 경주, 석빙고, 얼음, , 창고 일본어, 영어 조정민 신동규 신동규 THE SEKIHYOKO THERE SEEMS TO KEPT THE CEREALS IN THE OLD TIME, KEISHU. 慶州名勝, 糧を藏したるらむ, 石...
    자료명경주 석빙고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5.94m, 높이 4.97m의 크기이다. 엽서를 보년 석빙고 입구 왼편에 팻말이 세워져 있으며 작은 글씨는 보이지 않지만 큰 글씨가 석빙고라고 적혀 있은 것으로 보아 이에 대한 설명문이 적혀 있는 것으로 보인다.U10 경상북도, 경주, 석빙고, 얼음, ...
    자료명석빙고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주제어사전(1)

  • /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빙고의 빙부를 위하여 설정한 토지. 왕실과 양반관료들에게 얼음을 공급하는 공역을 맡은 빙부는 동빙고·서빙고에 정속된 직역부담자이며, 그 총수는 50인이다. ≪경국대전≫ 당시에 빙부 1인당 자경무세지 1결(結)씩을 관유지로 지급하였다. 그런데 조선 후기에는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