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빗살무늬토기” 에 대한 검색결과 2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4)

사전(19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적인 무늬 외에 번개무늬와 같이 특징적인 무늬가 새겨져 있는 것도 있다. 우리나라 는 섭씨 600°∼700℃ 정도의 열을 가해 구운 것이다. 토기를 구워낸 가마자리가 확인된 곳은 없지만, 땅을 판 구덩이에서 별다른 특별한 시설 없이 장작불을 피워 구워...
    이칭별칭즐목문토기|유문토기|어골문토기|기하학문토기
  • 울주신암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66년에는 서울대학교가, 1974년에는 국립박물관이 발굴을 실시해 유적의 성격이 학계에 비교적 잘 알려진 곳이다. [내용] 이 곳에는 신석기시대에 속하는 유물포함층이 이루어져 있다. 지역에 따라 덧무늬토기〔隆起文土器〕유적과 〔櫛文土器〕유적으...
  • 노천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산 가마 형태이다. 가마의 지붕이 없는 개방된 구조이기 때문에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산화염(酸化焰)으로 소성되며, 가마 내부의 온도가 600~900도 이상 고온을 낼 수 없기 때문에 적갈색 무문토기 또는 연질토기가 생산된다. 신석기시대의 , 청동...
    이칭별칭개방요|한데가마
  • 대항리패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점으로 보아 이 패총은 신석기시대에서 초기철기시대까지 장기간에 걸쳐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출토된 유물 중에서 조각은 아가리[口緣部]와 몸통[胴部]이 각각 한 개씩 채집되었다. 아가리의 파편은 태토에 모래가 약간 섞였으며, 기면...
    이칭별칭대항리조개무덤|대항리조개무지|대항리조개더미
  • 평양청호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다. 발굴 구덩이에서는 조각 939점, 그물추〔漁網錘〕122점, 타제석부 8점, 사슴이빨 2개와 소량의 목탄이 채집되었다. 는 기원전 4,500년 무렵부터 중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나타난 새로운 형식의 토기로, 바닥이 뾰족한 포탄...
    이칭별칭평남대동군청호리유적|청호리신석기유적

고서·고문서(5)

기타자료(8)

  • 방예정구간에 대한 매장문화재 시굴조사에서 확인된 성과는 다음과 같다. 경남고고학연구소는 2005년 3월 21일부터 4월 2일까지 실시한 임천 지곡제 제방예정부지에 대한 시굴조사에서 신석기시대 문화층, 무문토기시대 무덤, 삼국시대 무덤군, 고려시대 건물지 등...
    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경남고고학연구소 | 발굴지역경상남도
  • 거지 (2)야외노지 3. 유물 (1)토기 1) 2)백제토기 3)통일신라 이후 토기 (2)석기 (3)어망추 (4)철기 / Ⅴ. 결어 / 참고문헌 / 부록 오이도 소래벌패총 시굴조사 약보고 뒷살막패총에서는 2기의 주거지와 7기의 야외노지가 확인되었다. 2기의...
    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서울대학교 박물관 | 발굴지역경기도
  • 제천신월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문화유적 시‧발굴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해 진행한 결과 신석기시대 주거지 1기, 노지 3기, 건물지 2기, 온돌 6기 구상유구 4기, 가마 1기, 수혈유구 1기 등 모두 18기의 유구가 조사되었다. 출토유물은 신석기시대의 편, 원삼국시대의 경질무문토기편과 타날문토기편, 조선시대의 기와편과 자기편,...
    발행연도2003 | 발굴기관한국문화재보호재단/제천시 | 발굴지역충청북도
  • 성남~장호원간 도로개설(2공구)건설공사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사개요 / Ⅱ.위치와 주변환경 1.자연‧지리적 환경 2.고고학적 배경 / Ⅲ.조사내용 1.조사 1구간 2.조사 2구간 3.조사 3구간 / Ⅳ.맺음말 / 참고문헌 / 사진 장지리유적은 유물산포지로서 신석기시대 편을 비롯해 청동기시대 무문토기편과 자기편들이...
    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경기문화재단 부설 기전문화재연구원(현 경기문화재연구원)/(주) 현대건설‧동일기술공사 | 발굴지역경기도
  • 하지만 보고서에서는 자세한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보고서에서는 고려시대 유구와 유물에 대한 설명이 거의 없다. 거창 임불리 유적은 고려시대 사지, 청동기시대 무문토기유구, 신석기시대의 유구 ․ 덧무늬토기유구, 그리고 중석기로 볼 수 있는 세석기문화...
    발행연도1990/06 | 발굴기관부산여자대학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25)

  • / ─土器 [역사/선사시대사]

    그릇 표면을 빗살같이 길게 이어진 무늬새기개로 누르거나 그어서 점·금·동그라미 등의 기하학무늬를 나타낸 신석기시대의 대표적인 토기. ‘즐목문토기(櫛目文土器)’라고도 한다. 또한 겉면에 무늬를 새기고 있기 때문에 ‘유문토기(有文土器)’라고도 하며, 무늬 모양의 특징을 따

  • 산청강루리유적 / 山淸江樓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강루리에 있는 신석기시대부터 초기철기시대까지의 유적. 발굴조사는 지표상에 나타나 있는 지석묘를 대상으로 한 것이고, 그 밑에 깔린 신석기문화층에 대해서는 층의 존재만을 확인하는 데 그쳤다. 상층유물로는 검은간토기 쇠뿔잡이〔黑陶牛角形把

  • 덕적도패총 / 德積島貝塚 [역사/선사시대사]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덕적도에 있는 조개더미 유적. 1954년 국립박물관에서 실시한 서해도서조사를 통하여 덕적도를 비롯한 소야도(蘇爺島)·승봉도(昇鳳島) 등에서 가 나오는 패총의 소재가 알려졌으며, 1967년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과를 중심으로 자세한 조

  • 단양수양개선사유적 / 丹陽─先史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결과, 강안단구(江岸段丘)의 비탈에 이루어진 무늬토기층(Ⅲㅁ층)과 구석기문화층(Ⅳㄱ층·Ⅳㄴ층)이 드러났다. 층(Ⅲㅁ층)은 고운모래흙층으로 돌도끼와 조각이 발견되었다. 돌도끼의 갈기수법과 의 무늬형식으로 보아 신석기시대 중기나 후기에 발달

  • 민무늬토기 / ─土器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의 무늬 없는 토기. 일명 ‘무문토기(無文土器)’·‘무늬없는 토기’라고도 한다. 신석기시대 널리 사용되었던 무늬가 있는 토기인 에 상대되는 말로 사용된다. 민무늬토기의 기형상의 특징은 신석기시대의 가 지역과 시대에 따라 납작바닥[平底]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