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빈례” 에 대한 검색결과 2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7)

사전(10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오례(五禮)의 하나로서 손님을 접대하는 예. [내용] 국가에서 행해진 는 외국 사신을 접대하는 의식이었다. 의 종류로는 연조정사의(宴朝廷使儀)‧왕세자연조정사의(王世子宴朝廷使儀)‧종친연조정사의(宗親宴朝廷使儀)‧수인국서폐의(受隣國書幣...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오례의 하나로, 외국 사신을 접대하는 의식에 관한 모든 예절
    정의오례의 하나로, 외국 사신을 접대하는 의식에 관한 모든 예절 | 문광부표기billye | MR표기pill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오례(五禮) 관소연(館所宴), 연인국사의(宴隣國使儀) 외국사신(外國使臣) 왕실왕실의례/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지두환 [정의] 오례(五禮)의 하나로서 외국 사신(使臣)을
    상위어오례(五禮) | 하위어관소연(館所宴), 연인국사의(宴隣國使儀) | 관련어외국사신(外國使臣)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宗廟展謁時告期禮權停禮詣昌德宮後卽爲擧行事及明日冊以午初初刻爲之事榻前下敎, (가례1762/044ㄱ05~07)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총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총람 총람 조선 순조 때에 청나라의 사신 접대에 관한 제반 의식절차를 수록한 책. 왕명에 의하여 역관 변호 등이 편찬했다. 규장각...

단행본(1)

  • 조선의 왕과 왕세자-왕관을 쓴자의 무게 [조선시대의 왕실교육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육수화 ...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70830
    책의 구성은 왕의 이야기, 왕실여성의 이야기, 원자와 원손의 이야기, 왕세자의 이야기로 구성하였다. 제1장 왕의 이야기에서는 궁궐에서의 왕의 공간과 왕의 교육인 경연에 대해서 소개하고, 왕이 종친 간의 친목과 군신 간의 화합을 위해 어떠한 방법들을 모색하고 실행하였는지...

고서·고문서(91)

  •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640 春秋考徵 四 ITKC_MP_0597A_0640_030_0050 []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春秋考徵 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경빈예장소등록(慶葬所謄錄)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1907년(광무11) 헌종의 후궁 경빈 김씨(慶嬪 金氏: 1831~1907)의 장례(葬禮)에 관한 기록이다. 조선 후기부터 국가 장례 행사에 관한 기록은 대부분 의궤로 편찬되었으나, 본 기록은 등록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체제 면에서 의궤와 다소 ...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현빈예장도감의궤하(賢葬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751년(영조 27) 조선 제21대 왕 영조(英祖)의 아들 효장세자(孝章世子, 1719~1728)의 빈(嬪)인 현빈 조씨(賢嬪趙氏, 1715∼1751)의 예장(禮葬)에 관한 기록으로 예장도감(禮葬都監)에서 간행하였다. 조선시대 국왕이나 왕후의 상사(喪事) 때에는 장례...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0256 중국 정사 송사 지 005 경종(景宗) 3 978 10 16 宋史119 志72 禮志22 4 外國君長來朝 (太平興國三年) 十月十六日 宴宰相親王以下及契丹使高麗使諸州進奉使於崇德殿 以乾明節罷大宴故也 是後宴外國使為常 ...
    국가중국 | 서명송사 | 왕대경종(景宗)  3
  • 0257 중국 정사 송사 지 006 기타 宋史119 志72 禮志22 4 契丹夏國使副見辭儀 高麗附 政和詳定五禮 有紫宸殿大遼使朝見儀紫宸殿正旦宴大遼使儀紫宸殿大遼使朝辭儀崇政殿假日大遼使朝見儀崇政殿假日大遼使朝辭儀 其紫宸殿赴宴 遼使副位御坐西 諸...
    국가중국 | 서명송사 | 왕대기타  

기초학문(2)

  • 신라의 -당 使臣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채미하, 게재일 : 2011
    42698 채미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사학회/고려사학회 2011 신라의 -당 使臣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日唐의 관련의 律令法式에 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이순, 게재일 : 2012
    44627 박이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문과학연구소 2012 日唐의 관련의 律令法式에 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3)

  • 比領事署理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비국령 빙갈씨가 슈유야 귀국말은 이왕긔 엿거니와 부령 귀씨가 령셔리를 시무다더라
    게재일1902년 3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礦學實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례식원 번역과장 현상건씨 광학국장을 피임여 번역과장을 겸임고 법인의 귀씨와 도씨와 어학교 셔긔 죠영씨 광학국 기 피임엿더라
    게재일1902년 9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特敍勳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의학교쟝 지셕영씨는 다년 의학에 효로가 현져고로 오등훈에 팔괘졍을쥬고 군악교 덕인의 케르씨는 실샹을 교습고로 훈삼등에 태극쟝을쥬고 비국인 귀씨도 효로가 잇다야 등훈에 태극쟝을 쥬엇다더라
    게재일1902년 12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9)

  • 일본 光仁天皇이 신라 혜공왕에게 보낸 璽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貞卷來時 更加諭告 其後類使曾不承行 今此蘭蓀猶陳口奏 理須依例從境放還 但送三狩等來 事旣不輕 故修以答來意 王宜察之 後使必須令齎表函 以禮進退 今勅筑紫府及對馬等戍 不將表使莫令入境 宜知之 春景韶和 想王佳也 今因還使附答信物 遣書指不多及 (󰡔續日本紀』 36, 天宗高紹天皇 光仁天...
    대표표제어일본 光仁天皇이 신라 혜공왕에게 보낸 璽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 신라가 보낸 신라사가 일본에게 귀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口奏 理須依例從境放還 但送三狩等來 事旣不輕 故修以答來意 王宜察之 後使必須令齎表函 以禮進退 今勅筑紫府及對馬等戍 不將表使莫令入境 宜知之 春景韶和 想王佳也 今因還使附答信物 遣書指不多及 (󰡔續日本紀󰡕 36 光仁紀)
    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신라사가 일본에게 귀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80년(庚申/신라 혜공왕 16, 선덕왕 1/발해 문왕 44, 大興 44/唐 建中 1/日本 寶龜 11)
  • 신라가 일본에 보낸 김초정이 일본에 온 이유를 말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事參來 所以 此度不預 自今以後 宜如前仰 令可申事人入朝者 待之如常 宜以此狀 告汝國王知 但進唐國消息 幷在唐我使藤原朝臣河淸等書 嘉其勤勞 仰大宰府安置饗賜 宜知之 賜國王祿絁廿五疋 絲一百絇 綿二百五十屯 大使金初正已下各有差 (󰡔續日本紀󰡕 30 稱德紀)
    대표표제어신라가 일본에 보낸 김초정이 일본에 온 이유를 말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70년(庚戌/신라 혜공왕 6/발해 문왕 34 大興 34/唐 大曆 5/日本 神護景雲 4, 寶龜 1)
  • 신라가 보낸 신라사가 일본에게 귀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 新羅使還蕃 賜璽書曰 天皇敬問新羅國王 朕以寡薄 纂業承基 理育蒼生 寧隔中外 王自遠祖 恒守海服 上表貢調 其來尙矣 日者虧違蕃禮 積歲不朝 雖有輕使 而無表奏 由是泰廉還日 已具約束 貞卷來時 更加諭告 其後類使曾不承行 今此蘭蓀猶陳口奏 理須依例從境放還 但送三狩等來 事旣不輕 故修以...
    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신라사가 일본에게 귀국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80년(庚申/신라 혜공왕 16, 선덕왕 1/발해 문왕 44, 大興 44/唐 建中 1/日本 寶龜 11)
  • 職 不墜家聲 今省來書 頓改父道 日下不注官品姓名 書尾虛陳天孫僭號 遠度王意豈有是乎 近慮事勢疑似錯誤 故仰有司 停其 但使人萬福等 深悔前咎 代王申謝 朕矜遠來 聽其悛改 王悉此意 永念良圖 又高氏之世 兵亂無休 爲假朝威 彼稱兄弟 方今大氏曾無事 故妄稱舅甥 於禮失矣 後歲之使 不可更然...
    대표표제어발해왕에게 책서를 내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72년(壬子/신라 혜공왕 8/발해 문왕 大興 36/唐 代宗 大曆 7/日本 光仁天皇 寶龜 3)

주제어사전(11)

  • / [종교·철학/유학]

    오례(五禮)의 하나로서 손님을 접대하는 예. 국가에서 행해진 는 외국 사신을 접대하는 의식이었다. 의 종류로는 연조정사의(宴朝廷使儀)·왕세자연조정사의(王世子宴朝廷使儀)·종친연조정사의(宗親宴朝廷使儀)·수인국서폐의(受隣國書幣儀)·연인국사의(宴隣國使儀)·예조연인국사

  • 사안 / 司案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액정서에 소속된 정7품의 잡직. 가례· 등 궁궐내의 의식에 설치되는 향안(香案)·표안(表案) 등에 관한 일을 맡아보았다. 정원은 2인이다. 체아직으로, 대전(大殿)의 서방색(書房色)이나 왕비전의 사약(司鑰) 중에서 차임되었다.

  • 국조오례의 / 國朝五禮儀 [종교·철학/유학]

    조선 초기에 길례, , 가례, 군례, 흉례의 다섯 가지 의례를 중심으로 하여 모든 의식절차를 제정한 책. 8권 6책. 목판본. 세종 때 시작하여 세조 때에 강희맹의 손을 거쳐 1474년에 신숙주, 정척 등에 의해 완성되었다. 이 책은 길례가 권1에 30개조, 권2

  • 예학 / 禮學 [종교·철학/유학]

    예법에 관한 학문. 조선시대의 기본 예전 ≪국조오례의≫이다. 그 내용은 길례·가례··군례·흉례의 순서로 되어 있다. 길례는 종묘와 사직에 제사 지내는 의식 및 농사와 관계되는 제사 의식 56가지를, 가례는 중국을 섬기는 의식, 명절에 하례하는 의식, 왕비를 책봉

  • 길례 / 吉禮 [정치·법제]

    국가에서 거행하는 제사의 다른 이름. 길례 용어는 <주례> '대종백'에 나오는데 신에 대한 제사를 가리킨다. 길례와 더불어 흉례, 가례, , 군례를 오례라고 하였다. 오례는 유교 국가의 예제를 분류하는 기본범주이다. 길례는 국가의 제사 법식이란 의미인 사전(祀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