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빈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63)
사전(548)
- 빈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同知書筵)이 좌빈객(左賓客)과 우빈객(右賓客)으로 개칭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정2품 관직으로 되었으며, 그 아래 종2품의 좌‧우부빈객(左右副賓客)이 새로 설치되었다. 『고려사(高麗史)』
- 빈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에 세자의 교육을 담당하던 세자시강원 소속의 정2품 관직. [내용] 정원은 2인이다. 좌‧우빈객 각 1인이 있었으며, 겸관(兼官)이었다. 빈객의 기원은 당제(唐制)에까지 소급되며, 우리 나라에는 고려의 문종이 동궁관속에 정3품의
- 빈객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목민심서(牧民心書)》 〈예전(禮典)〉의 6조(條) 중 하나.정의《목민심서(牧民心書)》 〈예전(禮典)〉의 6조(條) 중 하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Bin-gaek | MR표기Pin’gae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빈객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국 원대에, 첨사원 등 황태자 업무를 담당하던 기관에서 황태자 교육을 담당하던 상위 관원정의중국 원대에, 첨사원 등 황태자 업무를 담당하던 기관에서 황태자 교육을 담당하던 상위 관원 | 문광부표기Bin-gaek | MR표기Pin’gae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빈객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왕세자에게 경사(經史)와 도의(道義)를 가르치던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정이품 벼슬. 세자빈객. 上曰 湜也拙 何不以沈喜壽爲之乎 沈則以賓客 已在從官中 乃以都承旨尹覃茂陪從, 전식(全湜), 45-299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단행본(1)
- 조선의 여성, 가계부를 쓰다-종부의 치산과 가계 경영(근대전환기 국가와 민02) [근대전환기의 국가와 민 | 성균관대학교]저자 : 김현숙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180425본 저서는 충남 홍성군 갈산에서 발굴한 여성의 언문일기와 문서들을 활용하여 19세기 중반 양반 여성의 가계경영과 치산, 그리고 지역 사회의 특성을 규명하자 한 연구이다. 필자는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 하에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유교적 가부장 질서의 희생자이자 타자...
고서·고문서(594)
- 經史門9_賓客宗廟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賓客宗廟 孔子見衛民之旣庶矣, 歎不能富而敎也. 按, 《洪範》“八政”, 必先“食”、“貨”, 蓋衣食足, 而彝倫可敍也. 子又言“衛 靈公之無道”, 以治賓客、宗廟、軍旅, 爲不亡之證案, 而不及食與敎者, 何也? 富與敎, 衛固不及也, 然而不亡, 賴此三者之克治也. 治賓客, 則事大交隣有...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祭祀ㆍ賓客,雖係私事,宜有恒式。殘小之邑,視式宜減。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220 牧民心書 卷二 ITKC_MP_0597A_1220_040_0040 祭祀ㆍ賓客,雖係私事,宜有恒式。殘小之邑,視式宜減。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권차명牧民心書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一應賓客之饗,宜遵古禮,嚴定厥式。法雖不立,禮宜常講。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270 牧民心書 卷七 ITKC_MP_0597A_1270_030_0060 一應賓客之饗,宜遵古禮,嚴定厥式。法雖不立,禮宜常講。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권차명牧民心書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通訓大夫 奉常寺 正 趙靖을 嘉善大夫 吏曹參判 兼 同知經筵 義禁府 春秋館 成均館事 世子右副賓客 五衛都摠府 副摠管에 追贈하는 敎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319 1250_01 通訓大夫 奉常寺 正 趙靖을 嘉善大夫 吏曹參判 兼 同知經筵 義禁府 春秋館 成均館事 世子右副賓客 五衛都摠府 副摠管에 追贈하는 敎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추증교지 한...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通訓大夫 奉常寺 正 趙靖을 嘉善大夫 吏曹參判 兼 同知經筵 義禁府 春秋館 成均館事 世子右副賓客 五衛都摠府 副摠管에 追贈하는 敎旨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320 1250_02 通訓大夫 奉常寺 正 趙靖을 嘉善大夫 吏曹參判 兼 同知經筵 義禁府 春秋館 成均館事 世子右副賓客 五衛都摠府 副摠管에 追贈하는 敎旨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추증교지 한...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구술자료(2)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성연에 대연을 배설(排設)하야 삼해 용왕을 청하니, 군신빈객(君臣賓客)이 천승만기라. 귀중 연에 궤좌하고 격금고이명고로다. 삼일을 즐기더니, 남해 용왕이 해내 열풍을 과히 쏘여 우연 득병허니, 만무회춘지도하고 난구명의 지구라. 명의 얻을 길이 없어, 용왕이 영덕전 높은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환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성연에 대연을 배설(排設)하야 삼해 용왕을 청하니, 군신빈객(君臣賓客)이 천승만기라. 귀중 연에 궤좌하고 격금고이명고로다. 삼일을 즐기더니, 남해 용왕이 해내 열풍을 과히 쏘여 우연 득병허니, 만무회춘지도하고 난구명의 지구라. 명의 얻을 길이 없어, 용왕이 영덕전 높은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봉술
신문·잡지(13)
- 해방일보_1950_0703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향악단 고조선 민요 악기단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무용단은 조선이 낳은 특출한 무용가 최승희 여사를 수반으로 하고 있다. 이 빈객들은 역두에서 『레닌그라드』 예술게 대표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조선예술가 대표단 일행은 『레닌그라드』에서 수일 간 체류하게 될 것이...대표표제어해방일보_1950_0703_02
- 함북로동신문_1947_0921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213 김윤복 청진시 관해리 81 함북로동신문사 쏘피아, 모쓰크바, 쏘련, 쏘베트, 로씨아 【쏘피아 16일 따쓰발 북조선통신】 모쓰크바 8백주년 축전에 빈객으로서 참석하였던 쏘피아시장 슬라브조·스또벨로프씨는 기자단 회견석상에서 그의 쏘련...대표표제어함북로동신문_1947_0921_04 | 책임주필김윤복
- 강원인민보_1947_1018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3일 따스발 북조선통신) 질러아키스, 챔펀, 파―킨화이트, 리앨린죠―지 글휴―즈로 구성된 영국 로동당 대의사단이 10월7일 이래 모쓰크바를 방문하고 있다. 영국의 빈객들은 수도에 체재하는 동안에 전연맹 대외문화협회 전연맹 직업동맹 중앙위원회 중앙협동조합연맹 쏘련내각□...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1018_04 | 날짜1947년 10월 18일 | 책임주필서창훈(徐昌勳)
- 출판경찰보 119호 North China Daily News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의 일군포로가 강서(江西)병사가 입는 지나복(支那服)을 입고 미소를 지으면서 들어왔다. 그들은 마치 보통 사교장의 빈객처럼 곱고 대단히 자유롭게 행동했다. 그들은 매일 접하는 사람들에게 만족을 느끼고 있으므로 실망이나 굴욕 같은 분위기는 조금도 보이지 않았다. 프로...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19호 North China Daily News | 출판물명North China Daily News 1939년 7월 10일
- 함남로동신문_1949_1013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대표들 및 베를린 주차 인민민주주의제국가 대사관원들과 기타의 빈객들도 본회의에 다수 참석하였다. 본회의에는 또한 기자 통신원 및 방송국원들도 다수 참석하였다. 회의 참가자들은 모두 독일사회통일당 총비서 빌헬름·피-크가 주석단에 등단하자 박수갈채로 그를 환영하였다. 뒤이...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1013_04 | 책임주필강길모
기타자료(5)
- 당이 위요를 신라에 보내어 효성왕을 조제하고 경덕왕을 책봉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에 빈객의 예절로 우대하여 책명하노니 마땅히 옛 왕업을 지켜 번국 왕의 이름을 계승하라. 이어서 특별한 예우를 더하여 중국의 관호를 주니, 형의 신라왕·개부의동삼사·사지절·대도독계림주제군사 겸 지절영해군사를 계승하라.” 아울러 황제가 직접 주석한 효경(孝經) 1...대표표제어당이 위요를 신라에 보내어 효성왕을 조제하고 경덕왕을 책봉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43년(癸未/신라 경덕왕 2/발해 문왕 7 大興 7/唐 天寶 2/日本 天平 15)
- 당이 신라에 경덕왕의 즉위 관련 제(制)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었으므로 동생이 받아 그 뒤를 이었으니, 생각컨대 떳떳한 법도로 여겨진다. 이에 빈객의 예절로 우대하여 책명하노니 마땅히 옛 왕업을 지켜 번국 왕의 이름을 계승하라. 이어서 특별한 예우를 더하여 중국의 관호를 주니, 형의 신라국왕·개부의동삼사·사지절·대도독계림주제군사...대표표제어당이 신라에 경덕왕의 즉위 관련 제(制)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43년(癸未/신라 경덕왕 2/발해 문왕 7 大興 7/唐 天寶 2/日本 天平 15)
- 당 현종이 신라 경덕왕에게 보낸 制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충성스러운 절의를 나타내었다. 지난날 형이 나라를 계승했으나 죽고 아들이 없었으므로 아우가 받아 그 뒤를 이었으니, 생각컨대 떳떳한 법도이다. 이에 빈객의 예절로 우대하여 책명하니 마땅히 옛 왕업을 지켜 번국 왕의 이름을 계승하라. 또 특별한 예우를 더하여 중국의 관호...대표표제어당 현종이 신라 경덕왕에게 보낸 制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 힐알사 사신을 발해 사신보다 상위에 자리하게 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태복경(太僕卿) 조번(趙蕃)에게 명령하여 부절을 갖고 그 나라에 가서 위무하라고 하였다. 재상에게 조서를 내려 홍려사(鴻臚寺) 중국 당(唐)대의 관서로, 빈객과 흉례를 관장하였다. 장관은 종3품 홍려경(鴻臚卿)이다. 속관부로 북주와 수의 후예를 관장하는 전객서(典客...대표표제어힐알사 사신을 발해 사신보다 상위에 자리하게 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43년(癸亥/신라 문성왕 5/발해 彛震 咸和 14/唐 武宗 會昌 3/日本 仁明天皇 承和 10)
- 당이 위요를 신라에 보내어 효성왕을 조제하고 경덕왕을 책봉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이에 빈객의 예절로 우대하여 책명하노니 마땅히 옛 왕업을 지켜 번국 왕의 이름을 계승하라. 이어서 특별한 예우를 더하여 중국의 관호를 주니, 형의 신라왕·개부의동삼사·사지절·대도독계림주제군사 겸 지절영해군사를 계승하라.” 아울러 황제가 직접 주석한 『효경(孝經)』...대표표제어당이 위요를 신라에 보내어 효성왕을 조제하고 경덕왕을 책봉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43년(癸未/신라 경덕왕 2/발해 문왕 7 大興 7/唐 天寶 2/日本 天平 15)
주제어사전(31)
-
빈객 / 賓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에 세자의 교육을 담당하던 세자시강원 소속의 정2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좌·우빈객 각 1인이 있었으며, 겸관이었다. 빈객의 기원은 당제(唐制)에까지 소급되며, 우리 나라에는 고려의 문종이 동궁관속에 정3품의 빈객 4인을 처음 두었다. 그 뒤 고려말에 공
-
우빈객 / 右賓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시강원의 정2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타관이 겸하였다. 1392년(태조 1)에 세자관속을 설치할 때에는 종2품직이었으나, 그 뒤 정2품직으로 개편되었다.
-
관택사 / 官宅司 [정치·법제/외교]
고려시대 빈객접대를 담당하던 관서. 934년(태조 17) 서경에 관택사를 두고 빈객 접대를 맡게 하였고 원리로 경(卿) 2인, 대사(大舍) 2인, 사(史) 2인을 두었다.
-
자헌대부 / 資憲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신 정2품 하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의 품계인 정헌대부·자헌대부가 제정되어 그대로 수록되었다. 정2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군·위·좌참찬·우참찬·지사·판서·판윤·대제학·세자좌빈객·세자우빈객·도총관·제조 등이 있
-
정헌대부 / 正憲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신 정2품 상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의 품계인 정헌대부·자헌대부가 제정되어 ≪경국대전≫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정2품에 해당되는 관직으로는 우참찬·지사·판서·판윤·대제학·세자좌빈객·세자우빈객·도총관·제조 등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