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비파형동검” 에 대한 검색결과 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6)

사전(5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는 돌기부가 있고 이 돌기부 양쪽으로 날이 약간씩 휘어 들어갔다. 경부(莖部)가 그대로 연장되어 검신의 중앙부에서 등대〔背〕를 이루며 인부(刃部)의 돌기부와 병행한 등대부분에는 마디가 약간 도드라져 있다. 이 도드라진 마디는 을 다른 동검들과 구분지을...
    이칭별칭요령식동검|만주식동검|부여식동검|곡인청동단검(曲刃靑銅短劍)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비파처럼 생긴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기.
    정의비파처럼 생긴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기.[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bipahyeong donggeom | MR표기pip’ahyŏng tonggŏ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요령강상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중국 요령성 여대시(旅大市) 후목성역(後牧城驛)에 있는 문화 관계의 무덤유적. [개설] 강상은 동서 길이 약 100m의 둥근 언덕으로 유적은 바로 이 언덕 위에 위치한다. 1964년 조중발굴대(朝中發掘隊)가 발굴하였다. 무덤은
    이칭별칭강상묘(崗上墓)
  • 동제검자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검자루는 〔요령식 동검〕의 말기형식과 같이 출토되었으며, 형태는 앞의 것과 비슷하다. 대쪽형은 세형동검〔한국식 동검〕의 검자루로 ‘T자’형의 반부에 해당되는 부분이 나무로 따로 만들어지면서 발생한 형식이다. ‘T자’형과는 달리 검의 슴베와 자루가 연결되...
    이칭별칭동제검파(銅製劍把)
  • 여수적량동지석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지만 대부분 파괴되거나 교란된 것이 많으며 원래 상석이 있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상석이 있었다 하더라도 소형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출토유물은 7점, 비파형동모 1점, 관옥 5점, 석검완형이 1점, 편이 2점, 석촉 3점, 유구석부 1점, 유단석부...
    이칭별칭여천적량동지석묘

고서·고문서(12)

기초학문(2)

  • 한반도출토 의 지역성과 계통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인욱, 게재일 : 2005
    32189 강인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상고사학회 2005 한반도출토 의 지역성과 계통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기원전 1천년기 요령~한반도 문화로 동물장식의 유입과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인욱, 게재일 : 2010
    31130 강인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호남고고학회 2010 기원전 1천년기 요령~한반도 문화로 동물장식의 유입과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0

기타자료(1)

  • 김천 송죽리유적Ⅱ -금릉 구성공단조성지구내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양식(송죽리유적 Ⅱ단계에서 Ⅲ단계) 4.유물 1)토기류(돌대문, 절상돌대문, 홍도, 구순각목토기, 무문양 무문토기 등) 2)토제품 3)석기 4)과 동기편 5)목기 6)옥기 5.송죽리 청동기시대유적의 검토 6.소결 고려시대 유구로는 석곽묘 1기가 확인되었다....
    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계명대학교 행소박물관/한국토지공사 대구경북지역본부 | 발굴지역경상북도

주제어사전(4)

  • /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의 무기 혹은 제기(祭器). 검신의 형태가 비파와 비슷해 붙여진 이름이다. 중국 동북지방에 있는 요하(遼河)를 중심으로 한 요령지방(遼寧地方)에 주로 분포하기 때문에 ‘요령식 동검’이라고도 하며, 광복 전에는 ‘만주식 동검’으로 불렸다. 학자에 따라서는 부여

  • 검은간토기 / ─土器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부터 초기철기시대에 걸쳐 사용된 민무늬토기의 한 형식. 조형은 요령(遼寧)지방의 () 유적에서 출토되는 흑도장경호를 들 수 있다.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목이 긴 항아리가 주류를 이루며, 단면 원형의 점토띠토기(粘土帶土器)와 함께 중부

  • 거친무늬거울 / [역사/선사시대사]

    형태나 변형의 과 같이 출토되는 모습이다.

  • 칼자루끝장식 / 칼자루끝裝飾 [역사/선사시대사]

    우리나라와 만주에서 발견되는 만주형동검[·遼寧式銅劍]과 한국형동검[細形銅劍]의 자루 끝에 장식을 붙이기 위하여 청동이나 돌로 만들어진 장식. 우리나라의 칼자루끝장식은 십자형의 조그마한 석제품과 동제품이 대부분이다. 일본에서는 베개모양[枕型], 그 베개모양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