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비음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9)
사전(75)
- 금산군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문 전문과 고적조에 길재(吉再)의 백세청풍비음기(百世淸風碑陰記) 및 유허비음기(遺墟碑陰記)를 비롯하여 고경명(高敬命)의 순절비음기(殉節碑陰記)가 실려 있다. 금산군읍지 ...
- 闍赤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120 闍赤 관직 其選尤榮, 儒林, 知印尙書 牧隱碑陰記 D_07_01_31 대동운부군옥 7권 1장 3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1장 3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牧隱墓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3_D_0354 牧隱墓 지방 賢哲吉兆, 麒麟峯南麓, 佳氣冲融, 天慳地秘 長白山 碑陰記 D_11_05_24 대동운부군옥 11권 5장 2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5장 2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李文靖穡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348 李文靖穡 인물 此翁堪畫, 引見, 堪畫, 美其風度 京師 高皇帝, 帝 筆苑, 牧隱碑陰記 D_14_04_09 대동운부군옥 14권 4장 9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4장 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牧隱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2429 牧隱 인물 李先生某, 明使, 東來, 精粹, 有道, 譯者, 相語 洪武乙丑 張溥, 周倬 碑陰記 D_12_04_49 대동운부군옥 12권 4장 49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4장 4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1)
- 역주 헌릉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김덕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Ⅰ.《헌릉지》권1 1. 능침 2. 선원보략 3. 헌릉대왕 행장 4. 신도비명 5. 비음기 6. 중건한 비석의 음기 7
고서·고문서(23)
- 어제양경리거사구비음기(御製楊經理去思舊碑陰記)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예술-금석문 | 형식분류고서-금석문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전송문_全宋文4961 高麗寺箚付碑陰記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3698 중국 총서 전송문 049 기타 全宋文4961 高麗寺箚付碑陰記 國家累聖相承 專用仁厚 凡可以敎民●●●●者 必發揚●顯之 雖淨居老子之說 有所不廢 臨安府南山慧因敎院始●禪● 元豊八年 有法師淨源 講學戒行 名聞外國 高麗嘗遣義天航海 請授經旨 神宗皇帝...국가중국 | 서명전송문 | 왕대기타
- 금산군읍지(錦山郡邑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尹鳳五) 형제가 찬(撰)・서(書)한 야은길재백세청풍비음기(冶隱吉再百世淸風碑陰記) 및 유허비음기(遺虛碑陰記)와 1712년 군수(郡守) 여필관(呂必寬)이 지은 제봉고선생경명순절비음기(霽峰高先生敬命殉節碑陰記)가 있다. 또한 진공(進貢)‚ 상납(上納)‚ 요역(徭役)‚ 조적(糶...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거사비(去思碑)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嗟惜甚矣。 卒奉朝賀具允明家, 吊祭等事, 按例擧行, 而其家祀孫, 豈可無從宦乎? 待?服卽爲復職調用, 以示朝家記念勳舊家之意。 耆曰, 臣於向日, 承命奉審於宣武祠碑閣, 則丁丑年所改立楊經理去思碑陰記, 卽賊禧之所撰也。 禧賊, 何等劇逆, 而官銜姓名, 尙在於石面者, 已極驚憤。 況且舊碑...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전원문_全元文548 韓冲 唐太宗詔贈比干太師竝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3744 중국 총서 전원문 019 기타 全元文548 韓冲 唐太宗詔贈比干太師竝祭墓文碑陰記 昔唐太宗東征高麗 ●駕●之故郊 顧昨●壟 悼懷久之 追贈太師 諡曰忠烈封詔祭文 刻石樹碑 歷年之多 諰祥雲衣 저술∙인쇄, 몽원특수관계, ●는 결락이다. 忠烈...국가중국 | 서명전원문 | 왕대기타
주제어사전(16)
-
비음기 / 碑陰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태종(太宗) 헌릉(獻陵) 신도비(神道碑)의 음기(陰記). 개국(開國), 정사(定社), 좌명(佐命) 공신의 성명이 차례대로 새겨져 있다.
-
영천비음기 / 靈泉碑陰記 [문학/고전산문]
고전산문. 영천(靈泉)은 장릉(莊陵)의 제정(祭井)으로, 서영보(徐榮輔)의 《죽석관유집(竹石館遺集》3책에 《영천입석기(靈泉立石記)》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었고, 1791년(정조 15) 찬술되었다.
-
엄참판흥도비음기 / 嚴參判興道碑陰記 [문학/고전산문]
비음기. 강원도 영월에 귀양살이를 하던 단종(端宗)이 세조(世祖)에 의하여 죽자 당시 호장(戶長)이었던 엄흥도(嚴興道)가 시신을 거두어 장례를 치뤘다. 엄흥도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묘표(墓表)의 음기(陰記)로. 1722년(영조 48) 영월부사로 부임한 신광수(
-
기은유고 / 棄隱遺稿 [종교·철학/유학]
(鶴鉉)·경섭(景燮) 등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4수, 권2에 서(書) 1편, 권3에 설 2편, 서(序) 1편, 발 1편, 제문 2편, 도(圖) 1편, 권4는 부록으로 가장·행장·비음기(碑陰記)·묘표·서술(敍述)·묘갈명 각 1편이 수록되
-
옥계유고 / 玉溪遺稿 [종교·철학/유학]
5편, 만시 18수, 유사·비음기 각 1편, 정장 2편, 전·찬·시후 13편, 증유 4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