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비융사”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되었다.그전에는 무비에 힘쓰지 않아 군사들이 두꺼운 종이나 가죽으로 갑옷을 만들어 입었으나 가 설치된 뒤로는 철갑옷이 본격적으로 생산되어 널리 보급되었다.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증...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치형(韓致亨)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윤훈표 1500년(연산군 6) 1504년(연산군 10) 9월 [정의] 조선 연산군 때 철제 갑옷과...
    관련어한치형(韓致亨)
  • 도제조(都提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거나, 또는 제조가 고강을 주도한 뒤 등급을 정할 때 도제조와 상의하기도 하였다[『성종실록』 6년 12월 13일] [변천] 연산군대 ()가 설치되면서 도제조를 두어 의정(議政)이 겸하도록 하였으나, 가 혁파되면서 사라졌다. 이후 도제조는 관서의...
    상위어겸직(兼職), 당상관(堂上官) | 하위어제조(提調) | 동의어도상(都相), 도제주, 도좨주 | 관련어부제조(副提調), 실안도제조(實案都提調), 십학도제조(十學都提調), 오고도제조(五庫都提調)
  • 연산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를 두어 병기를 만들게 했다든가, 변경지방으로 사민(徙民)의 독려, ≪국조보감 國朝寶鑑≫‧≪여지승람 輿地勝覽≫ 등의 수정 등 치적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것은 무도하기 이를 데 없던 폐정(弊政)에 비긴다면 보잘 것 없는 일인 것이다. 즉위 초에는...
  • 갑주(甲胄)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며, 시대적 요청에 따라 정음청(正音廳)과 상의원(尙衣院) 또는 ()에서 담당하였다. 군기감 산하에는 수많은 장인들이 배속되어 관영수공업 형태로 갑주를 제조하였으며, 한 달을 기한으로 무기를 제조하여 수량을 회계하는 월과갑주제(月課甲冑制)로 운영하였다. 한편...
    하위어경번갑(鏡幡甲), 단갑(鍛甲), 두정갑(頭釘甲), 두정미갑(頭丁味甲), 등두구(籐頭口), 면갑(綿甲), 삼승갑(三升甲), 쇄자갑(鏁子甲), 수은갑(水銀甲), 엄심갑(掩心甲), 유엽갑(柳葉甲), 전갑(氈甲), 지갑(紙甲), 철답(鐵甲), 철주(鐵冑), 피주(皮冑) | 관련어갑옷[甲], 투구[冑]

고서·고문서(1)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갑의 생산을 관장하게 하였는데 도제조·제조는 각각 영의정 한치형과 병조판서 이계동이 겸직하였다. 그전에는 무비에 힘쓰지 않아 군사들이 두꺼운 종이나 가죽으로 갑옷을 만들어 입었으나 가 설치된 뒤로는 철갑옷이 본격적으로 생산되어 널리 보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