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붉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동의보감
- 식물학
- 남해 미조리 상록수림
- 보령 외연도 상록수림
연구성과물(14)
사전(13)
- 천금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약재인 천금목(千金木 : 붉나무)의 껍질을 삶은 즙을 섞어 빚은 술. [내용] 『동국이상국집』ㆍ『구황촬요(救荒撮要)』ㆍ『치생요람(治生要覽)』ㆍ『산림경제』ㆍ『임원경제지』ㆍ『양주방』 등에 수록되어 있다. 제조법은 먼저 찹쌀과 볏짚을
- 외연도의상록수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붉나무‧초피나무‧상수리나무‧예덕나무‧민머귀나무‧까마귀밥나무‧회나무‧실거리나무‧자작나무‧때죽나무‧광대싸리‧병아리꽃나무‧화살나무‧새비나무‧쥐똥나무 등도 있다. 이 중 큰 나무로서는 팽나무가 높이 20m, 가슴높이의 줄기지름 1.4m로서 가장 크며, 지름이 1m 이...연계항목외연도의상록수림(外煙島의常綠樹林)
- 임실관촌면의산개나리군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무‧느티나무‧붉나무‧국수나무‧장구밥나무‧칡‧찔레꽃‧으름‧멍석딸기‧쥐똥나무‧까마귀베개 등이 자라고 있다. 산개나리는 북한산‧관악산, 그리고 수원 화산에 주로 자랐는데 그간 많이 훼손되어 없어진 곳도 있어 지금은 찾아보기 어렵다. 산개나리의 분포가 지금까지 중부에만...연계항목임실관촌면의산개나리군락(任實館村面의산개나리群落)
- 괴산추점리의미선나무자생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무 이외에 나도국수나무‧두릅나무‧새‧붉나무‧칡‧청미래덩굴‧굴피나무‧산딸기‧개회나무‧다래‧시무나무‧개머루‧노박덩굴‧찔레꽃‧담쟁이덩굴‧멍석딸기‧사위질빵 등이 자라고 있다. 미선나무는 겨울에 잎이 떨어지는 작은 관목으로 물푸레나무과에 속한다. 일속(一屬) 일종(一種)...연계항목괴산추점리의미선나무자생지(槐山楸店里의미선나무自生地)
- 물건방조어부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쥐똥나무‧누리장나무‧붉나무‧보리수나무‧두릅나무‧병꽃나무‧화살나무 등이다. 그 사이에는 인동덩굴‧담쟁이덩굴‧새머루‧줄딸기‧청미래덩굴‧청가시덩굴‧댕댕이덩굴‧복분자딸기‧노박덩굴‧개머루‧송악 등의 덩굴식물이 자라고 있다. 19세기 말엽 이 숲의 일부를 벌채하였다...연계항목물건방조어부림(勿巾防潮魚付林)
멀티미디어(1)
- 18세기 중반 붉나무진[安息香]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596_18세기_중반_붉나무진[安息香] 경제_159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주제어사전(1)
-
붉나무 / Rhus javanica L. [과학/식물]
옻나무과 옻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소교목. 잎은 어긋나기를 하고 홀수 1회 짝수겹잎이다. 잎의 길이는 30∼40㎝로 잎줄기에 날개가 있다. 소엽은 7∼13개로 달걀 모양의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뾰족 끝 또는 짧은 뾰족 끝이다. 소엽의 길이는 5∼12㎝, 너비는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