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붉가시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1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참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 [내용] 목재의 빛깔이 붉기 때문에 라 하며, 학명은 Quercus acuta THUNB.이다. 높이 20m, 지름 60㎝ 이상으로 자라는 나무로 어린 가지에는 갈색 털이 밀포한다. 잎은 어긋...
  • 함평의자생북한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기각리 에 있는 자생북한지. [내용] 천연기념물 제110호. 면적 33㎡. 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교목으로서 줄기가 곧게 서고 수피는 녹회흑색이며 일...
  • 도동의섬개야광나무섬댕강나무군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섬댕강나무는 자취를 감추어 가고 있어 특별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절벽 밑의 급경사지에는 ‧후박나무‧참식나무‧동백나무 등 많은 수종이 자생하고 있다. 文化財大觀‧天然記念物編‧(文化財管理局, 1993)
  • 완도맹선리의상록수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모밀잣밤나무‧‧후박나무‧생달나무‧까마귀쪽나무‧동백나무‧종가시나무 등 커다란 상록수를 비롯하여 광나무‧돈나무‧우묵사스레피나무‧섬회양목 등 상록관목, 송악‧보리밥나무와 같은 상록만생식물 등 총 20종 250여 그루가 모여 방풍림의 구실을 한다. 도서지대의...
    연계항목완도맹선리의상록수림(莞島孟仙里의常綠樹林)
  • 안덕계곡상록수림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처럼 둘러쳐져 있는 계곡의 양쪽 언덕에서 자라고 있다. 절벽 밑 냇가의 바위틈에서 바위고사리‧선바위고사리‧수수고사리‧쇠고사리 및 별고사리 등 고사리류가 자라고, 냇가의 사면과 절벽 위에서는 ‧가시나무‧구실잣밤나무‧동백나무‧종가시나무‧생달나무‧후박나무‧참...

주제어사전(3)

  • / Quercus acuta THUNB. [과학/식물]

    참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 높이 20m, 지름 60㎝ 이상으로 자라는 나무로 어린 가지에는 갈색 털이 밀포한다.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 또는 긴 난형으로 길이 7∼13㎝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1가화로서 5월에 피고 열매는 길이 2㎝로서 다음해 10월에 익는

  • 보령 외연도 상록수림 / 保寧 外煙島 常綠樹林 [과학/식물]

    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숲을 구성하고 있는 상록활엽수종에는 후박나무·동백나무·식나무·보리밥나무·먼나무·무룬나무·돈나무·자금우··개산초나무·마삭나무·황칠나무 등이 있으며, 담쟁이덩굴·국화으아리·방기·사위질빵·계요등·칡·왕머루·청미래덩굴·노박덩굴·댕댕이덩굴

  • 완도맹선리의상록수림 / 莞島孟仙里―常綠樹林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소안면 맹선리에 있는 상록수림. 천연기념물 제340호. 면적 8,506㎡. 소안도(所安島) 해안가 언덕 위에 발달해 있는 길이 약 300m, 폭 약 35m에 이르는 숲으로 모밀잣밤나무··후박나무·생달나무·까마귀쪽나무·동백나무·종가시나무 등 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