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불함문화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7)
- 불함문화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비롯한 한국 고대사 연구에 투신하였다. 특히, 최남선은 한국 고대문화의 세계사적 위치를 밝히려 노력했는데, 그의 이러한 입장이 1925년에 저술한 이 ‘불함문화론’에 집중적으로 표현되었다. 불함문화론은 1918년에 발표된 「계고차존(稽古箚存)」의 집필 과...
- 불함문화론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25년 최남선(崔南善, 1890-1957)이 일제의 식민사관(植民史觀)에 대항해 한국 고대문화의 세계사적 위치를 밝히려고 전개한 사론(史論).정의1925년 최남선(崔南善, 1890-1957)이 일제의 식민사관(植民史觀)에 대항해 한국 고대문화의 세계사적 위치를 밝히려고 전개한 사론(史論).[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Bulham munhwaron | MR표기Purham munhwaro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최남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발표한 <계고차존 稽古箚存>에서 비롯된다. 이 글은 당시로 보아서는 상당 수준의 논문으로 그 내용이 단군시대에서부터 부여‧옥저‧예맥 등에 걸치는 것이었다. 1920년대에는 <조선역사통속강화 朝鮮歷史通俗講話>‧<삼국유사해제 三國遺事解題>‧<불함문화론 不咸文化論>‧...이칭별칭 공륙(公六)| 육당(六堂), 한샘, 남악주인(南嶽主人), 곡교인(曲橋人), 육당학인(六堂學人), 축한생(逐閑生), 대몽(大夢), 백운향도(白雲香徒)
- 환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실천에 의해 성립된 역사적 사실을 상징한다. 三國遺事 帝王韻紀 新增東國輿地勝覽 不咸文化論(崔南善, 六堂崔南善全集 2,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73) 한밝思想考(李鍾益, 建大學報 10, 1964) ...
- 수목숭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신앙의 뿌리였다고 볼 수 있다. 三國遺事 帝王韻紀 韓國民俗考(宋錫夏, 日新社, 1960) 韓國의 神話(金烈圭, 一潮閣, 1976) 不咸文化論(六堂崔南善全集, 현암사, 1973) 朝鮮巫俗考(李能和,...
고서·고문서(1)
- 읍루의 위치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通焉 云卽古肅愼之國也 …… 其國在不咸山北 在夫餘東北千餘里 ① 『增補文獻備考』 卷13 輿地考1 歷代國界1 挹婁國 挹婁國 肅愼氏 一名挹婁 在不咸山北 …… 後漢書云 在不咸山北 夫餘東北 廣袤數千里 최남선, 1925, 「불함문화론」; 1973, 『육당최남선전집』 2, 현암사. ...권차『冊府元龜』 卷956 外臣部 種族 | 기사해제본 기사는 읍루가 숙신의 후예라는 사실과 함께 그 위치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신문·잡지(1)
- 민세안재홍전집 : 夫累神道와不咸文化論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439 1928 1 1 安在鴻(무기명) 안재홍 夫累神道와不咸文化論 문서류 미상 논문 역사 직접자료 4권 崔致遠, 風流道, 三國遺事, 夫餘神, 弘益人間, 接化群生, 在世理化 D19280000미상01출처형태문서류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연구과제(2)
-
한국 선도사상의 3수문화-선도문헌과 대종교계열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조남호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 2013 | 국내 | 충남
-
한국인의 기원 신 연구 –생물인류학과 고고학의 융합적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배기동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2013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1)
-
불함문화론 / 不咸文化論 [역사/근대사]
1925년 최남선이 전개한 역사이론. 일제의 식민사관(植民史觀)에 대항해 한국 고대문화의 세계사적 위치를 밝히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최남선의 불함문화론은 한국사의 독자성에 대한 인식을 높여 주었고, 한국 고대사, 특히 고대 사상사 연구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그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