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불씨잡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
사전(30)
- 불씨잡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398년(태조 7)에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정도전(鄭道傳)이 저술한 불교 비판서. ≪삼봉집 三峰集≫ 제9권에 수록되어 있다. 정도전은 ≪불씨잡변≫의 저술을 마친 뒤, 권근(權近)에게 서문을 부탁하였다. 그러나 수개월이 지난 같은 해 8월에 왕자의 난으로
- 불씨잡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398년 정도전(鄭道傳, 1342-1398)이 지은 불교 비판서.정의1398년 정도전(鄭道傳, 1342-1398)이 지은 불교 비판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Bul Ssi japbyeon | MR표기Pul Ssi chappy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佛氏雜辨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10_D_0079 佛氏雜辨 경서·경학 輪迴, 因果, 心性, 作用是性, 心迹, 昧於道器, 毁棄人倫, 慈悲, 眞假, 地獄, 禍福, 乞食, 禪敎, 儒釋同異, 闢異端 鄭道傳 本集 D_11_04_44 대동운부군옥 11권 4장 4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4장 4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眞假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10_D_0093 眞假 경서·경학 鄭道傳 佛氏雜辨, 本集 D_11_09_10 대동운부군옥 11권 9장 1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9장 1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벽불(闢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벽불 벽불 闢佛 불씨잡변(佛氏雜辨), 불교(佛敎) 문화인문학/유학|왕실/왕실문화 개념용어 이형성 [정의] 유학자들의 불교 배척. [개설] 조선은 건국 초기 유교를 국교로 삼으면...관련어불씨잡변(佛氏雜辨), 불교(佛敎)
고서·고문서(1)
- 삼봉선생불씨잡변(三峯先生佛氏雜辯)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주제어사전(2)
-
불씨잡변 / 佛氏雜辯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의 유학자 정도전의 불교 비판에 관한 논문. <삼봉집> 권6에 수록되어 있다. 19편의 논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불교의 교리와 그 사회적 폐단을 비판하였다. 불씨윤회지변, 불씨인과지변 등 앞부분에서는 불교의윤회설, 인과설, 심성설, 심적설 등을 유교의 입장에서
-
배불론 / 排佛論 [종교·철학/불교]
말에 성리학의 도입과 함께 배불론이 일기 시작했다. 대표적 인물은 정도전, 권근이다. 저서로는 <불씨잡변> <심기리편> <양촌집> <심기리편서>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