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불설아미타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4)
사전(19)
- 불설아미타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혜(安惠)의 글씨를 받아 새겼음을 알려주고 있다. 이 판본의 번각판(飜刻版)으로 1702년(숙종 28)경상도 고성 와룡산 운흥사판(雲興寺版)과 1753년(영조 29)대구광역시 팔공산 동화사판(桐華寺版)이 알려져 있다. 불설아미...연계항목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
- 불설아미타경언해(佛說阿彌陀經諺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불설아미타경언해 불설아미타경언해 佛說阿彌陀經諺解 종교불교/국어 문헌 한국 조선 세조, 숙종 성낙수 박종국 2014 세조(世祖) 간경도감(刊經都監) 1464년(세조 10) 1책 ...
- 감지금은니불설아미타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감색 종이에 금‧은니로 쓴 아미타경. [내용] 각 쪽 세로 22㎝, 가로 8.5㎝. 1341년(충혜왕 복위 2)에 제작되었으며, 현재 영국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고려사경이 그렇듯이 작은 사각형 책자 형태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제...
- 염불작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75년(선조 8) 간행된 염불의식집. [내용] 1책. 목판본. 전라남도 담양군 용천사(龍泉寺)에서 간행되었다. 권두에 「신묘장구다라니(神妙章句陀羅尼)」가 있고 『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이 합철되어 있다. 이
- 왕랑반혼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년에 간행된 『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에 『궁원집(窮原集)』에서 인용한 「왕랑전」(한문)이 수록된 것으로 보아 「왕랑전」 한문원작은 14세기 이전의 작품임이 밝혀졌다. 보우는 전대의 「왕랑전」(한문)을 부연, 윤색하여 국문으로 옮겼던 것인데, 『권념요록』...이칭별칭왕랑전
고서·고문서(2)
- 불설아미타경요해(佛說阿彌陀經要解)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불교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불설아미타경요해(佛說阿彌陀經要解)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불교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신문·잡지(13)
- 불설아미타경소(佛說阿彌陀經疏)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불설아미타경소(佛說阿彌陀經疏) 1 佛說阿彌陀經疏 불설아미타경소 형태서지 [元曉] [新羅] [韓國] 木版本 1冊 善通寺宝物館 一般 セ1-115-13-2 ...대표표제어불설아미타경소(佛說阿彌陀經疏) 1 | 대표서명佛說阿彌陀經疏 | 한글서명불설아미타경소 | 서지형태형태서지
- 불설아미타경소(佛說阿彌陀經疏)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불설아미타경소(佛說阿彌陀經疏) 2 佛說阿彌陀經疏 불설아미타경소 형태서지 元曉 [新羅] [韓國] 1694年(元禄 7) 1卷 T37, p.348. ; H1,대표표제어불설아미타경소(佛說阿彌陀經疏) 2 | 대표서명佛說阿彌陀經疏 | 한글서명불설아미타경소 | 서지형태형태서지
- 불설아미타경소(佛說阿彌陀經疏)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불설아미타경소(佛說阿彌陀經疏) 3 佛說阿彌陀經疏 불설아미타경소 형태서지 元曉 [新羅] [韓國] 1700年(元祿 13) 1卷 T37, p.348. ; H1,...대표표제어불설아미타경소(佛說阿彌陀經疏) 3 | 대표서명佛說阿彌陀經疏 | 한글서명불설아미타경소 | 서지형태형태서지
- 불설아미타경소(佛說阿彌陀經疏) 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불설아미타경소(佛說阿彌陀經疏) 4 佛說阿彌陀經疏 불설아미타경소 형태서지 元曉 [新羅] [韓國] 1658年(明曆 4) 合本 T37, p.348. ; H1,대표표제어불설아미타경소(佛說阿彌陀經疏) 4 | 대표서명佛說阿彌陀經疏 | 한글서명불설아미타경소 | 서지형태형태서지
- 불설아미타경소(佛說阿彌陀經疏) 5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불설아미타경소(佛說阿彌陀經疏) 5 佛說阿彌陀經疏 불설아미타경소 형태서지 佛說阿彌陀經疏 元曉 述 新羅 韓國 木板本 南京 金陵刻經處 1881年(光緒 7...대표표제어불설아미타경소(佛說阿彌陀經疏) 5 | 대표서명佛說阿彌陀經疏 | 한글서명불설아미타경소 | 서지형태형태서지
주제어사전(2)
-
불설아미타경 / 佛說阿彌陀經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석가류(釋家類) 천태대사 지의(智顗), 세조(世祖) 역해, 목판본, 팔공산동화사, 1753년(영조 29), 불분권 1책(서 5장, 본문 29장, 부록 왕즉반혼전 10장, 임종정연결 5장, 부모효양문 2장, 합 51장). 정토에 관해 설한 경전인《佛說阿
-
아미타경언해 / 阿彌陀經諺解 [언어/언어/문자]
『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을 언해한 책. 불분권(不分卷) 1책. 언해문은 『월인석보』 권7의 후반부에 나오는 『석보상절』 부분과 거의 같다. 내제(內題) 다음에 ‘어제역해(御製譯解)’라 한 점과 함께 세조의 언해임을 밝혔다. 종래 1464년(세조 10) 간경도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