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분순부위” 에 대한 검색결과 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

사전(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 무산계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초기양반연구(朝鮮初期兩班硏究)』(이성무, 일조각, 1980)
    이칭별칭진용부위(進勇副尉)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산계명(散階名), 서반(西班), 진용부위(進勇副尉)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신명호 [정의] 무산계(武散階) 종7품의 관계(官階). [내용] ...
    관련어산계명(散階名), 서반(西班), 진용부위(進勇副尉)
  • 종칠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종7품 문무관 처의 직명은 안인(安人)이라고 하였다. 한편, 1457년(세조 3)에 토관계의 종7품 문계로 주공랑(注功郎)이, 무계로는 수의도위(守義徒尉)를 신설하였다. 그리고 잡직계는 1444년(세종...
  • 안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국대전』에는 정7품과 종7품의 문무관 처에게 봉해지도록 격하되었다. 남편의 경우 문관은 정7품 무공랑(務功郎), 종7품은 계공랑 (啓功郎)으로, 무관은 정7품 적순부위(迪順副尉), 종7품은 ()로 세분되었으나 그 부인을 통칭하여 안인이라 하였다...
  • 안진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18(태종 18)∼?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충주(忠州). 지선(止善)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홍조(弘祚)이고, 아버지는 자립(自立)이며, 어머니는 구종절(具宗節)의 딸이다. 1469년(예종 1) ()로 있...

고서·고문서(13)

  • 嘉靖四年에 黃士雄을 에 임명하는 敎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1079 0552_01 嘉靖四年에 黃士雄을 에 임명하는 敎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황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黃士雄 한자 고문서 SH018.JPG 嘉靖四年에 黃士雄을 에 임명하는 敎旨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황규욱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嘉靖四年에 黃士雄을 에 임명하는 敎旨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1080 0552_02 嘉靖四年에 黃士雄을 에 임명하는 敎旨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황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黃士雄 한자 고문서 SH018.hwp 兵曹嘉靖三年二月 二十四日奉 敎修義副尉黃士雄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황규욱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1671년 안음(安崟)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71년(현종12)10월에 병조에서 안음을 () 충무위부사정(忠武衛 副司正)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 는 종7품의 무관 품계이다. 충무위는 조선시대 중앙군인 5위(衛)의 하나이며, 부사정은 5위에 속해 있던 종7품 무관직이다. 이는...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보성 겸백 죽산안씨 송촌가
  • 1470년 정옥견(鄭玉堅)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70년에 5월 3일에 병조에서 성종의 명을 받아 종9품 충찬위종사랑정옥견의 품계를 종7품 로 올려주었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471년 정옥견(鄭玉堅)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71년 2월 6일에 병조가 성종의 명을 받아 충찬위정옥견의 품계를 에서 적순부위로 올려주었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7품 무신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무산계가 제정될 때 종7품 무산계는 진용부위(進勇副尉)로 정하였다.그런데 진용부위는 1466년(세조 12)에 ()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 부사정 / 副司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종7품 관직. 초기에는 섭사정(攝司正)이라 하였으나 1466년(세조 12) 1월에 종7품의 부사정으로 변개하여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경국대전≫ 당시의 정원은 309인이었으나 후기에 오위의 기능이 유명무실화되면서 그 수도 250인으로 감해졌으며

  • 종칠품 / 從七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4등급의 품계.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종7품 문산계는 계공랑(啓功郎), 무산계는 진용부위(進勇副尉)로 정하였다. 그런데 무산계의 진용부위는 뒤에 ()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 안인 / 安人 [정치·법제/법제·행정]

    격하되었다. 남편의 경우 문관은 정7품 무공랑, 종7품은 계공랑으로, 무관은 정7품 적순부위, 종7품은 로 세분되었으나 그 부인을 통칭하여 안인이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