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분무공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
사전(40)
- 권희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등지에서 전공을 세워 난을 평정, 분무공신(奮武功臣) 3등에 책록되고 가의대부(嘉義大夫)에 올라 화원군(花原君)에 봉해졌다. 그 뒤 곤양군수ㆍ운산군수ㆍ장연부사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역임하면서 선정을 베풀어 그 업적이 오래도록 칭송되었다. ...이칭별칭 문중(文仲)| 감고당(感顧堂)|화원군(花原君)
- 분무공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勳號) 또는 그 훈호를 받은 사람. [내용] 1등은 실제로 난의 진압을 총지휘한 병조판서 오명항(吳命恒)으로,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輸...
- 분무공신(奮武功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분무공신 분무공신 奮武功臣 공신(功臣)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輸忠竭誠決幾效力奮武功臣), 수충갈성결기분무공신(輸忠竭誠決幾奮武功臣), 수충갈성분무공신(輸忠竭誠奮武功臣) 이인좌(李麟佐)의 난(亂), 무신난(戊申亂) 정치인사/녹훈 개...상위어공신(功臣) | 하위어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輸忠竭誠決幾效力奮武功臣), 수충갈성결기분무공신(輸忠竭誠決幾奮武功臣), 수충갈성분무공신(輸忠竭誠奮武功臣) | 관련어이인좌(李麟佐)의 난(亂), 무신난(戊申亂)
- 공신적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친공신(親功臣)의 적장자손(嫡長子孫). [내용] 1392년(태조 1)의 개국공신 이후 1728년(영조 4)의 분무공신(奮武功臣)까지 조선시대에는 전후 28차례에 걸쳐 공신이 배출되었는데 이들의 적장자손을 말한다. 조정에...
- 박문수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현재 종손가에 전해오는 박문수영정은 대본과 소본 2점이며, 그 중 대본은 분무공신상(奮武功臣像)으로서, 공신상의 전형적 형식을 보여 준다. 당시 38세의 젊은 모습인데 갈매식 포(袍)를 입고, 두 손을 마주 잡은 공수(拱手) 자세를 취하고 의자에 앉은 전신상으...연계항목박문수영정(朴文秀影幀)
고서·고문서(2)
- 학암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部를 연결시켜 검찰하고 路人의 법으로 나루와 도성 출입을 절제할 수 있도록 할 것 등을 주장했다. 辭錄勳疏 (16) 1728. 李麟佐의 난에서 세운 공으로 奮武功臣으로 봉해진 뒤 錄勳을 사직하는 상소. 적을 치러 가지도 않고 궁궐 문을 십 수 일간 지킨 것만으로는...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가오고략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4) 李麟佐의 난이 발생했을 때 四路都巡撫使 吳命恒의 종사관으로 종군하고 난이 진압된 후 奮武功臣 및 豊原君에 책봉되었던 것을 상세히 서술했다. 성품이 중후했고 선견지명이 있었으며, 가문의 일과 부모의 봉양에 정성을 다했음을 강조했다. 副元帥錦南君忠武鄭公神道碑 (17...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5)
-
분무공신 / 奮武功臣 [역사/조선시대사]
1728년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 또는 그 훈호를 받은사람. 1등은 병조판서 오명항으로,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이라 하였다. 2등은 박찬신·박문수·이삼·조문명·박필건·김중만·이만빈 등 7인으로 수충갈성효력분무공신이라 하였다.3등은
-
이보혁 / 李普赫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4∼1762). 1728년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우방장으로 영남에서 기병한 정희량의 난을 토벌한 공으로 분무공신 3등이 됐으며 인평군에 봉하여졌다. 1733년에 동의금·호조참판을 거쳐, 병조참판을 역임했다. 1738년 공홍도관찰사로 재직 중
-
조현명 / 趙顯命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0∼1752). 이인좌의 난이 진압된 뒤 분무공신 3등에 책록되고, 풍원군에 봉해졌으며, 이후 도승지·경상도관찰사·공조참판·부제학, 이조·병조·호조판서 등의 요직을 거쳐 우의정·좌의정·영의정에 이르렀다. 영조의 탕평책을 지지하였다. 저서로는
-
김길통좌리공신교서 / 金吉通佐理功臣敎書 [역사/조선시대사]
어보가 찍혀 있다. 조선시대에는 1392년(태조 1)의 개국공신에서 1728년(영조 4)의 분무공신(奮武功臣)까지 모두 28회의 공신이 책록되었는데, 이 좌리공신은 제8회에 해당된다. 좌리공신교서는 3등공신인 이숭원(李崇元)에게 사급된 것도 보물 제651호로 지정된 바
-
김중만장군공신록및교지 / 金重萬將軍功臣錄─敎旨 [언론·출판/출판]
1728년 무신 김중만을 분무공신 2등에 책록한 교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0호. 문서는 모두 3점으로, 교서 1점, 교지 2점이다. 1728년 7월에 작성된 교서(敎書, 공신록)에는 1등 공신에 오명항, 2등 공신에 김중만·박찬신(朴讚新)·박문수(朴文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