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분강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安東郡, 1978) 慶尙北道史(慶尙北道, 1983) 경북 안동시 도산면 운곡리에 있는 서원. 1613년(광해군 5)에 이현보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향현사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 이현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추모] 1612년(광해군 4) 향현사(鄕賢祠)에 제향됐다가 1700년(숙종 26)예안의 ()에 제향됐다. 시호는 효절(孝節)이다. 『농암집(聾巖集)』 『농암선생연보(聾巖先生年譜)』
    이칭별칭 비중(?仲)| 농암(聾巖), 설빈옹(雪?翁)| 효절(孝節)
  • 유중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요한 인물로 인식되었다. 안동의 타양서원(陀陽書院)과 예안의 ()에 위패가 봉안되었다. 저서로는 『파산유고(巴山遺稿)』가 있다. 『눌은집(訥隱集)』 『도산급문제자록(陶山及門諸子錄)...
    이칭별칭 경문(景文)| 파산(巴山)
  • 금강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李賢輔)를 봉향하기 위하여 지은 ()의 건축내력을 서술한 기, 정구(鄭逑)를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봉안하면서 그의 학행과 국가‧사문(斯文)에 끼친 공로를 찬양한 내용의 제문, 홍익한(洪翼漢)‧윤집(尹集)‧오달제(吳達濟)의 삼열사(三烈士)를 장암서원(壯巖書...
  • 농암이현보선생유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96∼1857)의 천거로 이재관(小塘 李在寬 1783∼1837)이 예안의 에 내려와 그렸다고 한다. 이 그림은 원본과 같은 규격의 매우 충실한 모사본으로서 원본을 가감없이 정확히 옮기고자 한 의도가 엿보인다. 이 후사본에서 보이는 가장 두드러진 원본(...

고서·고문서(2)

  • 1913년 안동군 도산면(陶山面) 운곡동(雲谷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황정, 道谷(도실), 葛谷(갈골), 泉谷(西岩, 샘골, 새암골) 등으로 불리는 자연마을이 있다. 도실. 도곡에는 농암 聾巖 李賢寶를 향사하는 과 농암종택의 肯構堂, 재실인 道谷齋舍 등이 있으며, 황정에는 농암 이현보의 증손자며 간재 이덕홍의 차남인 이립이 입향해...
    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현소장처안동시청
  • 하였다. 이어서 巖棲齋‧玩樂齋‧洌井‧觀瀾軒‧時習齋‧隴雲精舍‧天淵臺‧濯纓潭‧盤陀石‧雲影臺 등을 돌아보았다고 하였으며, 그밖에 聾巖선생의 愛日堂과 그 아래에 있는 을 비롯하여 5리쯤 떨어져 있는 易東書院에는 바빠서 미처 가보지 못한 것이 한이 된다고 간략하게 기록하...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운곡리에 있는 서원. 1613년(광해군 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현보(李賢輔)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향현사(鄕賢祠)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1700년(숙종 26)에 서원으로 개편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