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북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2)
- 북혜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왕실에서 신는 흑색의 남자 신. 영조28년(1752), 왕실과 각 전궁(殿宮)의 탄일, 명절, 연례 진상의 정례 규정을 기록한 상방정례尙方定例에 의하면 북혜의 겉감은 흑녹피로 하고 내공(內拱)은 백당피로 하였다. 근피(跟皮)는 자사피(紫斜皮)를 대고 휘(揮)감과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익산시(전라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개칭되었다. 교육기관으로는 2008년 현재 초등학교 63개 교, 중학교 26개 교, 고등학교 18개 교, 원광보건대학과 익산대학한국폴리텍V 익산캠퍼스 등 전문대학 3개 교, 원광대학교, 그리고 특수학교 2개 교(전북맹아학교, 전북혜화학교)가 있다.이칭별칭금마저
고서·고문서(1)
- 樂浪別考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以塞樂浪之路。” ○“十三年夏五月,王謂臣下曰,‘國家東有樂浪,北有靺鞨,侵軼疆境,小有寧日。余觀漢水之南,土壤膏腴,宜都於彼,以圖久安。’” ○鏞案 此時百濟國都,在於漢水之北,【卽尉禮城。在今京城東北惠化門外。詳見〈慰禮考〉】 故徙都漢南。若然,樂浪之國,明亦在漢水之北也。溫祚之言曰‘東有樂浪’...권차명我邦疆域考 其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1)
-
북혜 / 北鞋 [생활]
왕실에서 신는 흑색의 남자 신. 영조 28년(1752), 왕실과 각 전궁의 탄일, 명절, 연례 진상의 정례 규정을 기록한 <상방정례>에 의하면 북혜의 겉감은 흑녹피로 하고 내공은 백당피로 하였다. 근피는 자사피를 대고 휘감과 회이감은 백당피로 둘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