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북한치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7)
- 북한치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창건한 것이다. 1714년에 나라에서는 남한치영과 북한치영의 의승군 정원을 책정하고 연 6차의 방번제(防番制)를 시행하였는데, 북한산성의 방번승(防番僧)은 351인이었다. 1756년(영조 32)에는 방번제로 인한 지방 각 사원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하여 이 제도를...
- 상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 미약하여 퇴락하였다가 최근 법당을 중건하고 요사채를 다시 세워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산신각‧요사채 등이 있다. 특기할 만한 문화재는 없으나 조선 중기 이후 북한치영(北漢緇營)의 승려들이 머물렀던 사찰로 추정된다. 절 뒤에는 원효대사...이칭별칭노적사(露積寺)
- 북한승장(北漢僧將)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북한승장 북한승장 北漢僧將 북한치영(北漢緇營), 도총섭(都摠攝), 총섭(總攝), 영승(領僧), 총융청(摠戎廳), 승영(僧營), 승군(僧軍), 승역(僧役) 문화종교/불교 직역 대한민국 조선 오경후관련어북한치영(北漢緇營), 도총섭(都摠攝), 총섭(總攝), 영승(領僧), 총융청(摠戎廳), 승영(僧營), 승군(僧軍), 승역(僧役)
- 유점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759년(영조 35) 불에 타자 북한치영(北漢緇營)의 승병대장 보감(寶鑑)이 와서 10년의 공사 끝에 중건하였다. 현재의 당우는 53불을 안치한 능인전(能仁殿)을 비롯하여 수월당(水月堂)‧연화사(蓮華社)‧제일선원(第一禪院)‧반룡당(盤龍堂)‧의화당(義化堂)‧서래...
- 의승방번전(義僧防番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의승방번전 의승방번전 義僧防番錢 남한치영(南漢緇營), 북한치영(北漢緇營), 부역(負役), 승군(僧軍), 승역(僧役), 급료병(給料兵) 문화종교/불교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 오경후관련어남한치영(南漢緇營), 북한치영(北漢緇營), 부역(負役), 승군(僧軍), 승역(僧役), 급료병(給料兵)
주제어사전(1)
-
북한치영 / 北漢緇營 [종교·철학/불교]
조선 후기 북한산에 있었던 의승군의 병영. 북한산성은 1711년(숙종 37) 4월 축성에 착수하여 9월에 완공되었다. 이에 의승군으로 성을 수비하였다. 편제는 승대장 1인, 중군·좌우별장·천총·파총·좌우병방 각 1인, 교련관·기패관·중군병방 각 2인, 오기차지 1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