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북학의” 에 대한 검색결과 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4)

사전(5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778년(정조 2) 실학자 박제가(朴齊家)가 청나라의 풍속과 제도를 시찰하고 돌아와서 그 견문한 바를 쓴 책. 2권 1책. 사본. ‘’에서 ‘북학’이란 ≪맹자≫에 나온 말로 중국을 선진 문명국으로 인정하고 겸손하게 배운다는 뜻을 담고 있다. 저자는 청년...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778년 실학자 박제가(朴齊家, 1750-1805)가 청(淸)나라의 풍속과 제도를 시찰하고 돌아와서 그 견문한 바를 쓴 책.
    정의1778년 실학자 박제가(朴齊家, 1750-1805)가 청(淸)나라의 풍속과 제도를 시찰하고 돌아와서 그 견문한 바를 쓴 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Bukhagui | MR표기Pukhagŭ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북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북학은 이러한 학문적 토대 위에서 나왔다. 홍대용이 논리를 키운 데에는 중국 북경으로의 연행(燕行) 경험 또한 크게 작용했다. 1765년(영조 41)에 숙부인 억(檍)이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갈 때 군관(軍官)으로 그를 수행하였던 홍대용은 북경에서 청...
    이칭별칭이용후생지학(利用厚生之學)|이용후생학(利用厚生學)
  • 평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안하였다. 평차는 중돌‧누각기둥 따위의 재목을 나르는 데 썼으며, 많으면 소 10∼11마리, 적으면 4,5마리가 끌었다. 『()』에 의하면 조선 후기의 실학파 학자들은 당시의 중국의 수레에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수레는 비실용적이라고 보았다. 즉...
  • 정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속에서도 지조를 견지하려는 지향과 소망을 담은 것이기도 하다. 이 책의 내용은 목록에 이어 서(序)‧정유시집‧정유문집‧내편‧외편으로 되어 있다. 말미에는 신석호(申奭鎬)의 해제가 있다. 서두에는 박지원(朴趾源)과 중국인 이조원(李調元)과 진전(陳鱣)의...

단행본(1)

  • A Korean Scholar’s Rude Awakening in Qing China: Pak Chega’s Discourse on Northern Learning() [Historical Materials Round Two |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저자 : 계승범 외 2인 ... | 출판사 : University of Hawaii Press | 출판일 : 20190731
    유형단행본

고서·고문서(9)

  •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 卷之七○別集 潘南朴趾源美齋著 鍾北小選○序 序 : ‘창중’, ‘승계’에는 ‘本議, 朴齊家所作. ○若曰先生只一文人, 則安能憂時憫俗, 至於此極?’이라는 제하평이 있음. ‘승계’의 경우, ‘憂時憫俗’의 ‘憫’이 ‘悶’으로
    대표표제어北學議序 | 목차鍾北小選○序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利用監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朴齊家所著《》六卷,其後又見故儒臣朴趾源所著《熱河日記》二十卷,其載中國器用之制,多非人意之所能測。昔將臣李敬懋嘗謂臣 曰:“今兵器ㆍ火器,皆是新制,日本鳥銃,今爲古調。此後南ㆍ北有憂,不復以鳥銃ㆍ鞭棍至矣。今之急務,在於北學中原。” 誠識務之言也。臣謂 別設一司,名之曰利用監,專以北學爲職。...
    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農以牛作,誠欲勸農,宜戒屠殺而勸畜牧。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b.itkc.or.kr/inLink?DCI=ITKC_MP_0597A_1270_010_0090_2015_028_XML 028 朴齊家《》云:“中國之俗,牛不穿鼻。惟南方水牛性猛,故穿鼻。或有我牛自西北開市而來者,東牛鼻梁低易辨。初來角雖臃腫不均,能揉之。使瑩有全蒼者,曾所未見...
    권차명牧民心書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기초학문(1)

  • 조선의 경장을 기획한 또 하나의 : 설수외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0
    67954 한국연구재단 우리한문학회 2010 조선의 경장을 기획한 또 하나의 : 설수외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2)

  • 사를 한 개의 신화에서 이탈시켜 과학적으로 비판 분석한 명저다. 청소년 계몽용으로 대화체로 꾸미고 많은 삽화를 넣었다. 차회 간행(8월 말 발매 예정) 제3부 제1책 초정 박제종 원작 고전문화연구회 역주 유교사상이 풍성하든 이조 말엽에 실사구시 학파로 유명...
    대표표제어만세보_1947_0811_02 | 책임주필곽복산
  • 이제스트 (2)-박제가의 이근영 73 농촌법률해설 (7)-부부사이의 법률문제 (1) 장현태 76 세계의 지붕밑 (2)-나일강에 흐르는 낙...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2

기타자료(2)

  • (연재교양) 박제가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연재교양) 박제가의 (연재교양) 박제가의 (연재교양) 朴齊家의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원호 | 사료철명문교행정
  • 우리 나라 고전에 나타난 생산 기술 교육 (와 연암집을 중심한 사구실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우리 나라 고전에 나타난 생산 기술 교육 (와 연암집을 중심한 사구실시) 우리 나라 고전에 나타난 생산 기술 교육 (와 연암집을 중심한 사구실시) 우리 나라 고전에 나타난 생산 기술 교육 (와 燕岩集을 중심한 事求實是)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상덕 | 사료철명부산교육

주제어사전(2)

  • / [역사/조선시대사]

    1778년(정조 2) 실학자 박제가가 청나라의 풍속과 제도를 시찰하고 돌아와서 그 견문한 바를 쓴 책. 2권 1책. 사본. 내외편 각 1권으로 되어 있는 이 책의 내편은 거·선·성·벽·와·옹·단·궁실·창호·계체·도로·교량·축목·우·마·여·안·조·시정·상고·은·전·철·재

  • 진상 / 進上 [언론·출판]

    저자 박제가(1750-1805). 필사본. 책의 구성은 1책 23장이다. <진상>는 제목처럼 임금에게 진상하기 위해 특별하게 편집된 저술이다. 이 책은 1778년 1차 연행을 마치고 저술한 <> 내편 외편을 바탕으로 하여 다시 편집한 저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