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북학” 에 대한 검색결과 4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0)

사전(21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후기, 청나라의 학술‧문물‧기술을 적극 받아들여 조선의 물질 경제를 풍요롭게 하고 삶의 질을 높일 것을 주장한 학풍으로서 이용후생지학(利用厚生之學)이라고도 함. [개설] ()이라는 용어는『맹자(孟子)』의「등문공장구(騰文公章句)...
    이칭별칭이용후생지학(利用厚生之學)|이용후생학(利用厚生學)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7-18세기 청조(淸朝)의 발전된 문물제도와 학문을 수용하자고 주장한 실학의 한 학파.
    정의17-18세기 청조(淸朝)의 발전된 문물제도와 학문을 수용하자고 주장한 실학의 한 학파.[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Bukhak | MR표기Pukh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I7_D_0090 교육 靑年, 觀光, 制科 元中 牧隱 李承召思牧隱 D_18_03_47 대동운부군옥 18권 3장 4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3장 4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실학(實學) 연행(燕行), 이용후생(利用厚生), 홍대용(洪大容), 박지원(朴趾源), 박제가(朴齊家), 정조(正祖) 문화인문학/유학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후기(18세기 후반) 계승범 ...
    상위어실학(實學) | 관련어연행(燕行), 이용후생(利用厚生), 홍대용(洪大容), 박지원(朴趾源), 박제가(朴齊家), 정조(正祖)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부학당(四部學堂), 사학(四學) 북부유학(北部儒學) 남학(南學), 동학(東學), 서학(西學), 중학(中學) 교육 출판교육기관/사부학당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준호 예조(...
    상위어사부학당(四部學堂), 사학(四學) | 동의어북부유학(北部儒學) | 관련어남학(南學), 동학(東學), 서학(西學), 중학(中學)

단행본(3)

  • 여행과 개혁, 그리고 18세기 조선의 과학기술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 전북대학교]
    저자 : 임종태 ... | 출판사 : 들녘 | 출판일 : 20211120
    홍대용의 북경 여행은 조선의 과학기술에 어떤 파장을 일으켰는가 이 연구는 홍대용의 1765년 북경 여행과 그것이 불러일으킨 여파를 단서로 삼아, 18세기 중후반 영조와 정조 두 군주가 통치하던 시기 조선의 과학기술과 그것을 둘러싼 지적, 사회문화적 지형을 살펴보는...
  • A Korean Scholar’s Rude Awakening in Qing China: Pak Chega’s Discourse on Northern Learning(의) [Historical Materials Round Two |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저자 : 계승범 외 2인 ... | 출판사 : University of Hawaii Press | 출판일 : 20190731
    유형단행본
  • 2. 18∼19세기 한‧중 문인 교류 [아시아 각국과 한국의 문명교류사 연구 및 출판 | 성균관대학교]
    저자 : 한영규, 한메이... | 출판사 : 이매진 출판사 | 출판일 : 2013.04.19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1부 연행과 연행록, 그리고 회우의 기록 2부 연행사절과 청대 지식인의 교유 1장 18세기 파의 숙원 2장 19세기 경화사족의 연경 체험 3장 추사파 역관과 연암 후세의 입연

논문(2)

고서·고문서(79)

  • 議序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 卷之七○別集 潘南朴趾源美齋著 鍾北小選○序 議序 議序 議序 : ‘창중’, ‘승계’에는 ‘本議, 朴齊家所作. ○若曰先生只一文人, 則安能憂時憫俗, 至於此極?’이라는 제하평이 있음. ‘승계’의 경우, ‘憂時憫俗’의 ‘憫’이 ‘悶’으로
    대표표제어北學議序 | 목차鍾北小選○序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감감무속 이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동녕현(东宁县) 삼차구향 하교 2 2 감감무속, 고모, 념원, 저의심정, 지금,...
    대표표제어감감무속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부산 황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동원 2 2 부산, 찾는사람, 처언니, 56셰, 고향, 경상남도, 김...
    대표표제어부산 | 성씨

기초학문(10)

  • 파의 ‘민’에 대한 인식(프리프린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도환, 게재일 : 2004
    01515 김도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2004 파의 ‘민’에 대한 인식(프리프린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7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17, 18세기 북벌론의 추이와 론의 대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허태용, 게재일 : 2010
    27370 허태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문화연구원 2010 17, 18세기 북벌론의 추이와 론의 대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18․19세기 론의 전개와 정부의 상공업정책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원재린, 게재일 : 2007
    48084 원재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혜안 2007 18․19세기 론의 전개와 정부의 상공업정책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예비과학교사의 탈생 가르치기 경험의 교육적 이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미연, 게재일 : 2014
    59809 임미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예비과학교사의 탈생 가르치기 경험의 교육적 이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조선의 경장을 기획한 또 하나의 의 : 설수외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0
    67954 한국연구재단 우리한문학회 2010 조선의 경장을 기획한 또 하나의 의 : 설수외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78)

  • 민세안재홍전집 : 西生援護會組織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320 1946 4 21 1 1 西生援護會組織 신문 동아일보 2면 6단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西生援護會 A19460421동아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축 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축 서회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15호 祝西會 1908. 02. 01. 353 1047 류익수(柳益秀) 대한제국 서회의 설립에 대한 축사 서회, 설립, 축사 서우번역문.pdf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15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회 취지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회 취지서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15호 西會趣旨書 1908. 02. 01. 350 1038~1041 편집부 대한제국 서우학회와 한회가 단합하여 서회를 설립한 취지를 논한 글 서우학...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15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회의 성질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회의 성질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15호 西會의性質 1908. 02. 01. 교육부 363 1081~1082 편집부 대한제국 서회의 성격에 대하여 논한 글 서회, 교육, 민지(民...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15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회 조직 회록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회 조직 회록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15호 西會組織會錄 1908. 02. 01. 회보 368 1101~1105 편집부 대한제국 서회 조직 당시의 회의록 서회, 서회 조직회 ...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15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멀티미디어(56)

  • 代黎明期的东亚:北伐vs (중국어강의)_3주차_1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展(중국어강의) 3주차. 代黎明期的东亚:北伐vs (중국어강의) 4주차. 근대 여명기 조선실학의 발전 5주차. 18世纪朝鲜的实学与中国(중국어강의) 6주차. 조선후기(에도시대)조선실학과 일본의 관계 7주차. 실학의 서학 수용 8주차. 19-20세기실학의 갈래 23주차.
    강좌제목근대 여명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 代黎明期的东亚:北伐vs (중국어강의)_3주차_2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展(중국어강의) 3주차. 代黎明期的东亚:北伐vs (중국어강의) 4주차. 근대 여명기 조선실학의 발전 5주차. 18世纪朝鲜的实学与中国(중국어강의) 6주차. 조선후기(에도시대)조선실학과 일본의 관계 7주차. 실학의 서학 수용 8주차. 19-20세기실학의 갈래 24주차.
    강좌제목근대 여명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 代黎明期的东亚:北伐vs (중국어강의)_3주차_3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展(중국어강의) 3주차. 代黎明期的东亚:北伐vs (중국어강의) 4주차. 근대 여명기 조선실학의 발전 5주차. 18世纪朝鲜的实学与中国(중국어강의) 6주차. 조선후기(에도시대)조선실학과 일본의 관계 7주차. 실학의 서학 수용 8주차. 19-20세기실학의 갈래 25주차.
    강좌제목근대 여명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 代黎明期的东亚:北伐vs (중국어강의)_3주차_4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展(중국어강의) 3주차. 代黎明期的东亚:北伐vs (중국어강의) 4주차. 근대 여명기 조선실학의 발전 5주차. 18世纪朝鲜的实学与中国(중국어강의) 6주차. 조선후기(에도시대)조선실학과 일본의 관계 7주차. 실학의 서학 수용 8주차. 19-20세기실학의 갈래 26주차.
    강좌제목근대 여명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 실학의 개념과 역사적 변화_1주차_5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展(중국어강의) 3주차. 代黎明期的东亚:北伐vs (중국어강의) 4주차. 근대 여명기 조선실학의 발전 5주차. 18世纪朝鲜的实学与中国(중국어강의) 6주차. 조선후기(에도시대)조선실학과 일본의 관계 7주차. 실학의 서학 수용 8주차. 19-20세기실학의 갈래 14주차.
    강좌제목근대 여명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기타자료(5)

  • 원의 실천보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원의 실천보고 전원의 실천보고 全園의 實踐報告 교육 문헌 현대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수남 | 사료철명신교육건설
  • (연재교양) 박제가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연재교양) 박제가의 의 (연재교양) 박제가의 의 (연재교양) 朴齊家의 議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원호 | 사료철명문교행정
  • 우리 나라 고전에 나타난 생산 기술 교육 (의와 연암집을 중심한 사구실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우리 나라 고전에 나타난 생산 기술 교육 (의와 연암집을 중심한 사구실시) 우리 나라 고전에 나타난 생산 기술 교육 (의와 연암집을 중심한 사구실시) 우리 나라 고전에 나타난 생산 기술 교육 (議와 燕岩集을 중심한 事求實是)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상덕 | 사료철명부산교육
  • 12. 서울에 있는 정치단체의 해산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정치 단체, 해산, 일진회, 정우회, 진보당, 서회, 조선협회, 국민동지회, 정합방찬성회, 국민교육회, 유생공동회, 한국협회, 통감부, 병합 성명서 프랑스어 5_CFD12.pdf (탈초)5_CFD12.pdf pdf 12-1. 별첨 1―대한인국...
    집필자M. 파이야르, 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작성연도1914년 | 작성월일9월 14일 | 발신자M. 파이야르, 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장관
  • 51. 일진회의 한일병합운동과 일본 통감부의 상황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기관단체, 사건, 제도 근대 대한제국 고서/고문서 일진회의 한일병합운동과 일본 통감부의 상황에 대한 보고 일진회, 한일병합운동, 통감부, 속죄, 애도, 서울 정부, 일진회, 대한협회, 서회, 청원서, 심의회, 강령, 현상유지, 주간 리셉션, 천황정...
    집필자A. 제라르, 도쿄 주재 프랑스 대사 | 작성연도1913년 | 작성월일12월 12일 | 발신자A. 제라르, 도쿄 주재 프랑스 대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장관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6)

  • / [역사/조선시대사]

    17,18세기에 청나라에서 발흥한 학문을 우리 나라에서 본받아 문물제도를 개혁하고자 한 학풍. 18세기의 파들도 청조 문명의 선진성을 직시하고 겸손한 태도로 그것을 배우자는 뜻으로 을 주장한 것이었다. 청조의 학술은 명말청초에 일어난 일련의 개혁적인 실학자들

  • 의 / [역사/조선시대사]

    1778년(정조 2) 실학자 박제가가 청나라의 풍속과 제도를 시찰하고 돌아와서 그 견문한 바를 쓴 책. 2권 1책. 사본. 내외편 각 1권으로 되어 있는 이 책의 내편은 거·선·성·벽·와·옹·단·궁실·창호·계체·도로·교량·축목·우·마·여·안·조·시정·상고·은·전·철·재

  • 회 / 西 [역사/근대사]

    회는 1909년 초 신민회와 같이 독립전쟁전략을 최고전략으로 채택하여 독립군기지건설에 주력하여 국외독립운동의 초석이 되었으며, 국내활동 특히 교육운동은 일제하 민족운동의 원동력이었다.

  • 진상의 / 進上 [언론·출판]

    저자 박제가(1750-1805). 필사본. 책의 구성은 1책 23장이다. <진상의>는 제목처럼 임금에게 진상하기 위해 특별하게 편집된 저술이다. 이 책은 1778년 1차 연행을 마치고 저술한 <의> 내편 외편을 바탕으로 하여 다시 편집한 저술이다.

  • 이중환 / 李重煥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후기의 실학자(1690∼1752). 문과에 급제한 뒤 병조정랑 등을 역임하다 목호룡의 당여로 유배되었다. 유배에서 풀려난 뒤 30여년간 전국을 떠돌며 각 지역의 사회·경제·문화 등을 정리하여 파에게 큰 영향을 미친《택리지》를 저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