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북조선노동당”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2)
사전(45)
- 김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평북도당 위원장이 되었고, 1946년 4월에는 북조선공산당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임되었다. 1946년 8월 신설된 보안간부훈련대대부 문화부사령관에 취임하는 한편, 북조선노동당이 창립되면서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1948년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당선된...이칭별칭박덕산
- 김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3∼1951. 사회주의운동가‧정치인. [개설] 본명은 김홍계(金洪啓). 함경북도 학성군의 빈농 가정에서 태어났다. 북만주 일대에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하였고, 여러 항일전투에서 지휘관으로 참가했다. 1948년북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이칭별칭 문정(文貞)|김홍계(金洪啓)
- 오기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창설위원장을 지냈다. 1948년 북조선노동당 중앙위원,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1956년 노동당 중앙위원, 수매양정상(收買糧政相)에 발탁되었으나 1957년 9월, 반당종파분자로 낙인 찍혀 평안남도 중화군(中和郡) 생산협동조합 부위원장으로 전락된 뒤 1...
- 근로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 노동당의 기관지로서 정치이론잡지. [서지적 사항] 월간. 4‧6배판, 90면내외. 1946년 8월 북조선노동당 창립대회 결정에 따라 같은 해 10월 25일에 창간되었다. [내용] 발행목적은 당간부를 주대상으로 수시로
- 이효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내와 장백현 일원의 항일무장투쟁 지원그룹 조직이 붕괴되는 ‘혜산사건(惠山事件)’을 계기로 검거되어 옥중에서 해방을 맞았다. 이 사건 주모자로 1941년 처형된 이제순(李悌淳)이 친동생이다. 1946년 북조선노동당 길주군당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
구술자료(1)
- 차순홍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부서담당책임자의 추천으로 일본 야지마로끼 공업 주식회사에 취직함 - 현장감독으로 조선에 파견되어 근무하다가 해방을 맞이함 - 북조선노동당 활동을 하여 동사무소에 취직됨 - 소비조합 중앙의 과장을 알게 되어 국영상점을 차리게 됨 - 한국전쟁 기에 지하에 숨어 지내다가구술자차순홍 | 직업장로 | 지역평안도
신문·잡지(82)
- 함북로동신문_1947_0909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202 김윤복 청진시 관해리 81 함북로동신문사 평남 북조선노동당, 북조선노동당 중앙검열위원회, 북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북조선인민회의, 평남인민위원회 북조선노동당 중앙검열위원회 위원장 북조선인민회의 대의원 평남인민위원회 위원이며 조국...대표표제어함북로동신문_1947_0909_01 | 책임주필김윤복
- 황해로동신문_1947_0719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266 이영조 황해도 해주시 황해도로동신문사 북조선노동당 북조선노동당 황해도당부 제8차위원회 개최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719_01 | 책임주필이영조
- 함북로동신문_1947_0830_01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95 김윤복 청진시 관해리 81 함북로동신문사 북조선노동당 조선 근로대중의 선봉대 북조선노동당 만세대표표제어함북로동신문_1947_0830_01_01 | 책임주필김윤복
- 함북로동신문_1947_0904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함북로동신문사 미국, 쏘련, 쏘베트 북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북조선노동당 권두론 민주주의 조선 임시정부 수립과 북조선노동당의 주장경 경제건설 지도에서의 몇 가지 문제 … 민생 우리는 삼권분립의 원칙을 왜 거부하는가 ………… 김맹수 현대 부르죠아철학...대표표제어함북로동신문_1947_0904_02
- 황해로동신문_1947_0701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250 이영조 황해노동신문사 북조선노동당, 정치위원회 (원문 참조)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701_02 | 책임주필이영조
기타자료(14)
- 남한 사회노동당 결성에 관한 북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결정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R107 ЦАМО,ф.172,оп.614631,д.25,лл.6-7. 남한 사회노동당 결성에 관한 북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결정 정치 문서 현대 북한, 소련키워드사회노동당, 김두봉, 북조선노동당, 남조선노동당, 박헌영, 좌우합작 | 대표주제어남한 정당 | 발신자로마넨코 | 수신자시티코프
- 스탈린에게 보내는 시티코프의 서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선노동당, 남조선노동당, 신민당, 통합중앙위원회, 김일성, 박헌영 시티코프 스탈린 러시아연방국방부중앙문서보관소 북조선노동당 Трудовая партия Северной Кореи ...키워드북조선노동당, 남조선노동당, 신민당, 통합중앙위원회, 김일성, 박헌영 | 대표주제어북조선노동당 | 발신자시티코프 | 수신자스탈린
- 1946년 8월 5일 연해주군관구에서 제25군 군사회의로 보낸 서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독본, 新興出版社, 1948 ; RG 242, National Archives Collection of Foreign Records Seized, Captured Korean Documents, Doc No. SA 2008, 國有化와 國有化의 成果, 北朝鮮勞...키워드일본인 재산, 귀속 | 대표주제어일본인 재산 | 발신자연해주군관구 | 수신자제25군 군사회의
- 14. Resume #12 of the political data assembled during the period from 11 June to 12 June 1947 : 비망록 / Clyde B. Sargent Chief Political Advisory Group 발신, 1947.06.12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oners 숙명여자대학교 1947년 6월 11~12일 수집한 정치 데이터 요약 #12. 여운형이 북조선의 정당이 3개 있음을 밝힘. 즉, 북조선노동당, 조선민주당, 진우당 등 Lyuh Woon Hyung, 38th paral...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Clyde B. Sargent, Chief, Political Advisory Group | 수신자American Commissioners
- 북조선 정당들에 관한 조회 보고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문서 현대 북한, 소련 타이핑 노동당, 천도교당, 민주당, 신민당, 공산당, 북조선노동당, 민주주의민족통일전선, 통합 이그나티예프 러시아연방국방부중앙문...키워드노동당, 천도교당, 민주당, 신민당, 공산당, 북조선노동당, 민주주의민족통일전선, 통합 | 대표주제어북한의 정당 통합 | 발신자이그나티예프
주제어사전(7)
-
북조선노동당 / 北朝鮮勞動黨 [정치·법제/정치]
1946년 8월 28일 북한에서 결성된 정당. 북조선공산당과 조선신민당이 합당, 합당 선언에서 <북조선 노동대중의 이익을 옹호하는 대중적 정당>을 세울 필요에 의해서 결성되었다고 밝혔다. 강령으로 민주주의적 조선자주독립국가 건설, 8시간 노동제 실시, 여자들에게 남자와
-
김일성 / 金日成 [정치·법제/정치]
1912년 4월 15일∼1994년. 현대 정치가. 부친 김형직과 모친 강반석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1945년 10월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조직 책임비서로 선출, 1946년 2월에 창설된 북조선인민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1946년 북조선노동당의 당명아래
-
김책 / 金策 [정치·법제/정치]
정치군사학원 원장직을 맡았다. 1947년 북조선 인민위원회 부위원장겸 민족보위국장, 1948년 북조선노동당 중앙위 정치위원,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내각 부수상 겸 산업상 역임, 1951년 사망.
-
남조선노동당 / 南朝鮮勞動黨 [정치·법제/정치]
1946년 12월 23일 서울에서 결성된 공산주의 정당. 조선공산당, 남조선신민당, 인민당 3당이 합당 결성했다. 8월 28일 북한에서 북조선노동당이 결성된 이후 남한에서 좌익세력을 재정비하기 위해 조직된 것이다. 원장 허헌, 부위원장 박헌영, 이기석이 선출되었다.
-
남조선신민당 / 南朝鮮新民黨 [정치·법제/정치]
최창익 등이 남한의 남조선신민당에는 백남운이 참여했다. 이후 북조선노동당, 남조선노동당에 합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