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북정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8)
- 이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 영흥‧북청‧경흥‧종성‧온성‧경성 등지의 현감을 지냈고, 중앙으로 올라와서는 첨정을 지내기도 하였다. 1776년(영조 52)에는 관북지방에서의 근무를 마치고 서울로 올라올 때에 그동안 관북지방 전지역을 여행하고 듣고 본 견문을 기행가사 형태의 「북정가(北征歌)...이칭별칭 용지(容之)| 회은(晦隱)
- 북정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펴기에는 해동국(海東國)이 너무 좁음을 한탄하고, 어머니께 효도나 하기 위하여 귀향해야겠다는 의지를 노래하면서 글을 끝맺고 있다. 『한국기행문학연구(韓國紀行文學硏究)』(최강현, 일지사, 1982) 「미발표관북가사북정가(未發...
- 북정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영조 때 이용(李溶, ?-?)이 지은 관북지방 기행가사.정의조선 영조 때 이용(李溶, ?-?)이 지은 관북지방 기행가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Bukjeongga | MR표기Pukchŏngg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적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북정가」와 그 끝에 작자의 호 ‘회은(晦隱)’에 대한 해설인 한문 수필 「회설(晦說)」이 54엽 후면까지 실려 있다. 「북정록」은 지은이가 본 시 짓기의 어려움과 북관지방에서 인연을 맺었던 평사(評事)와 원(員)들과 방백(方伯)과 그 고장으로 유배 온 적객(謫客...
- 허두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품에는 「대관강산(大觀江山)」‧「역대가(歷代歌)」‧「궁장가(宮墻歌)」‧「역려가(逆旅歌)」‧「효도가(孝道歌)」‧「북정가(北征歌)」 등이 있다. 이 외에도 「금화사가(金華寺歌)」‧「소상팔경(瀟湘八景)」‧「고고천변(杲杲天邊)」‧「새타령」‧「달거리」‧「태평가(太平歌)」‧「초한...이칭별칭단가|초두가
고서·고문서(2)
- 북졍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원문1 어와 우숩도다 일이 왼일이고계산풍경 조흔고향 무산일노 버리고이쳘니 멀고먼 명쳔이 왼일이고창이 젹막 손의마 엇더고그음일 이시름 할냥업 이회포그뉘가 위로며 그늬가 아라쥴고너난 가되고 나 네가되여네시름 네가알고 회포 네가알가...가사유형유배가류, 탄식가류 | 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시대해방이전
- 경암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關東의 경치를 보고 느낀 바를 읊은 것이다. 치악산‧설악산‧금강산의 여러 봉우리와 지나는 길의 명승고적을 모두 기술하고 『論語』의 「登泰山小天下」 장을 인용하며 느낀 감회를 모두 노래하였다. 詩(18首) 伏呈家大人行軒, 翠香亭敬次梅竹韻(二首), 感懷呈伯氏(二首), 贈...분야문학 | 유형문헌
구술자료(1)
- 노랫가락(북정가-北征歌)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면담 중에 제보자의 생애를 간략히 파악했다. 제보자 한상필은 젊었을 때 1년 동안 전국을 돌아다니며 놀았고 각 지역에서 부르던 노래를 들 었다고 했다. 그래서 그때 들었던 노래가 경기도 지역을 1년간 돌아다니면서 소리를 듣고는 했다고 하자 조사자가 노랫가락을 불러주...조사일시2009. 3. 29(일) | 조사장소영광군 군남면 용암리 평암마을 977-7번지 마을회관 | 제보자한상필
주제어사전(4)
-
북정가 / 北征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영조 때 이용(李溶)이 지은 관북지방 기행가사. 필사본. 2음보 1구로 헤아려 모두 260구이다. 형식은 주로 3·4조의 연속이며, 자수율(字數律)의 율격이 잘 다듬어진 수작이다. 한시문집(漢詩文集)인 『적의(適宜)』에 실려 전한다. 작자는 일찍이 무부(武夫)가
-
이용 / 李溶 [문학/고전시가]
(영조 52)에는 관북지방에서의 근무를 마치고 서울로 올라올 때에 그동안 관북지방 전지역을 여행하고 듣고 본 견문을 기행가사 형태의 「북정가(北征歌)」 1편을 짓기도 하였다. 저서로는 한문으로 된 시문집 『적의(適宜)』가 전한다.
-
적의 / 適宜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무신 이용의 「북정록」·「서행록」·「북정가」 등을 수록한 시문집. 1권(56장). 한문 필사본. 이 책의 내용은 제1엽에서부터 39엽 전면까지 「북정록」이 실려 있으며, 제39엽 후면부터 47엽 후면까지 「서행록(西行錄)」이 실려 있다. 48엽 전면부터 54
-
허두가 / 虛頭歌 [문학/고전시가]
판소리 창자가 주요 공연작품을 노래하기 전에 짧게 부르는 노래. 허두가로 불리는 작품에는 「대관강산(大觀江山)」·「역대가(歷代歌)」·「궁장가(宮墻歌)」·「역려가(逆旅歌)」·「효도가(孝道歌)」·「북정가(北征歌)」 등이 있다. 이 외에도 「금화사가(金華寺歌)」·「소상팔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