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북관개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20)
- 북관개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너와 조선측으로부터 소금‧철 등을 바꿔갔으며, 이는 한동안 계속되었다. 이것이 후일 북관개시의 전신이었다. 그 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직후부터 청나라가 조선에 강요해 회령을 개시했지만 병자호란을 계기로 한 때 통상이 중단되었다. 그러나 병자호란 뒤 1...
- 쌍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대청무역으로 회령(會寧)과 경원(慶源) 두 곳에서 열렸던 국제시장. [내용] 쌍개시(雙開市)라고도 한다. 인조 이후 조선과 청나라와의 공무역은 회령과 경원에서 각각 시작되어 북관개시(北關開市) 또는 북도개시(北道開市)라 일컬어졌...이칭별칭쌍개시
- 차수고(差需庫)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차수고 차수고 差需庫 차수청(差需廳) 민고(民庫), 여진(女眞), 함경도(咸鏡道), 북관개시(北關開市) 경제재정/잡세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후기 인조~고종 김덕진 [정의] 조선후기에 함...동의어차수청(差需廳) | 관련어민고(民庫), 여진(女眞), 함경도(咸鏡道), 북관개시(北關開市)
- 개시(開市)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개시 개시 開市 회동관개시(會同館開市), 책문개시(柵門開市), 중강개시(中江開市), 북관개시(北關開市), 왜관개시(倭館開市) 경제산업/상업·무역 개념용어 조선 이철성 [정의] 외국과의관련어회동관개시(會同館開市), 책문개시(柵門開市), 중강개시(中江開市), 북관개시(北關開市), 왜관개시(倭館開市)
- 마시(馬市)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마시 마시 馬市 북관개시 회령(會寧), 경원(慶源), 공시(公市), 사시(私市) 경제산업/상업·무역 개념용어 이철성 [정의] 북관개시에서 조선의 우마(牛馬)와 청마(淸馬)를 교역하던 시...상위어북관개시 | 관련어회령(會寧), 경원(慶源), 공시(公市), 사시(私市)
고서·고문서(1)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 可也。 象奎曰, 其所爲書, 詳陳道路·關防·山川·民物, 似有益於乙覽矣。 戶判曾任寧邊時, 成出鐵甕八至圖, 道里險阻, 海山形勝, 最爲地圖之該備矣。 上曰, 此冊在於何處乎? 榮輔曰, 其時已經先朝御覽, 而命置諸內閣矣。 上曰, 近來北關開市, 弊端甚多云, 何以則可無此患乎? 榮輔...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북관개시 / 北關開市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함경도 회령·경원에서 청나라와 공무역을 행하던 국제 무역 시장. 북관개시에서 거래된 무역품은, 수출품으로 소·말·돼지·쌀·종이·연(筵)·농(籠)·주방구·호피(虎皮)·해삼·모발·재목 등과, 수입품으로 조화(造花)·피혁·담뱃대·녹각·구리·개·고양이 등이었다.
-
경원개시 / 慶源開市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조선이 청나라와 통상하던 국제시장.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의 요청으로 조선에서는 북쪽 여러곳에 시장을 두고 통상을 계속하였으나, 경원에서 정식으로 시장을 개설한 것은 1645년(인조 23) 암구뢰달호호(巖丘賴達湖戶)의 사람들이 농기구를 무역하면서 시작되었다.
-
쌍시 / 雙市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대청무역으로 회령과 경원 두 곳에서 열렸던 국제시장. 인조 이후 조선과 청나라와의 공무역은 회령과 경원에서 각각 시작되어 북관개시 또는 북도개시라 일컬어졌다. 그런데 회령개시는 해마다 개시된 반면에 경원개시는 격년으로 개시되었다. 갑·병·무·경·임의 다섯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