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훤당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
사전(1)
- 황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부훤당집』이 있다.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국조방목(國朝榜目)』 『정와집(貞窩集...이칭별칭 시지(是之)| 부훤당(負暄堂)
고서·고문서(1)
- 부훤당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柳範休의 서문이 있다. 卷1 詩(59題 105首) 咏葵花, 咏盆梅, 次柳爾能(世鳴)評文體韻, 次龍宮倅朴(重徽)淸凉山韻, 題負暄堂, 負暄堂六十韻, 送禮安倅李明卿罷官歸京, 次全天叙(五倫)石湖韻, 題躑躅根木枕, 又, 蟾枕寓言, 道村八景, 往淸風郡與主倅金(昌協)其季(昌翕)相...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부훤당집 / 負暄堂集 [종교·철학/유학]
김해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750년 무렵 편집된 것으로 보이나, 5세손 우량이 남은 저술을 한 질로 만들고, 6세손인 현규에 의해 간행되었다. 권두에 류범휴의 서문이 있으며, 발문은 없다. 권1과 권2는 모두 시로 구성되어 있다. 권3에는 소 3편, 서 7